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 스피드연습은 현역때 많이 했었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1749
가형 50분: 최대한 많이 풀기 (물리적으로 30문제 올킬은 힘듦)
과탐 15분: 최대한 많이 풀기
이젠 늙어서 저짓 못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암테 메타인가요 4
지난 겨울에도 유행했었는데
-
암산테스트 5
까비...
-
이거들어바 2
굿
-
아…..
-
수학 .... 1
개념쎈 + 베이직쎈 + 쎈B N기출 3점 4점 한완수 + 한완기 뉴런 드릴 각종...
-
허들허들링 4
허들링 너무 들어보고 싶어서 그런데 3이면 머리 깨져가며 소화하려고 해도 못...
-
아 시작됐다 2
절대사수해
-
나름계산잘한다고생각햇다
-
인문논술은.. 0
제가 학원에 다닐 여건이 안 돼서 인강을 보면서 혼자 독학하려고 합니다. 인강...
-
확통 입문 N제 추천해주세요 수능에서 확통에서 2틀 이하로 하는 게 목표예요
-
비싼 레어들 대부분 주인 잃엇네ㅋㅋㅋ 안 팔렷나 보구만
-
난 보쌈/연어 ㄹㅇ 한 근 먹을 수 있을 듯
-
솔직히 아주 유능한 사람이 되기에는 이미 그른 거 같고..(일반적인 사람들...
-
적어도 0
이제부터 남은 시간 동안은 근 한 달간 걱정 없이 쓸 돈만 있으면 됨 ㅇㅇ
-
여러분들 모두
-
트레 에임 서칭이 사람이아님
-
우울해 2
우우우
-
손이 먼저 나가면 안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음
-
레어 장만 11
쌈@뽕하죠?
-
배고파 1
너의 오빠
-
망했어요 2
내일 아침 1교시 서반데 아직도 못잠 ㅋㅋㅋ
-
암산테스트 9
이거 3으로 나누면 화2 점수가 되더라구요
-
근데 확실히 2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야 함.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 많을 수록 자기객관화가 잘...
-
만표 180 ㄹㅊㄱ 확통은 만표 150..?
-
오늘 현강에서만 한 세번 얘기한듯 ㅋㅋㅋㅋㅋ ??: 평균 떨어지는 소리 들린다 아...
-
지금 안정 3 뜨는데 수능 때 2가 목표입니다 ㅜ.ㅜ 유자분 다 하면 n제랑 실모 풀면 되나요?
-
서울대 CC 0
전국단위 자사고 (용인 하나 상산)중 하나 다니는데 내신 5.4입니다.. 이거...
-
욕인가 칭찬인가
-
밸런스 게임 2
넷 중 더 힘든 것은?
-
국어 언매 138 화작 134 1컷 129 수학 기하 / 미적 150 확통 139...
-
자야겠다 1
다들 힘차고 강한 하루
-
잘자 4
나 자신 너넨 꿀잠
-
표본 #~#
-
약속은 못하지만 발언은 할게요
-
교재 작업 처음 해봐서 발퀄이긴 하지만... 혹시 어떤가요?? 뒤에 예전에...
-
암산테스트 2
저능....
-
오늘부터 시작한다
-
암산게임 ㄹㅈㄷ 2
숫자키 천지인으로 하고 각성함ㅋㅋㅋ 뽀록도 좀 잘터진거같긴 한데 자러감
-
ㅇㄷㅌㅊㅎㄱㅅㄷ 2
-
지금보다 기니까 순수 오르비언 맞아
-
저 싫으면 개추 주세여~
-
그것이 나니까.
-
이런식으로 나올 수 있음? of다음에는 보통 명사가 오지않다 of 담에 동사가 어케...
-
ㅇㅇ
-
채널좌와 이요와p 콜라보
-
진힐라. 등장 3
나다
난이도도 과탐은 엄청 오려워져서
진짜 12수능 이전의 수리 가형들 보면 심심하면 앞쪽에 튀어나오는 역배점 3점 문제에
문제 유형도 지금에 비하면 비정형적인 느낌도 들고 지금봐도 헉스러운 문제도 몇 있어서 이때 사람들은 공부 어떻게 했나 싶은..
그냥 그때는 피지컬찍누 + 바로바로 스킵하기 능력이 곧 수리가형 점수였어요
그게 왜그냐면 그때는 실전개념이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까지 고려를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본인의 순수한 체급이 중요할 수 밖에 없어요
ㄹㅇ 지금처럼 고도화된 공략법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인데도 문제에서 요구하는 능력치는 어마어마해서 진짜 그야말로 재능으로 수학치던 시절같네요
그게 극에 달했던 때가 09-11평가원인데
그당시에는 인강패스, 컨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그에 대한 공략법같은건 존재하지도 않았으며
요즘 모든 실전개념의 시초격인 문제를
현장에서 "처음" 접하고 "순수 피지컬"로 뚫어내야만 했던 시대였습니다.
