[칼럼] 너가 문학을 확실하게 다 맞지 못하는 이유(1)- 문학을 하나라도 들어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69088
안녕하세요, 국가사입니다.
최근에 문학 관련 칼럼을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신 분들이 많아서 적어보려고 해요.
공부를 한다는 느낌보다는 잡지를 하나 읽는 다는 느낌으로 가볍게 읽어보시면 도움 될 것입니다.
문학 전체를 관통하는 개괄적인 이야기를 할 것이고, 칼럼을 적으면서 최대한 구체화 할 것이니
기대하세요. (원기옥 모으는 중)
제가 수업 시간에 자주 차용하는 예시이니 잘 한 번 읽어보시면 도움 정말 많이 될 것입니다!
자, 시작해보겠습니다.
.
.
.
.
.
만약 문학 작품을 하나 적어보자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승윤T가 여자친구랑 헤어졌다.
승윤 T는 대교 위를 걸으면서 지난날의 추억을 회상하고 있다.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실제로는 안울어요;;)
그녀가 왜 떠났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승윤T는 외친다.
나쁜X!!! 다 잊었어!!!!
"
질문 Q. 승윤T는 전 여자친구를 잊었는가?
.
.
.
.
.
이걸 과연 잊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정말요...?
부담스러웠다면 ㅈㅅ...
당연히, 이 글을 읽는 모든 학생들은 '잊지 못했을 것'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제가 한 번 반론해보겠습니다.
'잊었다'라고 명시적으로 적혀있는데요...?
.
.
.
.
.
이게 바로 문학을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질문입니다. '이렇게 명시적으로 적혀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문학은 '일상 언어'입니다. 우리가 <독서>영역에서 읽는 언어와는 아예 다릅니다.
독서에서의 언어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문에서의 언어입니다.
다만 문학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작가 즉 필자의 내면 세계를 묘사하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지문을 찾아가서 명시적으로 근거를 찾기가 굉장히 애매하다는 말입니다.
(물론 표현상의 특징이나 몇 문제들은 명시적으로 근거를 찾아서 풀 수 있습니다)
잘 안 와 닿겠지만 '느끼는' 언어인 셈입니다.
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기출 예시를 봅시다.
이 시를 독해한 다음 이 선지를 바라보길 바랍니다.
제가 아까 이야기한 내용을 제대로 이해한 친구들이라면, 당연히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름지기 우리가 문학을 읽어본 경험이 한 번이라도 있는 독자라면, 배가 추위 때문에 얼어붙었고 배가 안 좋은 상황에 놓여져있음을 안타까워하는 노래라는 것을 명시적 근거가 아니라
'느낄 수'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문제였고, 정답은 해당 2번 선지였습니다.
배의 내부적인 원인, 즉 배의 잘못으로 얼어붙었다는 것이 아닙니다. (외부요인O)
.
.
.
.
.
간혹 문학을 '다 맞지' 못하는 친구들은 어휘 그 자체에 매몰됩니다.
아까 예시에서는
"선생님, '발목'까지 얼었다면서요. 발목은 배의 것이잖아요. 그렇다면 배가 잘못한거 아니에요? 배가 좀 더 부지런히 움직였으면 안얼었겠죠"
와 같은 무리수의 질문을 간혹 받을 때마다 제 표정은
이렇게 됩니다
왜냐면 느껴지는 것을 제가 언어로서 설명해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사고 과정의 예시를 읽어보면 정말 저따위로 생각한다고? 하실 수 있겠지만
정말 꼼꼼하고, 정말 1등급이 간절한 친구들은 저렇게까지 질문할 때가 있습니다.
.
.
.
.
.
요약하자면 문학은 '일상언어'입니다. 일반적인 언어와는 거리가 멉니다.
그렇기에 문학은 읽어서 이해하려고 노력하기보단
감상하고, 내가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레 이해가 '될'
즉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
.
.
.
.
그렇다면 이러한 질문이 생길 수 있죠.
"그 빌어먹을 감상은 어떻게 느는 건가요?"
감상은 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되게 하려면, 정말 미안하지만
'많이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
.
.
많이 읽어보시고, 많이 생각해보시고, 내 삶과 연결지어 보는 습관이 들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 문제를 풀 때, 해석이 되든 안되든 그냥 읽고 풀어야겠죠.
그 다음에 채점한 뒤에 사유해보는 것입니다.
"왜 이 구절은 이런 표현을 썼을까?" 하면서요
선생님의 강의를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지요.
.
.
.
.
시험장에서 해석이 되냐 안되냐는 미지수입니다.
위와 같은 사유과정을 하는 것은 최대한 해석이 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
.
.
.
.
툭 까놓고 말하겠습니다.
저와 같은 강사들은 문제를 몇 문제나 풀어보고 수천 수만 가지의 문학 작품을 읽어본 사람들입니다.
저희가 과연 시험장에서 '감상하려고 노력'할까요?
