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왜 이런 글을 긁어왔는가? - 20190633(영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46270
이 글에서 가장 큰 문제는
'cultural authority'를 제대로 정리할 수 없다는 것임.
고등학생 수준에서는 'external authority'와 'internal authority'가 대립하고
'internal authority'가 주인공의 삶과 관련된다는 것만 알 수 있음. 아니 알 수 있다?
굳이 따지면...
The novel(도대체 뭔 소설임?)은 주인공의 숨겨진 삶 전부를 밝히고자 한다....
소설의 구성은 authority에 대한 주인공의 물음이 주이다....
그래서, 이 소설(ㅆㅂ)의 목적은 개인이 만들어내는 법칙(강령)을 찾는 것이다....
이 정도고, 빈칸은 소설이 유명해진 이유와 관련되는데
뒤 내용을 보면 그냥 'internal authority' 때문이라는 거고, 이것은 주인공과
관련 있으므로 정답은 ①(개인 캐릭터를 확립)이다.
여기까지 읽었을 때 의문은
'도대체 The novel은 무엇일까?'와
'cultural authority는 뭔 개념일까?'이다.
일단 첫 번째 의문은 얼추 해결되었다.
'The novel = Victorian novel'이다.
Victorian novel은 18~19세기 영국 소설을 뜻한다.
구체적으로는 신문에 연재되는 대하소설... 토지를 신문에 연재했다고 생각하면 쉬우려나?
분량이 무시무시한 소설을 사람들이 찾아 읽도록 만들기 위해 스토리텔링 능력을 강화하였다.
게다가 제목은 'Detection in the Victorian novel'이다.
빅토리안 소설 내 탐정(물)을 뜻한다.
즉, 18~19세기 대하 탐정소설이다. 시발 이걸 어떻게 알아?
두 번째 의문은 'cultural authority'의 정의가 너무 방대하고 애매하여 제대로 정의할 수 없다.
그래서 고민하다가 '주인공을 둘러싸는 외부적 요소 또는 (탐정학의) 권위자'정도로 결론 내렸고
이후 서칭하다가 좋은 글을 하나 찾을 수 있었다.
=========================================================
출처: mosit(유사보어 사건이 벌어졌을 때 평가원 교수들을 꾸짖은 숨은 고수)
④ cultural authority : “cultural authority”라는 단어는 우리말 한 단어로 도저히 번역할 수 없다. 방대한 개념이고 이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의미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이 문맥에서 어떤 의미로 “cultural authority”가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국내에서 대학의 영문과에서 문학전공으로 석사과정 이상의 학생들, 거의 모두 이 지문에 사용된 “cultural authority”의 의미를 도저히 알 수가 없을 것이다. 극히 몇 명을 제외하고 심지어 대학에서 강의하는 영문학 교수도 거의 모두 이 지문에 사용된 “cultural authority”의 의미를 도저히 알 수가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 이 문제 출제자가 기함할 정도로 안이하고 무능력하다. 그냥 원문 가지고 있고, 그래서 그 당사자는 공란에 무엇이 들어가는지 알고, 그래서 문제로 출제한 것으로 보인다.
“authority”라는 단어 저변에는 “신뢰, 믿음”이라는 뉘앙스가 깔려있다. “author”는 만든 사람, 저자를 의미하고 그래서 진짜, 오리지널.... 이런 의미가 깔려있다. 그 형용사인 “authentic”은 진짜, 믿을 수 있는 것.... 이런 의미로 사용된다.
일종의 영문학 개념이나 용어 사전으로 사용하는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Crime Fiction”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Eighteenth-Century Novel”에도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없다.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Victorian Novel”에는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그 용어에 대한 정의 없이 전체에서 2번이 사용되었다. 이 책이 33번 문제 원문이 있는 책이다.
Daniel G. Williams의 Ethnicity and Cultural Authority From Arnold to Du Bois: “cultural authority”라는 용어는 그 용어에 대한 정의 없이, 지문에서 몇 번 사용되었다. 이 책에는 아주 재미있는 부분이 있다.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 – which had once guaranteed an optimistic belief in the harmony of moral and material progress
여기에서는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를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⑤ to establish the individual character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urces of cultural authority : 문제 지문에서 언급된 “the genre”는 탐정소설을 의미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Arthur Conan Doyle의 “Sherlock Holmes”를 의미한다. 이런 유형은 영미소설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소설 평론가들이 분류하기가 쉽지 않다.
Walter Scott의 “Ivanhoe”에는 “the church”가 강력한 세력으로 등장하고, 왕에 대한 충성심, 기사도...등이 등장한다. 그런데 자서전적인 소설에는 “the community, the home, the church”가 핵심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가령 “Jane Eyre”의 경우 개인의 성장소설이다. Jane Eyre가 고아원으로 가게 되고, 고아원에서 성장하고 가정교사로 가게 되고....