당연히 지금 관점에서 보면 쉽죠.
하지만 온갖 스킬 컨 사교육없이
본인의 순수한 능력치만으로
그 문제를 현장에서 처음 접해서 뚫어낸다?
어떻게 보면 요즘보다도 더 어려울 수도 있다 봅니다.
저는 그때 겪어본 자산으로 지금까지 먹고사는 중이네요.
과탐같은 경우도 지금처럼 퍼즐이 아닌 기본개념 수준으로 쉬운 문제지만
오개념 허점찌르기식 문제가 꼭 하나씩은 나왔고
각 탐구 범위가 지금과는 다르게 넓었으며
그걸 4과목을 했던 시절입니다.
당연히 과탐도 패스,컨 같은 개념이 없던 시절...
12수능때부터 격자점 열풍으로
대가리 깨고 다녔음 ㅋㅋ
그거 기출 공부하느라 대가리 깨졌었는데
지금봐도 어려움.
공도벡도 괴랄한거 많고
미적분도 어려운거 있었지만 16부터 갑자기
난리를 치게된거 같네요. 그땐 입시 안했었는데
기출보면 후덜덜해요
계산속도는 절대로 10대 못따라감
그거 인정하고 미적분에서 기하로 런쳤습니다
똑똑한 사람
아무리 n수를 해도 절대로 늘지않고 퇴행하기만 하는게 계산속도임

.지금 봤는데, yoyo 아저씨 아이민이 삼십만이 아니라 삼만이네 ㄷㄷ오.. 저도 딱 09~11에서 그 느낌을 받았습니다 ㅋㅋ
사실 그 이전의 고대가형(?) 시절은 잘 모르겠고 09부터 가형 계보를 쭉 분류해보면
09~11 수리 가형 (진짜 그냥 막 내던 시절) , 12~18 수리 가형 수학B형 ( 극강 30번 한 개 몰빵), 19~21 수학 가형 (30번 힘 빼고 준킬러 메타) 정도로 분류 되더라구요.
항상 보면 09~11 가형 시험지는 경외감이 들던.. 범위도 지금 수1수2미기확 +알파였으니까요. 지금 교육과정에 행렬,상용로그 지표가수, 선택미적 방부등식,회전체 부피 더 들어온다고 생각하니 머리가 어질어질 ㅋㅋ
거기서도 09가형이랑 11가형 스타일도 갈립니다
11가형은 함수추론 킬러의 시초격이었고, 확실한 킬러 2문제에 준킬러 5-6문제 스타일이었다면
09가형은 확실한 킬러는 없지만 준킬러(당시기준 신유형)을 15문제 정도를 산개해서 여기저기 지뢰깔듯이 깔아놓고 5,6번에서부터 역배점거는 스타일이었습니다.
그 덕(?)에 10가형이 막 쉬운 시험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의 양대산맥 덕에 물가형 취급받는...
그쵸 ㅋㅋ 말 나온 김에 11가형 시험지 보고 있는데 24번 문제는 진짜 그야말로 함수추론의 시조격.. 저 문제는 시대상 감안하고 보면 진짜 볼 때마다 감탄스럽네요
시험장에서 저 밑줄까지 굵게 쳐진 "미분가능하지 않다"가 얼마나 큰 압박감으로 다가왔을지 ㅋㅋ 25번은 지금 나와도 묵직해보이는 문제고 22번 내적최소 16번 지로함 문제같은 것들도 보면 11수능은 그냥 예술이네요 ㅋㅋㅋㅋ 현장에서 ㄹㅇ 얼마나 빡셌을지;;
09가형은 또다른 재미(?)가 있었습니다
11가형대비 막 엄청나게 어렵진 않은데 뭔가 불편한 느낌
아니 이런게 왜 앞부분에서 3점달고 나오는데
겨우겨우 버티고 왔는데 최종 피날레를 공도2연타로 마무리
와 09가형 풀세트 시험지 처음보는데 25번 저 문제가 09가형 이었네요 ㅋㅋㅋㅋ
16번도 굉장히 세련된 문제고 11번 구분구적 ㄱㄴㄷ은 대놓고 역배점이군요
경우의 수 문제도 지금에 비해서 굉장히 거칠어보이고 특히 기벡쪽은 그냥 지금 각 단원마다 필수예제급으로 쓰이는 문제들 다 모여 있네요 ㄷㄷ
가형땐 2750이라는게 잇엇다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