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f(5,1)에서 아래볼록에서 위로 볼록으로 가는 변곡점이면 역함수 h(x)에서...
-
문돌이 신소재 2
통통3등급 문돌이가 신소재가면 빡센가요? 글고 통통인데 미적가산3퍼 차이 큰가요?
-
미적은 무난한데 표점차이 좆버그
-
하나의 별을 공전하는 행성 a,b의 질량, 반지름이 같을 때 두 행성의 별과 행성...
-
ㅇㅂㄱ 0
미라클모닝은 힘들구나
-
일단 나는 셀프로 가난하게 큼.
-
세지 1
이과 반수생 사탐 처음 해봄 사문 찍먹했는데 너무 재미없어서 세지하려 하는데 지금...
-
제가 반수를 준비하고 있는데, 무휴학이라서요. 모교가 다른지역인데다가 주변에 학원은...
-
김해국제공항 오르비꺼라 11
넵
-
풀업 하나하기 참 힘드네
-
김일성 ㅅ발럼
-
2028부터 과거에 내신 안좋은 나이든 늦깍이들은 수능 아무리 잘봐도 예과대 못들어...
-
인공감정 예송변 이중차분법 위 세 지문은 난이도를 떠나 그냥 온톨로지적으로...
-
담배끊는중 4
금연2일차
-
일품 22개정 2-1, 2-2, 확통 쎈 15개정 구합니다 0
커피깁티 보내드려요
-
현장 언매 10분컷 <<< 장사치들이 만들어낸 허상임 2
언매 모의고사로 연습을 하겠다 <<< 참 좋은데 언매 모의고사 양치기로 시간을...
g가 연속함수기 때문에 저렇게 하신 거면 좋은 풀이입니다

오오 감사합니다!! 부분역함수 공부하다보니 g가 연속함수에 기울기 함수도 연속함수라서 저렇게 할 수 있더라구요부분적으로 역함수.. 그것보다는 그냥 써놓으신 대로 g가 연속인데 변곡점을 함숫값으로 가질 수 없으므로 최솟값인 5/2가 나오는 점은 변곡점보다 크다
이런 논리가 적절할 듯합니다
정확하게는 continuous map이 connectedness를 보존하는 성질 때문에 그렇습니다 (물론 교과외, 해석학개론에서 배우는 내용)

너무 간거였군요 저것만으로 괜찮나보네요...생각보다 자세하게 답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은 하루 되세요!! ㅎㅎ
훌륭하십니다
근데 3에서 합성함수 미분 개념 도입한거면 공통범위에선 힘들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