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특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69292
종성 ㅅ에 있어도 발음했음
유성음이 음소로 있었음
이중모음 존나 많았음
체언 곡용 존나 많았음
근데 하필 세종이 발음법 같은 거 기록으로 제대로 안 남겨서 합용병서랑 모음 음가 학자들마다 생각하는 게 지좆대로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집중안됨 7
퇴근
-
헉
-
어깨 부숴진 듯 0
볼링 15게임 함
-
만표 기하가 더 높을 때 오르비 여론이 궁금해
-
재수생인데 김동욱샘 듣다가 6모때 문학때 35분 녹고 독서3지문 날려가지고 76뜸...
-
6모 5번 18번틀 고3 현여기입니다 이알기 문제는 다 풀었고 강의만 남았는데 강의...
-
수능질문 0
국어 91 수학 98 영어2 사문 96 지구 96 이정도면 대학 어디가나요? 연고공 ㄱㄴ?
-
지금 신택스 듣는데 풀커리 타기엔 가망이 없어서 알고리듬 넘기고 바로 리앤로...
-
가지말라고..
-
호오오 0
아... 그는 좋은 구데타마였습니다...
-
둘다 거의 안풀었고 마더텅은 제일 처음 1장 풀었습니다 두개해서 15000까지 생각중입니다
-
올해 6모 공통 14번이 3모 20번 오마주한거임? 0
왜캐 비슷해보이지??? 물론 3모보단 더 어려운 거같음..
ㅅ발음어케함?
영어 s처럼?
네 맞습니다. '스'보다는 짧지만 그래도 ㅅ 소리는 나는 이런 걸 흔히 외파(released stop)라고 합니다.
오오
그럼 빛 이런것도요?
후기 중세국어(저번 육진 방언 글에서 전기vs후기 관련 언급했으니 찾아보시면 됩니다) 시기에는 8종성법이 쓰였는데 ㅅ, ㅈ, ㅊ은 음절 말에서 ㅅ으로, ㄷ, ㅌ 은 ㄷ으로 쓰였습니다. 학계에서 이를 볼 때 ㅌ은 현대국어처럼 음절말 끝소리 규칙으로 인해 ㄷ으로 발음됐지만 ㅈ과 ㅊ은 ㄷ이 아니라 ㅅ으로 발음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빛'이나 '젖' 같은 단어들은 15세기에는 ㅅ으로 음절말 끝소리 규칙이 적용된 겁니다. 하지만 그 이전의 시기 전기 중세국어 혹은 후기 고대 국어시기에는 이들이 음절말에서 ㅈ이나 ㅊ대로 발음됐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차자 표기를 보았을 때 연음이 될 환경이 아님에도 ㅈ이나 ㅊ 음에 해당하는 한자들이 쓰였거든요.
육진 방언 국어사 글에서 ㄹ 관련 내용에서 간략하게 소개했으니 다시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아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