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이형 접합으로 찍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13791
감각적인 직관을 동원하여 찍을 때 사람들은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경우가 정답일 것이라고 찍는 경우가 많아요. 물론 이형 접합성인 경우가 항상 답인 것은 아니지만, 이형 접합성인 경우가 정답일 확률이 높은 것은 맞아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는 최대 최소 논리와 관련이 있어요. 대체로 적은 수의 조건들로 구성된 문제의 정답이 하나로 확정되기 위해서는 정답이 극단적이어야 해요. 최댓값이나 최솟값이 정답으로 설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경우에 특정한 확률이 최소가 돼요.
23학년도 수능 9번이에요. (가)~(다)의 표현형이 모두 같을 확률을 A, (가)~(다)의 표현형 중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을 B, (가)~(다)의 표현형 중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을 C, (가)~(다)의 표현형이 모두 다를 확률을 D라고 할게요. (가)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을 P, (나)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을 Q, (다)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을 R라고 할게요.
A+B+C+D의 값은 1이고, P+Q+R=3A+2B+C예요. A=1/4이고 B+C+D=3/4이므로 B=3/4, C=0, D=0일 때 3A+2B+C는 최댓값 9/4를 가져요. 부모의 (가)~(다)의 표현형이 모두 우성이므로 P, Q, R의 최솟값은 모두 3/4으로 같고 P+Q+R의 최솟값은 9/4예요. 따라서 P+Q+R=3A+2B+C=9/4예요.
3A+2B+C의 값으로 9/4보다 더 큰 값이 가능했다면 답으로 가능한 케이스가 여럿 존재했을 거고 문제가 풀리지 않았을 거예요. 다시 말해 3A+2B+C의 최댓값은 P+Q+R의 최솟값과 같도록 문제가 설계될 수밖에 없었고, P+Q+R의 값이 최소일 때인 (가)~(다)의 유전자형이 모두 이형 접합성인 경우가 이 문제의 정답일 수밖에 없다는 거예요.
이 문제를 풀 때 위의 과정을 떠올릴 필요는 없어요. 위의 과정은 정답을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경우로 찍는 것이 합리적인 이유를 설명하는 내용이고 문제에 실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아니니까요. 다만 최대 최소 논리가 이용되었음을 예상하면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좋은 자세예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실모 3회 p.134 20번 ㄱ 선지 t1 시기는 최대청색편이를 지나 청색편이에서...
-
노동법은 당연히 비중 높으니까 나올거고 이번에 대선 다시했으니까 교수님 선거법...
-
온라인으로 성적표 나옴?
-
흐릿흐릿
-
1등급이 수학뿐인데 냥대를 갔음
-
빨리 민철이햄과 만나고싶어
-
수학 도와주셈 4
N기출 3점 풀었는데 그건 어느정도 ㄱㅊ아서 다풀고 어삼쉬사로 넘어왔는데...
-
확통러들 특 3
시그마 그리라 하면 동그란거 그림
-
회원탈퇴 계속 눌러도 무반응인데..
-
빌런 6
대각선에서 다리 떠는데 보니 공부도 못하면서 민폐짓거리는 많이 하네. 확통 사탐...
-
이번 학기 학점 4
진짜 개망했네
-
이해가안되노
-
연대 아동학과 ‘100% 이과생’…문과침공, 한양대가 1등 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3964 어제...
-
안녕하세요…! 현재 재수중인 한 학생입니다. 지금 상태는 작년 수능 국어 백분의...
-
ㅈㄴ덥네 걍 지하철타고 갈거임 저녁에 운동해야지 낮에하는건 무모해
-
와 0
자다가 역 놓칠뻔 크크크
-
안녕하세요! 제가 어법 주간지를 만들면서 Day 1편을 업로드 하려고 합니다....
-
강서구 무료과외 0
큰 뜻은 아니고 제가 고시 공부를 하는데 요즘 해이하게 살고 있어서 어려운 분들...
-
김종익t 듣는데 43강 정도 되네요 2개가 나을까요 1개가 나을까요 아직 처음 유교부분입니다
-
우리는 사교육보다 덜 떨어진 집단이니 공교육으로 수능 충분히 대비 가능하게 교육적...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