자서전적인 소설, 가령 “Jane Eyre”에는 Jane Eyre가 주인공이다. 탐정소설에서는 탐정이 주인공이다. 이전에는 인간은 신의 피조물로 간주했으나 이제는 나무에서 떨어진 원숭이의 후손(= 종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교회에서 설파하는 내용을 믿을 수가 없다. 그러나 Arthur Conan Doyle의 “Sherlock Holmes”에서는 과학지식, 더 정확하게는 Forensic knowledge(= 법의학 지식)으로 범인을 추적하고 지목한다.
================================================
읽고 대충 요약하면 결국 '소설을 구성하는 주 요소'정도가 되겠다.
빅토리안 시대 이전 소설에서는 주 요소가 결국 주인공을 둘러싸거나 주인공이 속한
집단, 사회 등이었는데 그것이 주인공의 이야기로 변했다는 이야기이다.
이걸 ㅆ~ㅂ 도대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물론 수능 지문이 완전한 이해를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최근에 어려웠던 문제들
(20191133, 20231134, 20241133, 20251132)는 '적당한 수준의 이해'가 가능한데
이 문제는 정보 수용만 가능해 보인다. 학생 수준에서는....
결론
1. 다른 문제로 평가원을 까는 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2. 이 문제도 '풀 수 있나?'라는 것만 생각하면 문제가 전혀 없다. 잘 풀림.
3. 근데 '과연 이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한 후 빈칸에 들어갈 말을 정답과 똑같이
추론할 수 있을까?'란 질문에는 '아니오'라 답하고 싶다.
4. 이건 너무 심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진짜어려워서 하는말임
-
나는 매일 아침 0
학교 가는 버스안에서
-
8시간만에방전되고집중력어디떨구고와서효율마이너스일억찍고그냥개같이멸망햇다다오늘은버리는날이...
-
카티노래추천좀 0
카티는잘모름
-
오우예 아자자자자자
-
후 헬스 끝났다 3
-
그러다 2
밤이 찾아오면 우리 둘만의 이건 알겠지?
-
옯아싸 8
-
수업이어듣는애들 농담까지 다 기억하나 난 왜 이렇게 모자르지 ㅠㅠ
-
분탕프사 on 1
-
벡터는 제가 그 게임에서 최초로 얻은 5성 캐릭터였어요 이게 8년전 이야기네
-
이해원n제 0
기하 선택으로 6평 15, 21, 22, 30 틀렸고 6평 전에 푼 게 쎈밖에...
-
잔나비 투게더? 3
실밥빼면 바로 아이스크림 직핸한다
-
이런
-
뭐 챙겨둘지 추천좀 화작확통경제사문러임
-
서프 사야하나 0
투과목 컨 좀 공급받아야 하는데
-
허허
-
비상식량 0
이라는사람이있었대요 진짜일까..
-
? ? ? ? ? ? ? ? ? ? ? ? ? ? ?
-
쌍지 팁좀주세요 2
이번주말에 메가 사서 시작할건데 밤 12시 ~ 새벽 4시 이렇게 맨날 공부할듯한데...
-
나는 너의 0
음악이고
-
자살하고싶으면개추 11
일단나부터 ㅇ ㅇ
-
맞빨구 0
으흐흐
-
남은건
-
작년즈음에 7
자기 고등학교 자퇴인가 미진학하겠다고 했던사람 있던거같은데 그때 사람들이 엄청...
-
짭심한 심지어 11
산타는 돌고래가 아니라 표남경이었네;; 조때땅;;
-
한 07년생 남고딩 같음 ㄹㅇㅋㅋ
-
ㅏㅕ
-
으흐흐
-
이제 나도 적백이니
-
아냐 손에도 익었어
-
제가 국어 ㅂㅅ이었는데 나이드니까 독해력이 올라서 브레턴우즈 헤겔 에이어 가능세계...
-
혹시제가레어를사도될까요 15
ㅆ덕레어가사고싶네요으흐흐
-
난동의한적없다구웃
-
마차타고?
-
아직도 어질어질함
-
지금듣는수업 책이 없어서 필요했는데 쓰레기장에서 하나 주운거임 이름적혀있던거...
-
각각 맛있었던거 3개씩만 꼽아줘여
-
지금 하기는 책값아까운가 pdf가 없던데 피램 한바퀴 하고 지금 고2모고 문학독서...
-
닉변완 14
-
모두가 틀리는 변별력 없는 문제 아님? 모두가 맞추는 문제와 사실상 차이가 없음
-
좌극한 우극한 같다 식 써서 어떻게 풀긴 풀었는데 g(x)가 첨점인 점에서...
-
갑저기 이 글을 왜 쓰냐면 여기 재테크 소리가 많이 나와서 나도 한마디 얹어보는 것...
-
.
-
닉네임 바꿔야지 14
-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친추 받아요 하음 #31629
-
수능 공부하면서 영어는 오르비클래스의 김지훈 선생님의 커리큘럼을 따라 듣고 있는데...
-
꺄하하 2
지문을 직접 만들 능력은 없고 레퍼런스는 필요하고 난이도는 올려야겠고
그렇다고 진짜 괜찮은 원문을 선별해낼 능력은 없고
절평때문에 영어에서 이런류의 분석이 많이 줄어든게 아쉬움
아직도 내용 뭔 내용인지 모르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