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거리곱의 기본 1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5907
거리곱은 계산할 때 다항함수의 식을 적는 대신 x좌표와 x좌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f(x)=mx(x-1)(x-4)인 경우 f(3)을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3)=m×3×(3-1)×(3-4)=m×3×2×(-1)=-6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3)=±|m|×3×2×1=-6|m|이에요. 부호는 그래프의 개형에 대해 생각하면서 마지막에 붙이면 돼요.
n중근이 있는 경우에는 거리를 해당 근의 개수만큼 곱해주면 돼요. 중근인 경우 2번, 삼중근인 경우 3번 곱하는 식으로요. f(x)=mx3(x-3)인 경우 f(2)를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2)=m×23×(2-3)=-8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2)=±|m|×23×1=8|m|이에요.
다만 허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곱을 사용하기 어려워요. f(x)=x4-1인 경우, f(x)=0의 근은 ±1 또는 ±i예요. (i2=-1) 거리곱을 사용하여 f(2)의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3, 1, 2+i, 2-i를 곱해야 되는데 식을 작성하지 않고 그래프만 보면서 허근의 값을 알기 어렵기에 허근이 있는 경우에는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더 나아요.
x축이 아닌 다른 직선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도 있어요. 거리곱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 기준이 되는 직선으로부터의 상하 거리를 의미하므로 f(x)=m(x+1)x(x-3)+6인 경우 f(1)을 구할 때는 직선 y=6을 기준으로 ±|m|×2×1×2=-4|m|을 구한 뒤 6을 더해 f(1)=-4|m|+6임을 알 수 있어요.
기준이 되는 직선이 x축에 나란할 필요는 없어요. x축과 어떤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모두 아는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f(x)=m(x+2)2(x-1)+x+1인 경우 f(2)를 구할 때는 직선 y=x+1을 기준으로 ±|m|×42×1=16|m|을 구한 뒤 x+1에 x=2를 대입한 값인 3을 더해 f(2)=16|m|+3임을 알 수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축구농구 좋아해서 작년까지만해도 건강에 대해서는 고민이 없었는데요 고2넘어오는...
-
롤 하기 vs 리그 오브 레전드 하기 추천좀요
-
10세트 풀로 올라오면 그때 풀면 됩니당 전체적인 난이도는 이 샘플 문항 정도로 셋업할 예정
-
씨발!!!!!!! 인생 참 불공평해 아이 씨발거 그래안그래
-
잘말 7
까까
-
잠 노잼이네.. 1
오르비 해야지
-
다들 어케하시는지…?? 어떤식으로 하시나여
-
지2 N제 또는 자료 어떤 게 있을까요?
-
사문은 터졌고 과탐은 경쟁자가 시대스투 고능아들인데 생윤<< 이3끼는 ㅈ반고 담요단...
-
한완기 생각중인데 괜찮음?
-
드릴 난이도 8
드릴 난이도 진지하게 몇인가요? 1등급 안정권 만들기 2등급 안정권 만들기 3등급 안정권 만들기
-
1번 상식선으로 풀 수 있음 2번 상식선으로 풀 수 있음 3번 상식선으로 풀 수...
-
진짜 열심히 한다..
-
우울해 6
우웅~
-
올오카 진짜 좋네 15
심멘 휴강동안 한달 찍먹해보자
-
내가 안한거여서 변명은 못하는게 안타까웠어..
-
수학 9등급 6
어떤 과외쌤 찾아야할까 다른과목도 노베라서 엄청난 투자는 못할 것 같은데 간절함은...
-
한강이 되면 됨
-
너튜브에서 지미존스 샌드위치 관련 영상을 보다가 샌드위치 진짜 많이 드셔보신 듯한...
-
나도 걍 아무생각없이 마지막꺼 세개만 더함 검토할때 고쳐서 맞음
옹 x축아닌 다른직선으로도!

그렇죠~~실전성 있다 생각하시나요?

평소에 거리곱을 쓰는 사람들은 실전에서도 거리곱을 잘 사용하기 때문에 실전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해요저도 저런식으로 쓰는데 나름 괜찮아요 근데 단순 계산용에만 그치면 좀 아쉽긴한데 제목에 기본이라고 하셨으니 다른것도 더 다루실듯요
계산단축 개꿀임
신성규선생님이 밥먹듯이 사용하시던데

거리곱을 마스터하셨나 보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