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픽 [1360134] · MS 2024 · 쪽지

2025-05-26 11:12:30
조회수 175

근데 친원전 정책하면 원전을 어디다 짓겠단거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44115

다들 신재생에너지는 지리적한계, 인프라비용 얘기하지만


원전도 그에 못지않게 국토가 좁고 핵폐기물 문제, 지리적 요인땜에 부지 건설이 힘든데


더군다나 신재생에너지는 최근 10년간 기술력 발전으로 단가가 많이 떨어진 반면 원전기술은 별로 발전 못해서 경제적 경쟁력이 원전쪽은 줄어드는 추세임.


난 솔직히 탈원전 무조건 까는것도 문제 있다고 봄.


이번글은 컨셉아니라 진심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박쥐는안물어 · 1237660 · 2시간 전 · MS 2023

    사실 미디어에서 방사능에 대한 공포는 과장되어있음. 아니다 일부러 과장했죠
    도심 원전도 방사능 측면에서 크게 문제는 없어요 돈이랑 냉각 문제가 커서 못하는거지..

  • 세인트픽 · 1360134 · 2시간 전 · MS 2024

    일부러 과장했는지는 모르지만 터지면 끝장나는건 팩트죠. 물론 확률적으로 희박해서 그렇죠. 그것보다도 사람사는 도심 근처에 짓는다하면 현실적으로 그걸 타협해서 지으라고 허용하는 시민들이 얼마나 될까요?

  • 박쥐는안물어 · 1237660 · 2시간 전 · MS 2023

    시민들이 허용하지 않겠죠. 과장되어있다는게 그 말임
    실제로 위험한 정도는 건강검진 수준인데 일반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니 미디어에서 본 대로 막연한 공포를 느끼는거죠

  • 세인트픽 · 1360134 · 2시간 전 · MS 2024

    제가 그래서 친원전도 문제라는겁니다. 님 말씀이 가장 공리적 차원에서 이상적일순 있는데 현실적 타협이 안되면 힘든거죠.
    당장 님 집 근처에 원전 짓는다하면 님 집값 폭락할텐데 님도 반대하실거잖아요

  • 박쥐는안물어 · 1237660 · 1시간 전 · MS 2023

    음 ㅇㅈ
    근데 신재생 단가가 아무리 내려가도 효율이 비교불가라 원전의 빈자리를 채우기는 어렵다고 봄

  • 세인트픽 · 1360134 · 1시간 전 · MS 2024

    정확히는 효율이 비교불가인건 아니긴한데 결과적으론 지금 당장 재생에너지 비중을 2배로 늘리고 원전을 그만큼 가동중단시키면 전기요금이 폭등하는건 맞아요.
    근데 그것도 앞으로 10~20년안에는 전문가들 다 태양광+육상풍력이 원전보다 전기요금 절감에 더 효율적일거라 예측중입니다.
    원전이 무조건 더 전력생산에 유리하단건 전력공급안정성 때문인데 다들 그래서 더 적은 비용으로 전력생산을 한다고 오해들을 하네요.

  • 박쥐는안물어 · 1237660 · 52분 전 · MS 2023

    연료 에너지효율 말하는거였는데.. 단가는 원전이 싸다고 할수는 없긴 하죠
    근데 과연 그 안정성을 버리고 선택하는 방안의 변동성이 (전보다)크다면 절감된 전기요금이 그 변동성의 위험 프리미엄이 될 만큼 클지 모르겠네요

  • M. Arch · 1176339 · 2시간 전 · MS 2022

    핵분열이나 핵융합 아니면 전기 사용량 감당 못할 것 같음뇨

  • yo.yo · 33499 · 2시간 전 · MS 2003 (수정됨)

    메가서울 + 지방말려죽이기 + 친원전 같이가면 됨

  • lIlllIIlllIlIllIIll · 1015785 · 2시간 전 · MS 2020

    원전이랑 신재생 에너지 경제적 경쟁력을 비교하는건 지금으로써는 너무 양심이 없는 수준이기도 하고 애초에 신재생은 여름 등의 전기가 많이 필요한 시기에 유동적으로 에너지 공급이 안되기도 함.

  • lIlllIIlllIlIllIIll · 1015785 · 2시간 전 · MS 2020

    그냥 원전이 먼 미래에서 봤을때 문제일 수는 있지만 당장 우리나라가 벗어날 수 있는 상황 여건 자체가 안됨

  • 세인트픽 · 1360134 · 1시간 전 · MS 2024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경우는 오히려 원전보다 발전단가가 싸구요.
    초기건설비용은 말할것도 없구요.
    요즘 새로 나오는 재생에너지가 원전보다 비싸겠죠.
    글고 유럽이 원전재가동한건 기본적으로 우리보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4배가까이 큰 상황에서 전력공급 안정성땜에 한거에요.

  • lIlllIIlllIlIllIIll · 1015785 · 48분 전 · MS 2020

    ...? 저는 유럽 얘기 꺼낸 적이 없는데요...?
    거기에다가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같은양의 전력 생산 설비 기준 태양광과 풍력의 초기 건설,유지 비용은 원자력 발전보다 비쌉니다.
    그리고 보통 풍력 태양광이 더 싸다고 하는 경우는 현재는 정부 보조금 합해서 계산한 경우로 알고 있는데 혹시 내용 알 수 있을까요

  • 세인트픽 · 1360134 · 38분 전 · MS 2024

    LCOE 자료기준 전력단가는 그러하고요.
    탈원전하고 풍력,태양광을 하면 전기요금이 오르는건 쉽게말해 과도기라서 그런거에요
    당장 탈원전하면 원전해체 전환비용도 전기요금에 들어가고, 송전인프라 건설비용도 들어가고, 계통보안비용도 증가하고, 현재 ESS장치 개발과정 단계라 대부분의 전력을 생산하고 보관을 못해서 대부분 낭비되는 문제도 있죠.
    근데 이러한 문제는 과도기라서 생기는 일시적 비용이지 계~~속 장기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아니잖아요?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더라도 당장 원전 핵폐기물 처리기술보다 ESS개발이 더 쉽기 때문에 재생에너지가 10~20년안에는 전력생산성이 원전을 압도할거라 보고 있구요.

  • 세인트픽 · 1360134 · 37분 전 · MS 2024

    그래서 당장 5년 돈 아끼자고 10년뒤 낭비하자는 주장으로 들립니다 저는

  • 세인트픽 · 1360134 · 1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물론 탈원전 과정상 비용 + 재생에너지 인프라까지 비용 감안하면 님말대로 전기요금이 초기엔 오르겠죠.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땐 오히려 재생에너지가 더 낫다고 봅니다.

  • fnxndvszbdrqpzg · 1327181 · 44분 전 · MS 2024

    북한에다가 usb보내서 북한에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