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나온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11618
24학년도 9월 모의평가 9번이에요. A와 B에 대한 자료가 주어져 있지만, <보기>에서 B에 대한 내용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어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도 아니라서 이 문제에서 B에 대한 설명은 완전히 없어져도 무방해요.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자료를 줘 놓고 이에 대해 전혀 물어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문제의 완성도가 떨어져요. 문제를 해결하는 데 B가 도움을 주지도 않아요. 이 문제에 B에 대한 내용이 도대체 왜 있는 거고 평가원은 왜 이렇게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9월 모의평가에 넣었을까요?
평가원이 특정 풀이를 유도하거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문제에 과조건을 넣은 것일 수 있어요.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오히려 B가 문제를 파악하는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원래 선지들 중 하나는 B에 대해서 물어보는 내용이었는데 실수로 A라고 입력된 걸 수도 있기는 해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유력한 이유는 따로 있어요.
24학년도 수능 18번이에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물어보고 있어요. 9월 모의평가에 가슴샘이 없는 생쥐가 등장한 이유는 수능 전까지 학생들이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공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해요.
추론하는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문제를 처음 보더라도 잘 풀어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있기에 가슴샘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 미리 생각해 보고 변형문제들을 풀어 보라는 의도였을 수 있다는 거죠.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처음 마주한 학생들이 이에 대한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을 수 있기에 이런 학생들을 배려해 9월 모의평가에서는 문제의 완성도를 낮추더라도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해 물어보지 않고 수능까지 공부할 시간을 준 거죠.
잘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9월 모의평가에서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보고도 문제를 쉽게 풀고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겠지만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 중 일부는 가슴샘이 없으면 방어 작용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거나 찾아보았을 테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간 때 팔 골절에 독감까지 걸려서 공부를 아예 못해서 수학 2 사회 2 영어 2...
-
왜 계엄을 해서 대통령을 손수 만들어주냐...
-
L자 파일은 회차 올때마다 주나요?
-
우울하노 3
나 왜살아
-
예상은 했건만 0
하 시발 진짜 맞는거냐 이게......
-
다 덤벼라 13
한 손으로 전부 상대해주지
-
지구 질문좀 4
편이량이 z값이아니라 파장변화량을 말하는거임?
-
나는지금부터민주당의개입니다 월월
-
아오
-
내인생은 탈조선이고 나발이고 이미 망해서 그냥 얼마나 더 ㅈ되는가 차이임
-
새벽이라그런가 3
정병올라오네
-
과연 무슨 문제가 이 타이틀을 달까요?
-
너무두렵다 6
국어는 유지만하면 되는거고 영어는 올릴자신 있고 수학도 어캐 해볼만하다 싶은데...
-
잘되는꼴을못보냐
-
확통 백분위 76입니다
-
라는 곡소리
-
와~
-
등차등비수열합은개ㅈ밥이었네무슨문제하나푸는데23분이걸리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
해 뜨네 1
자야겠다
저거풀면서 문제 성의없이 냈네 싶었는데 저런의도가

풀면서 그걸 생각하다니 대단하시네요! ㅎㅎ진정한 성의없음은 작년 9월 지2
ㄱ. My planet
오

9모에서 한 번 알려주고 가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굿
감사합니다!!!사실 생1 말고도 다른 과탐에서도 9모에서 힌트를 주고 가기도 해요
23학년도 9모 화1에서 처음 제시된 중화적정 밀도문제가
그해 수능에 거의 그대로 나오기도 했죠
기출분석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사례죠

오 그렇죠~ 당해 모의평가에 큰 힌트들이 숨어 있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