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거리곱의 기본 2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6698
거리곱을 이용하면 그래프 위의 한 점에서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어요. 다항함수 f(x)와 g(x)에 대하여 f(x)=(x-p)g(x)+q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해 볼게요. 양변에서 q를 빼고 양변을 (x-p)로 나누면 {f(x)-f(p)}÷(x-p)=g(x)이고 양변에 lim(x→p)를 씌우면 f'(p)=g(p)임을 알 수 있어요. 다시 말해 f(x)=(x-p)g(x)+q인 경우 f'(x)=g(x)라고 계산하면 돼요.
f(x)=m(x+2)x(x-1)+1인 경우, 거리곱을 이용하면 f'(1)=±|m|×3×1=3|m|이에요. f(x)의 차수가 a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m인 경우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am이지만 거리곱을 이용하여 f'(x)를 구할 때는 m만을 곱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돼요.
다항함수와 어떤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모두 아는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다항함수 f(x)와 g(x)에 대하여 f(x)=(x-p)g(x)+qx+r로 나타낼 수 있어요. 양변에서 pq+r를 빼고 양변을 (x-p)로 나누면 {f(x)-f(p)}÷(x-p)=g(x)+q이고 양변에 lim(x→p)를 씌우면 f'(p)=g(p)+q임을 알 수 있어요.
f(x)=m(x+2)x(x-1)+x+2인 경우, f'(0)을 구할 때는 직선 y=x+2를 기준으로 ±|m|×2×1=2|m|을 구한 뒤 y=x+2의 기울기인 1을 더해 f'(0)=2|m|+1임을 알 수 있어요. 허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곱을 사용하기 어려우니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더 나아요.
도함수를 활용해서 거리곱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f(x)=m(x+2)2(x-1)인 경우 f'(-4)를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x)=3m(x+2)x이므로 f'(-4)=3m×(-4+2)×(-4)=3m×(-2)×(-4)=24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4)=±|3m|×2×4=-24|m|이에요.
삼차함수의 비율관계를 이용하면 극점의 x좌표를 알 수 있으므로 f'(x)=3m(x+2)x라는 식을 떠올리지 않고도 거리곱을 이용해 f'(x)의 값을 구할 수 있어요. 그림은 f(x)를 나타내고 있지만 f'(x)에서 거리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m|이 아닌 |am|을 곱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돼요.
f(x)=(x-1001)(x-1002)일 때 f(999)를 구하는 경우와 같이 절댓값이 큰 숫자들이 문제에 나온 경우 식을 이용할 때는 긴 식을 적으면서 계산해야 하는 반면 거리곱을 이용할 때는 그림에 명시적으로 보이는 거리만을 곱하기에 계산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충 말은 통하구만..
-
버즈잃어버려서눈물질질쌈 10
슈발
-
그나마있는장점도 합리화아닐까?..
-
흠냐 13
-
돌아온 무물보 9
뭐든지 다 질받
-
사후적으로 보면 번호대에 맞지 않는 난이도냐? 그건 아닌데 시험장 체감은 기가막힐..
-
그래도 대부분못풀어
-
여러분은 기출 갖고 어떤 이상한 풀이까지 해보셨나요? 5
저는 200930(가) 이 단순 계산문제 같아 보이는 녀석으로 역함수이지 않을까...
-
팩트는 13
03년생은 22부터 쳐서 이번 27번이 쉬웟다는거임…
-
공공의대 지역의사제에도 아직도 의대가 제일 높나요? 14
참전해서 탈의대 하려고하는데 폼이 약간 떨어지긴해서...수험판 반응을 모르겠네요
-
내 똥글도 유명해질까 무서움요
-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중
-
기만하겠습니다 11
내일 점심으로 소고기먹고 저녁으로 돼지고기 먹을듯요
-
6.27 금요일의 공부 12
이제 화2좀 적게 할 듯하네요 ㅋㅋ 개인적인 일로 당분간은 효율이 떨어질거 같은데...
-
211220 가
-
시립대 형님 글좀 보려고 뱃지보면 서울대임.. 고능아형님들 너무많습니다;;
-
군대실출36일 0
말출부터잇올갈예정
-
생활패턴 바꾸기 1
오늘 잠에 들지 않을 수 있을까?

감사합니다!!!칼럼글들 잘 읽고있어요 응원합니다!!
우와 감사해요~!

고트
헉 제가요??
감사합니다람쥐
감사합니다~!이게 (-2)*(-3)=6과 다른 연산인가요?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식 쓰기 귀찮을때 쓰면 좋긴 하더라고요
ㅎㅎ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