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정보는 극단적인 곳에 많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19650
정보가 흩어져 있는 문제를 깔끔하게 잘 풀기 위해서는 정보가 많은 곳을 찾아다닐 줄 알아야 해요. 정보가 많이 있는 곳을 먼저 컨택해야 필요한 정보를 수월하게 획득할 수 있고,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상태로 다음 조건으로 넘어가야 새로운 정보를 찾기 원할하니까요.
단순하게만 생각하면 물음표가 적은 곳일수록 정보가 많아요. 물음표가 많다는 것은 숨겨진 내용이 많다는 뜻이고 물음표가 적다는 것은 공개된 내용이 많다는 뜻이니까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요. 정보는 극단적인 곳에 많은데, 극단적인 곳이 어디인지를 알아야 해요.
세포 매칭 문제에서 유전자 유무가 주어진 경우에는 유전자가 있다고 주어진 조건보다 유전자가 없다고 주어진 조건에 정보가 더 많아요. 유전자가 있다고 주어진 경우 DNA 상대량이 1인지 2인지 알 수 없지만 유전자가 없다고 주어진 경우 DNA 상대량이 0이므로 알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아요.
가계도 문제에서 DNA 상대량이 주어진 경우에는 정보가 많은 곳부터 컨택해야겠죠. 우열이나 상성을 알고 있는 형질이 있다면 이러한 형질을 먼저 보는 게 좋고, 표현형이나 성별을 모르는 구성원보다는 표현형과 성별을 알고 있는 구성원에게 정보가 많으니 이러한 구성원들을 우선적으로 컨택해야 돼요.
여자의 경우 Y 염색체 유전만 아니라면 L과 s의 합이 2이므로 한 유전자의 DNA 상대량만 주어져도 유전자형이 확정된다는 점에서는 여자한테 정보가 더 많아요. 다만 유전자가 상염색체에 있는지 X 염색체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남자한테서 나온다는 점에서는 남자한테 정보가 더 많아요.
가계도 문제에서 두 유전자의 DNA 상대량의 합이 주어진 경우에는 DNA 상대량의 합 0과 4에 정보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1과 3에 정보가 많고, 2에는 정보가 가장 적어요. 따라서 0과 4가 있으면 먼저 컨택하고, 다음으로 1과 3을 컨택하고, 마지막으로 2를 컨택하는 게 좋아요.
가계도 문제에서 DNA 상대량의 합 0보다 3에 정보가 더 많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세포의 핵상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핵상이 바로 확정되는 3에 정보가 더 많지만 체세포의 DNA 상대량이 주어진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3보다 더 극단적인 값인 0에 정보가 더 많아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부특 8
옆에 마실거 없으면 책상에 앉기 싫고 집중도 안됨
-
방금 씻고왔음 4
시원해
-
아무도 없나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휴일이라 5
풋살좀 하고와서 실모달리기
-
잔짜모름
-
확정으로 보건쌤 할수있는 학과 있으면 진지하게 서성한이랑 비비지 않을까 싶음...
-
근데 양의학 거리는 사람들 실제로 본적 없는데 나만 그럼? 3
이상하리만큼 ‘양의’학 거리는 사람들은 왜 .. 주변에서 병원간다 하지 양의원간다...
-
안뇽? 7
안뇽?
-
하ㅏ이 1
빠잉
-
미친개념 수1수2확통 새거 세젤쉬 수1수2 중고 확통 새거
-
최근 7년간 한의사 소득 증감율임 고령화 사회니까 전망 어쩌구 x-ray 법안 도입...
-
서프가 뭐에요? 1
검색해도 안나옴
-
안녕하세요 team AXIOM입니다 오늘은 수능영어, 대성과 메가중 누굴들어야할까에...
-
난 공통병신임 1
그냥 병신 시발
-
5월 학평에서 잘보도록 해야겠다
-
백종원 "모든 방송활동 중단...기업 성장에 집중" 7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모든 방송활동을 중단하고 올해를 제2의 창업 원년으로...
-
주로 틀린문제 위주로 어느 발상을 뼈대로 만든 문제고, 왜 이 발상을 떠올리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유전자 OX표에서 X가 더 중요한 것과 같은 맥락이군요!

그렇죠!!!
오늘도 감사합니다..!
오늘도 따뜻한 댓글 감사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