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다와 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4483
풀은 원순모음화를 겪기 전 '플'이었음
'푸르다' 역시 '프르다'였는데 '프르다'와 '플'이 어원적으로 유관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임. 기본적인 색채어는 사람들과 밀접한 주변 환경, 사물로 오는 것이 보편적이거든
'프르다' 말고 '프를다'도 존재했는데 전자가 먼저냐 후자가 먼저냐는 견해 차이가 존재함. 개인적으로 후자가 먼저라고 보는 견해를 지지하는데 이렇게 되면
'프를다'는 '*플-+-을-'로 분석할 수 있고, '*플-'은 '플'에서 영파생된 형용사(신-신다, 품-품다 이런 관계)이고 '-을-'은 품사를 바꾸지 않는 접미사로 볼 수 있다.
즉 고대에는 '풀'과 '푸르다'를 지칭하는 말이 동일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니 무슨 시발 고1 1학기~고3 1학기 중간까지 만점 전교1등이 ㅈㄴ 이상하긴...
-
얼버기 0
엄.... 지금일어남..;..
-
'시'는 풀고 듣는 게 의미가 있는 거 같은데 소설은 그냥 책 보면서 알아서 읽고...
-
이 개엿같은 구구단부터 난 수학이 싫었어
-
demanding 아닐까요
-
무물보 3
-
97이었던거 같음 100을 못 맞아본거 같아 아쉽넹 아닌가
-
뉴런-시냅스보다 스블에서 배운내용을 좀 더 노골적으로 적용하게 만든듯
-
아이스크림 원곡 틀어주기 (루비쨩~ 하이! 이거 원곡) 기묘한 이야기 짱구 표현들...
-
오늘한 것 1
없으니까 돌아가라
-
1교시에 왜 호통친거임 진심 뭔일임?
-
현우진쌤 뉴런 0
2025거 있는데 이걸로 공부해도 될까요.?
그래서 신호등의 초록불을 파란불이라고 부르는건가
원래 '푸르다'는 녹색과 청색을 모두 포함했다고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