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AP [1392527] · MS 2025 · 쪽지

2025-05-15 10:05:51
조회수 347

국어, 만년 5등급에서 1등급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51327

(462.8K) [35]

INTAP MAGAZINE 1.pdf

(150.5K) [11]

INTAP MAGAZINE 2.pdf

(104.2K) [8]

INTAP MAGAZINE 3.pdf

(231.6K) [8]

INTAP MAGAZINE 4.pdf








국어 과목은 많은 수험생들에게 가장 오르기 어려운 과목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 수많은 학생들이 불과 1~2개월 만에 성적을 급상승시키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5등급 이하에서 1등급까지 도약한 학생들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성적 상승의 흐름에는 놀라울 만큼 유사한 6가지 공통 원리가 존재합니다.



1. 모든 강사의 방법론은 ‘본질’에서 만난다

인강 강사마다 설명 방식이나 강조점이 다르지만, 본질은 동일합니다.

그 핵심은 바로 “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수강생이 많은 강사는 단지 그 본질을 더 명확하고 단순하게 정리해 전달할 뿐입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특정 강사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강사의 방법론을 자신에게 맞게 소화하고 체화하는 것입니다.

"체화"라는 단어가 모호하신 분들은 이를 "암기"라고 이해해도 무관합니다.


강의를 듣고 받아적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방식을 실제 독해에 반복 적용해

‘글 구조 파악’이 자동화되어야만 성적이 오릅니다.





2. 국어는 '이해'의 시험이다. 글의 뼈대를 잡아라

국어 독서에서 실력의 기준은 단 하나입니다.

글의 중심 내용을 기준으로 구조를 파악하고 있는가, 즉, 글을 이해하고 있는가.


표면적으로는 A - B - C 순서로 전개되는 글이라 하더라도,

그 속에는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하나의 중심 개념(= 주제 또는 핵심 키워드)가 존재합니다.

성적이 빠르게 오르는 학생들은 이 중심 개념을 기준 삼아, 내용이 왜 그 순서대로 배치되었는지 이해합니다.


이러한 글의 뼈대 이해가 선행되면, 세부 정보들은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기억됩니다.

외워야 할 것이 줄어들고, 글 전체가 하나의 구조 안에서 ‘이해’되기 때문입니다.





3. 기출만으로도 1등급은 충분하다

실제 고득점 학생들의 학습 로드맵을 분석해 보면,

공통적으로 기출 중심의 공부를 선택합니다.


시중 모의고사나 EBS 연계보다는, 평가원/수능 기출에 대한

깊은 분석과 반복이 성적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기출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 반복이나 해설 외우기가 아닙니다.

정답은 왜 맞고, 오답은 왜 틀렸는지 ‘스스로 설명 가능할 정도로’ 분석하고,

반복되는 글의 구조적 특징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고의 추적’이 쌓이면, 새로운 지문에서도 같은 사고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늦었다고 느껴도 괜찮습니다.

실제로 9월 전까지 기출만 제대로 분석해도 1등급을 받은 사례는 매우 많습니다.

핵심은 방향성입니다.





4. 문학은 ‘정답 기준’을 명확히 세운 사람이 이긴다

문학은 의외로 반복되는 구조와 선지 형태가 뚜렷한 파트입니다.

따라서 성적이 오르는 학생들은 대부분 ‘정답과 오답을 가르는 기준’을 명확히 정립하고 있습니다.


정답 선지는 왜 정답인지, 오답 선지는 어떤 표현이 틀렸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그 기준이 자신만의 풀이 체계로 확립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기간에도 훈련이 가능한 영역입니다.


실제로 수능 문학은 ‘감성’으로 푸는 시험이 아니며, 정확하고 일관된 정오답 기준이 존재합니다.

그 기준을 스스로 파악하고 반복 적용하는 "태도"가 결국 점수의 차이를 만듭니다.





5. 강의를 ‘소비’만 하면 절대 오르지 않는다

같은 강의, 같은 교재를 사용했는데도 성적 차이가 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한쪽은 강의를 소비했고, 다른 한쪽은 강의를 자기화했기 때문입니다.

‘이 강사의 방법이 좋다’는 생각에만 머물며 문제 풀이만 반복하는 태도는 의미가 없습니다.


실력 상승은 결국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설명하고, 스스로 확신하는 훈련에서 나옵니다.

강사는 길을 보여줄 뿐, 걷는 것은 수험생 본인의 몫입니다.


스스로 글을 구조화하고, 이해하고, 스스로 정답의 이유를 찾아내는 과정이 국어 실력의 본질입니다.





6. 그러나, 연계 또한 중요하다

그렇다면 수능 연계 자료, 특히 수능특강이나 수능완성 독서는 왜 여전히 중요할까요?


연계 자료는 단순히 "출제된다"는 의미 이상의 가치를 가집니다.

바로, 배경지식으로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철학, 과학, 사회 지문은 처음 접하면 생소한 느낌 때문에

읽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문장 해석에 부담을 느끼기 쉽습니다.


하지만 수특·수완에서 해당 개념을 한 번이라도 익혀두면,

본문의 난이도는 그대로여도 이해 속도와 정답률은 확연히 달라집니다.


더불어, 제재가 달라도 같은 분야의 글은 구조와 서술 방식이 놀랍도록 유사합니다.

이처럼 분야 특유의 전개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만으로도

처음 보는 지문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연계 자료가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대부분 수능 시험장을 직접 경험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실제 시험장에 선수로서 들어가는 순간, 국어는 단순한 실력 싸움이 아닙니다.

시험장의 공기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당황하지 않는 것

실력만큼이나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올림픽 선수들이 루틴징크스 피하는 법을 만들어가는 이유,

바로 컨디션, 흐름, 그리고 기세를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수능도 마찬가지입니다.


평소에 익혀둔 개념, 익숙한 분야, 익숙한 문장 구조는

심리적 안정과 텍스트 해석 속도를 동시에 가져다줍니다.


결국 시험장에서의 실력 발휘는

‘얼마나 실력이 있는가’와 더불어

‘얼마나 익숙한 상태로 기세를 잃지 않는가’, 에 달려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수험생 여러분의 건투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도움이 되는 칼럼과 자료, 올리고 있습니다.

구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ll Info, One Tap  |  INTAP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