그냥 자연스럽게 됩니다;;
비틱 아님..
이게 현실입니다.
정말 찐 막으로 정리하자면,
해석은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많이 읽어보고, 채점 한 뒤에 많이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문학작품 글읽기 과정입니다.
.
.
.
.
.
한 번쯤 우리는 어렸을 때 '헨젤과 그레텔'과 같은 소설 읽어봤겠죠?
질문 하나 해보겠습니다.
어려웠나요...?
.
.
.
.
.
어렵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능 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지금의 우리는 다시 읽는다면 예전보다 되려
어렵게 느낄 것입니다.
잘못된 방식으로 공부한 사람들이 너무나 많거든요.
힘을 빼보고 느껴보세요.
이상입니다.
질문은 쪽지주세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강 질문 0
서강대에서 두각까지 이감 실모랑 강k반 고민 중인데 독학이랑 차이가 유의미하게...
-
힘들지만 힘내자 0
돈 없지만 돈 내놔
-
왜지?
-
에어컨고장나서 지금 가족붕괴 위기임
-
최근 남매간 경영권 분쟁하는 회사 한 군데 나가는데 0
말하는 거 존나 살벌하대요 서로 소송걸고 싸우고 친동생보고 그 년은 찢어 죽여야...
-
삼도극이랑 도형등비급수 이거 굳이해야되나..
-
D-100부터 D-1까지 기간별로 어떻게 학습을 해 나가야 하는지 유튜브 영상과...
-
오르비 글 리젠 안 되려나
-
학원 수업만 듣고 따로 인강은 듣지 않는 분들도 많으신가요?
-
체력 챙겨야지
-
노아만 남았다 4
-
그거 알아? 12
차단 100명까지 풀렸어…
-
상황설명: 독재학원 이사님이 저 집안사정 안 좋은 거 아시고 성적 안 되는 데도...
-
100문제 80분
-
사탐런 정법?? 0
(음슴체,횡설수설 양해부탁드립니다) 현재상황요약 1학기 초부터 사탐런, 사문생윤...
-
. 4
-
나는모름
-
어떻습니까? 수학이 진짜 안오르는데 자습할 시간이 필요함 매주 서바 치게해주는건좋은데 흠
-
방금 오메가 블랙 4회 현장응시했는데 미적 20,22,30틀 88나옴 1일 1실모가...
-
크아악 0
기후 어려워…
-
한완기 말구요, 한완기 절판 됌 이유는 ㅁㄹ겠음..
-
제 위치를 가늠하고 싶어서 그런데 대충 등급컷 맞는 편인가요
-
화가나네
-
차단했으면 6
내 글에 댓글 달아도 아예 안떴으면 좋겠음
-
사고 말겠어
-
결혼하고싶다 1
좋아하는사람이랑 여행다니고놀고시픔
-
제2외 공부법 1
제2외 하시는 분들 언제부터 어떻게 하실 예정인가요
-
산책하고있는데 4
놀이터에서 유치원 애기들이 그네 타면서 대한민국 군대들 지금까지 뭐했어! 이러고있네.. ㅅㅂ..
-
육개장 컵라면 6
좋아하는사람 있나요? 일단 저부터요
-
오늘 서점 갔다가 영어 기출 문제집이 2만원이 넘는 걸 보고 만들었어요 해설지는...
-
명칭이 완성이고 딱히 고1이나 고2라고 안써져 있어서 수능용 인줄 알고 사서 좀...
-
아 빨리 월요일 11
이 되면 좋겠는데 그러면 안 되는데
-
아니 근데 솔직히 ㅋㅋ 11
탕수육은 부먹 아님?
-
어디로 가야하오
-
동거안하고 결혼하는건, 실모안풀고 수능보는거랑 같은거아님??? 1
개념만 조올라게 n회독해도 문제풀이나 실모나 6평9평 아예 안보면...
-
SKY가이거맞나 3
S 서강대 K 고신대 Y 영남대
-
레어확인 13
어떰? 씹덕같다하면 차단
-
메인을 혼자 잠식하네
-
건뱃 4
안만들어줌? 건동홍벳? 이미 있나?
-
나도 히러 가야겠군
-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ㅈ댓어요 7
독재에서 복권 돌리는거 조교쌤이 본거같은데 왜 뭐라안하지 더 불안하네
-
2차 체력 많이 어려울까요
-
일단 나부터 ㅋㅋ
-
승인 얌기 할게요
-
근데 말씀중에 죄송합니다 우리 아대 절대 메이저 맞습니다. 이거는 하늘이 주신...
-
일단 나부터 ㅋㅋ
-
성적표는 직접가서 받지않는 이상 모르는건가요
물론, 이 칼럼을 읽고 내일부터 180도 바뀐다는 불가능입니다.
뭐 다음 지문을 풀 때 부터 적용해봐야지 이것도 안될 것입니다.
차분하게 뜸들이듯이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