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실모같은거 풀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73881
저는 역학적 에너지랑 실 장력문제에서 풀리긴하는데 계산이 너무 산으로 가거나 막히는데 이런 계산량을 줄일려고 이런거만 모아둔 문제집 풀면서 강사들의 간결한 풀이 볼려고 하는데 추천하는 강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응애 4
응애
-
3월 이후로 오랜만에 현강 가려했는데
-
어떤 할아버지 둘이서 서로 좆같은 소리 하지 말라며 싸움 어른들도 욕 쓰는구나
-
비대면 과외 0
앱 추천해주세요 ㅠㅠ 무료 유료 상관없음 앱 별로 비교해주시면 더 좋아요 헤헤
-
윤소희 최현준 김하린 손은유 박상연 이런 사람들도 똑같이 인강보고 오르비하고 그랬을까?
-
재작년에 보고서 메디컬 안 갔는데 결국 다시 수능 볼 듯 합니다.한의대만 목표로...
-
8학군 오뿌이들 와바요 11
님들 진짜로 수학학원 3개 다님? 아니면 그렇게 다니다가 줄임? 진짜로 7세고시 봄?
-
방금 그 말씀과 선생님의 기본 논증 방법을 연결하면 6
공부는 안하고 대학은 개 날로 먹겠다는 마인드 가 됩니다
-
자도자도 피곤함 4
다크써클 안 사라짐
-
[속보] 이스라엘, 이란 선제공습… “트럼프, 각료회의 소집” 2
이스라엘 국방 “이란 겨냥 선제공격… 특별 비상사태 선언” 13일(현지시간) 이른...
-
연세대는 대통령이 없고 고려대는 노벨상이 없음
-
주말이다 2
행복한 텐투텐대치
-
6회인데 식조작이 하나같이 참신함 근데 저능아라 감당이 안됨ㅋㅋ
-
저메추 좀 1
그냥 삽겹살 해동해서 구울까요
-
싸이버거 10개 뿌리고 탈릅함
-
쉽알 ㄹㅇ 개쩜 1
국수영과탐 다 쉽알이다 ㄹㅇ
-
인강은 오르새t 테크 타고있음 언제나 선택장애 N제비중을 높인다 vs N제 거르고...
-
미적이 왜 불리한거임?? 공부량때매?
-
기하(내신에서 하긴 했음) 확통(무의 상태) 논술땜에 개념 빠르게떼고 학원 가려는데...
-
서울대 아니에요? 어딜 침대에 비빌려고
-
서카포 반박시 대머리
-
흠
-
반수반이랑 정규반이랑 수업내용에 차이가 있나요? 이번에 시대 반수반으로 들어가려는데...
-
이거 기출 좌표 뭐임? 급함
-
그런 똥차 탈 바에 소나 타
-
작수 기준 공통 2틀 미적 3틀 2등급이였는데 싱커 미적분 난이도 어떤가요?...
-
과외 끝 0
-
자존감 되찾기 11
어캐 하는거임?몸도 마음도 다 내려놓고 살다보니 자존감이 바닥나있는걸 이제야...
-
님들 살면서 가장 원망스럽거나 후회스러운 거 적어보셈 44
난 가장 원망스러운 건 부모 잘못 만나서 이상한 중고등학교 보낸 거 + 내 진로...
-
혹시 학기중에도 할만한가요? 대치쪽일거같은데 학교에선 은근 걸릴듯 그리고 이 시기에...
-
그럼 왜하는데
-
EBSi 2026 수능개념 생명과학1 강의 추천좀요 1
EBSi 2026 수능개념 생명과학1 강의를 박소현t vs 변춘수t vs 조은희t...
-
ㅠㅠㅠㅠ
-
지구 3단원 0
어려움... 기출 돌리면 익숙해지나
-
27학번 ㄱㄱ
-
등가속도 직선 운동 s-t 그래프 이차함수임 강민웅 모고에서 가끔 썼던 기억이
-
난 그래서 국어영어 일주일에 한 3시간 함 물론 국어영어 못함 2~3나옴 근데 재미없어 그래서 안해
-
날 책임지세요 서.방.님❤️
-
전류의 방향을 전자의 이동 방향으로 바꾸자
-
주 5일제 도입과 농촌은 인터넷이 30%도 가입 안한 곳이라는 문제가 버젓이 시험...
-
다시 돌아간다면 진짜 열심히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ㅋㅋ
-
집에가야지
-
원래 잘 안이러는데 어제 저녁부터 엉덩이가 가볍고, 자꾸 딴생각하고 5분마다 과목...
-
국어 고닉 모두 5
Assemble
-
알았음.
-
기하런 후기 7
역시나 쉽네요 후후
-
인스타 본계로 옯스타 팔로우하고 다니는데 뭔가 앞으로 그러면 안될거같음 다들...
-
씨발
-
평가원 #~#
-
ㅎㄷㄷ 이왜진
특특
직접 풀어야됨 어차피. 못 풀면 점수 끝까지 안 나옴
그래도 그전에 누군가의 풀이법을 기반으로 적용해 나가는게 좋을것 같아서 한번 풀고 풀이 비교하면서 간결해 나가면서 그리고 강의 한개만 끝나고 나면 그뒤로는 혼자 적용하면서 풀어볼려고요
질문에는 어긋나지만.. 어떤 특정 상황에 어떤 걸 떠올려야 하는 지 사고과정을 반드시 정립해야 합니다.
잘못된 문제를 봤을 때, 어?이건 조건이 부족한데? 라는 생각이 들 정도까지요.
화1생1과 다르게 물1은 가능합니다. 조건이 괴상망측하지 않고 매우 직관적이라서
그러면 애초에 누군가의 풀이법으로 풀이법을 정립해보기보다는 혼자서 풀이법을 스스로 다져나가는게 좋다는 말씀이신건가요?
음.. 그런 의미라기보다는, 작성자분께서 말한 간결한 풀이라는 게 오히려 사고과정 정립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적은 거였어요.
본인이 스스로 떠올리는 게 아니라, 물1의 특성상 화1생1과 다르게 풀이를 상당히 일관적으로 다질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거 없이 F=ma하나로 그냥 다 풀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뭔가 스페셜한 무언가를 몰라서 오래 걸리는 게 아니라, 본인이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풀이도 제대로 어떤 상황에 꺼내쓸 지 모르는데 도구만 늘리는 거에 대해서는 반대했을 뿐입니다.
즉, 이미 풀이를 알고 있을 것이고, 단지 쓰지 못했을 뿐이지 않나 싶습니다. 대부분은 이렇거든요
그러면 앞으로 도구나 스킬을 배움으로써 풀이를 간결화하기보다는 만나는 모든 문제마다 제가 가지고 있는 풀이법으로 일관되게 풀면서 그 과정에서 갈고 닦는게 좋다는 뜻인가요??
네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뭘 떠올릴 지 생각하는 게 도움됩니다. 물1은 상황이 진짜 몇 개 안돼요. 복잡하거나 특이한 상황도 거의 없고
아마 풀이가 오래 걸리는 건 이런 것 없이 무지성으로 의식의 흐름대로 풀다가 이젠 뭘 해야하지? 하면서 막혔을 듯합니다. 전체 시험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것은 매우 치명적이에요
아하 그러면 앞으로는 문제에 들어가자마자 풀려고 하는게 아니고 일단 완전히 한번 읽고 뭘 먼저 건드려야하는지 고민한다음 그 이후에 풀이로 넘어가라는 말씀이군요..
마지막 말씀이 저의 지금 상황이랑 너무 공감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