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15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75499

이거보고 함수로 푼 사람들은
어떻게 함수로 풀 생각을 떠올리셨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남르비들의 관심을 받고싶엉
-
ㅁㅌㅊ?
-
항상 빼고나면 2
천장에 묻은거 닦는게 너무 귀찮음 그래서 잘 안하는것도 있는듯
-
손흥민 넘는다vs아니다
-
살려줘요
-
유행어로 써야지
-
아 이젠 재입학인가 나도 고끼겡요 할래
-
초딩 때 복돌로만 마크 해서 엔더시티? 한번도 못가보다가 이제서야 엔더시티 가봐서...
-
재능있는자의 노력과 재능없는자의 노력은 들어간 고통의 크기가 차원이 다름
-
적적하네 2
한발빼고싶다
-
우웅~~
-
제가 인서울노래서열에 없는대학을 가기도해서 누구는 건동홍급이라 올려치고 누구는...
-
확통 시발점 1회독 한지 2개월 정도 지났는데 너무 추상적이네요 확통도 못하는데...
-
내가 니한테 한남유충이라 하면 기분좋냐?
-
오늘재밋엇어 7
응응 사람들도 많이보고 롯데월드도 처음가봣어
-
6망 9망 수잘 3
인 사람도 있나
-
휴대폰 끌래
-
위와 같이 과탐3퍼 기준 과탐 87-88 이랑 승부봐서 이길라면 생윤 사문 기준...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1. 연속된 두 항 사이의 관계가 제시되었음
2. 항 사이의 관계에 별도의 미지수가 존재하지 않음
3. 케이스가 3가지 -> 대수적으로 역추적하기 어려움
요정도 때문에 그래프를 도입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 미지수가 있거나 연속된 세 항
사이의 관계와 같이 복잡하게 제시된 경우에는 그래프를
그리는 게 오히려 더 불리할 수도 있긴 한데,
이 문제는 관계식 자체는 단선적인데 케이스 분류가 많아서
아마 다른 분들도 이 판단하에 그래프를 그리셨을 듯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