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문제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84104

어제부터 계속 찾아봐도 명쾌한 답이 안나오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카 괜히 왔다 1
-
지문형 문법 푸실 때 대부분 케이스별로 규칙들이 많이 나오는 거 여백에 정리하면서...
-
님들은 0
이마까고 다님 이마 덮고다님? 나는 이마까면 이상해서 덮머임
-
가볼까
-
기하급수적으로 많이풀어야한다고는 하는데 얼마나 해야하는건지 감이 안오네 공통...
-
강k 68 1
강k 11회 풀어봤는데 68점 나왔는데 제가 이상한건가요? 서바도 84~92는...
-
사람 ㅈㄴ많은 엘베 5분기다려서 겨우탔는데 누군가가 문닫히던거 갑자기 뛰어와서...
-
국영수탐 다 노베일경우 중요한 6모 9모 빼고는 다른 월에보는 더프모의고사같은거는 의미없겠죠?
-
난이도가 과하지는 않은거 같은데 얻어갈거 충분히 있고 같이 딸려오는 아티스트로...
-
심심한인가
-
첫 두번은 대학생때랑 회계사 동차때 시험보고 결과 기다릴 때 그니까 돈이 없을때...
-
가장 어려운 문제 2개 고정으로 틀리고.가끔 개념 빵꾸로 몇개 틀라는데데이러면 평가원 몇등급임?
-
살색으로보이면 야동 본적있는거고 검정색으로 보이면 야동본적 한번도없는거임
-
이해원이 제일 좋을까요? 시즌2 시즌1 중에 뭐가 나을까요
-
이럴때는 어카면 좋나요? 개념 기출책 보기 전에 한번 머릿속으로 생각해도 계속 안...
-
모기 퇴치기에서 박수 소리가 날수 있구나 소리가 너무 커서 공부 할때 깜짝 놀란다.
-
퀄 어떤가요???
-
흠
-
정시 내신?? 1
정시하려는 고2 인데 내신 과목 중에서 수학, 언매, 물리, 지구는 챙기고...
-
이때 불이 나와야 수능때 쉽게 나와
-
건국대 교과전형 0
전기전자공학과 교과 작년 50컷이 1.6이고 70컷이 1.65입니다 제가...
-
11시 취침하고 7시에 학교가서 공부해야지 ㅉ..
-
피부 성형 인기과 보장되는 지방의대 vs 메이저의대에서 하위권 보통 어디가 더...
-
왤케 평이 좀 그렇지.. 그냥 읽고 있으면 재밌던데
-
KBS좋네 근데 자포자기라는 말 보면 흠칫함 기가 지로 읽힐거같음..
-
그냥 시작부터 턱 막히는 느낌임
-
버거킹 시킴 9
ㅎ
-
언제 산화됨? 변호사보다 지가 낫다고 주장하는 새끼
-
생윤 롤스 질문 0
사회적 운의 결과물과 천부적 재능[자산]의 분포는 서로 같은것을 의미하나요?
-
일반고 이과 3 극초반 현역입니다 수시 카드 정리하다보니 한장 남는데 동국대 인문...
-
설맞이 왔다 0
ㅡㅎ흐흐ㅡ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ㅡ흐흐르흐
-
현재 거주지와 다른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N수생입니다. 거주지에서 응시를...
-
으악
-
국어 제발,, 1
국어 점수 편차가 너무 심한데 이거 어떡하죠 문학 선지판단이 넘 오래걸려요,, 이거...
-
말리지 마셈
-
애초에 현역부터 내가 덤빌 깜냥도 안되는 성적이었는지or 아니면 그래도 n수 박으면...
-
0회
-
여러분의 실력을 검증해보세요. [Prime] 한대산 영어 연구소 한대산 영어 올림....
-
영어 전국 서바 0
어렵지 않나요?
-
교육청 가서 원서접수했으면 끝인건가요? 반수는 처음이라….. mycsat 사이트...
-
무이치로는 14살의 나이에 주가 되었는데...
-
많이 보니까 익숙해져서 그렇지 이거 현장이었으면 얘 때문에 수능 또 봤을 거 같음
-
스위스>>>>독일,영국>>>프랑스>이태리>>>>스페인,포르투갈
-
현역 국어질문 0
지금 정석민 비독원 듣는중인데 제가 예습지문 풀어간거에서 제가 생각도 못한거를...
-
실모처럼 칸 나뉜 거는 그냥 쭉 아래로 내려가면서 풀이 적으면 되는데 N제처럼 한...
-
사람은 멀까요?! 놀자는 건가
-
이거 호불호 외케 갈림 점바점심한가..
-
ㅈㄴ 화나네
-
스위스 캐나다 독일 정도
Q1. T1 시점에 지평선 안에 있던 A가 보낸 빛을 T2 시점에 보고 있는 거에요. T2 시점에 A가 지평선 밖에 있다는 사실과 T1 시점에 A가 지평선 안에 있었다는 사실은 모순되지 않아요.
Q2. 빛의 후퇴 속도가 0이 되는 순간은 팽창 속도와 빛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이에요.
Q3. 빛 P가 T2에 우리에게 도착했다는 사실 자체가 P가 T1부터 T2까지 동안 공간 팽창을 이겨낼 만큼 충분히 가까운, 즉 우주 지평선 안쪽에 계속 있었다는 얘기에요.
1. t2시점에 a는 지평선 위에 있어요 !! 그니깐 제 말은 빛의 속도로 커지는 우주 지평선이 후퇴속도로 따지자면 빛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후퇴하는 a를 어떻게 따라잡아서 t2위에 a가 존재하느냐 이말입니당 ~!
3. p는 t1 시점부터 어느 시점까지는 우주지평선 밖에 있지 않나요 ??
우주가 등속으로 팽창하는 경우, 우주의 지평선에 있는 천체는 우주의 지평선과 동일한 속도로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므로, 계속 우주의 지평선에 있게 됩니다. 그러다가 우주가 감속 팽창을 하면 지평선에 걸쳐져 있던 천체가 지평선 안쪽으로 들어오게되는거구요. 가속 팽창을 하면 지평선 밖으로 밀려나게 되지요~ 지평선 밖에 있던 A가 지평선 안쪽으로 들어왔으므로 우주가 감속 팽창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주의 팽창 속도가 느려져서, 지평선 밖에서 지평선보다 빠르게 멀어지던 천체가 지평선한테 따라잡힌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주지평선이 빛의 속도로 팽창하는데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던 A가 어떻게 안으로 들어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