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uster: 바코드 [760167]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5-06-05 02:30:44
조회수 3,455

이! 단체로 놀러가신것 같은데! [26학년도 물리학1 6월 모의고사 총평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46969

(3.6M) [127]

26 6평 손글씨 해설.pdf

단체로 캠핑가신게 분명하다!



26학년도 6평 총평및 손글씨 해설입니다. 






문항 별로 한 번 보겠습니다. 


2번 문항


C가 주목할 부분인것 같은데, 핵반응시 고온의 열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묻는적은 처음입니다. 

핵 반응식을 채우는것 뿐만아니라, 언제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공부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글로 저런식으로 핵 반응식을 나타낸적은 처음이라 당황 할 수도? 있을수 있는 문항입니다. 



4번 문항


EBS 연계인데... 제발 EBS 봅시다. 심지어 EBS가 더 어렵습니다.


(난 X선 의료기술 연계로 나올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



8번 문항

이 문제는 정확한 값을 계산하라고 만든 문제가 아니라, 정성적으로 비교하는 문제로 출제되었습니다. 잘 낸거 같네요. 앞으로 t2~t3 평균 힘 같은 문제들도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거 처럼요 (216평13번)

위의 문제도 0초부터 속력이 0이 될 때까지를 물어보지 않고, 충돌하는 동안 평균 힘의 크기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도 등장할 수 도 있다는점 알아두죠. 




9번 문항

이거 ㄴ선택지 잘 풀어야합니다.

A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자 1개의 에너지는 E3-E1이 아닙니다. 최소 E3-E1이고, E3가 되려면,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 지점까지 떨어졌을 때를 의미하는데, 그럴려면 전자가 원자결정 표면까지 들어가야합니다. 말이 안되죠. 그래서 E3는 안되는 것이고, 최솟값은 존재한다 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10번 문항 


이 문제 ㄷ선택지 조금 쉽게 푸는 방법이  t0=1을 먼저 구하고, t=0부터 t=1의 파동의 이동을 생각해 보면 

+x방향으로 이동하는게 맞지만, 1초의 시간 동안 왼쪽으로 1m씩 이동한다고 생각하면 풀기 쉽습니다. 


그럼 이제 t=2초는 아래 그림처럼 될겁니다. 


그럼 x=3m에서 변위가 2가 나오죠.



11번 문제

요즘 상대론 쉽게 내는데... 그렇다고 상대론은 앞으로 쉽게 낼꺼다 하면서 소홀이 하지는 맙시다. 


근데 이건 진짜 기본만 물어보는 문제라서 아쉽네요




12번 문제

독특하지만.. 그냥 말장난 문제입니다. 



15번 문제

이거 그림 처럼 선 그려야합니다. 운동 에너지-빛의 진동수 함수의 기울기는 플랑크 상수 h 입니다. 잊지 맙시다!



16번 문제

개인적으로 정말 잘 만들었다 생각하는 문제입니다. 


어렵진 않는데,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의 크기를 힘으로 바꾸어서 풀면 간단한 비로도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에너지를 다 써서 풀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냥 대 놓고 일 에너지 정리 쓰라는 문제 같습니다. 


17번 문제

이건 23수능문제랑 비슷합니다. 그런데 그건 표와 직선 도선 가지고 낸 문제라.. 사실 이 문제가 더 쉽습니다. 



19번 문제


전하의 종류를 제시 안 해주면, 내가 그냥 하나를 맘대로 잡아서 하면 됩니다. 

안 나왔다고 당황할 필요 없습니다. 정답이 ABC 가 +-+ 이면 -+-도 정답이 될 수 있는 그런 문제입니다. 


이 시도는 16학년도 7월 모의고사에도 시도했습니다. 한 번 확인해 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총평 [무난 한거 같은데..  4페이지는 기출을 가져온것 같음] 


말 그대로 기출 가져온 소재들이 많습니다. 


새로운 시도는 


2번, 4번 5번, 7번, 8번, 12번, 15번(사실 물2 기출에 있음), 16번 + 19번 (전하 안준거...? 이거 기출에 있긴 한데) 

이 정도이고, 나머지 문제는 그냥 일전 기출과 다를바 없이 냈습니다. 


쉽습니다. 사실 쉬워야 하는게 맞죠 수능에 비해서는요. 지금은 아직 6월 이니까요. 



이 회차는 할 말이 많이 없는것 같습니다. 작년에는 그래도 간섭 개수 세기, 피스톤 유형, 회로에 전기 전도도 적용, 그래프 등 많았는데, 이번에는 그런게 많이 없었습니다. 


그나마 16번에 일에너지 정리를 좀 잘 만들어서 낸거 같은데, 이것만 가지고 역학이 어려워졌다! 와우! 하기에는 약해 보입니다. 


여러분들 이 회차에서 틀린게 있다면, 왜 틀렸는지 보는것도 좋은 공부 방향이라 생각듭니다. 어차피 다 기출에 있는것들이니까요. 


화이팅 입니다. 6월 13일날 볼께요. 








0 XDK (+1,100)

  1. 1,000

  2.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