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곱같이 잔계산 줄이는거 알려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68506
잔계산 줄이는것의 중요성을 알게돼서요ㅠ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구 원래 4등급인데 마킹 잘못한듯
-
여자 대학생이 4
이 시간에 잘 확률은?
-
억제의 억제
-
학교가 볼매네
-
확통 현장 60분컷 100점인데 지금 옮기는건 에바겠죠...작년에 미적 282930...
-
일찍 자야지 5
-
뜸????
-
3덮 4투스 4덮 5덮 6모
-
알바비들어옴 1
근장금+알바비
-
너무 어렵군아
-
메타 개열받음 3
-
나만 안 나는 건가 내가 개허수라서 완전 기출변형! 이거 아니면 모르겠는데
-
내년4월4일에해봐야지
-
인생 전체가 흑역사면 어떡하라고
-
난 아간데.
-
지금은 탈릅했지만.. 덕분에 문제를 풀었어요!!
-
사수여붕이 6평성적표 36
-
!! 0
6모 수학 기하 88점(공통1틀) 받으신분들 1뜨셨나요..?!!
-
ㄱㅇㅇ 2
하나하나 배우기보단 본인이 연구하셔야 많이 터득할 수 있음
이게 마따
높2~중간3 에서 진동하다 암산+잔계산 타이트하게 줄였더니 낮1~높2까지 올리게 돼서(거짓말이 아니라)
잔계산 줄이는것의 중요성을 이제서야 알게된것같아요..ㅠㅜㅠㅠㅠㅜㅜ
남들이 쓴다고 따라 쓰기보다는 내가 그걸 필요하다고 느껴서 연구하면서 써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여.
저도 거리곱 대강 알고는 있지만, 차피 고난도 문제들에서는 식을 써주는게 유리한 경우가 많다고 생각해서 안 쓰다보니 기억도 잘 안나게 되어서... 결국은 그냥 남들이 하는 걸 베끼는 거 이상으로 해야 도움이 많이 되여
아 그런가여.. 그럼 혹시 암산은 어느정도로 활용하셨나요?
저는 수2 기준 함수들 비율관계, 넓이 관계 정도만 쓰고 있어여. 거리곱의 장점은 수식의 작성 없이 직관적으로 함숫값이나 미분계수 등을 추론할 수 있다는 건데, 이게 고난도 문항으로 갈 수록 수식 없이 처리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서...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에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