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칼럼] 국어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14594
안녕하세요
현월이에요
국어 태그로 질문이 올라오면
답변이 없는 글 위주로 최대한 답변을 해 드리고 있어요.
방금 올린 답변 중, 앞으로의 칼럼에서도 다룰
아주 중요한 부분이 있어 간단히 공유합니다.
링크> 국어 질문이요! | 오르비
실력자 분들에게는 당연한 이야기일 테지만
이걸 몰라서 문학 선지를 붙들고 고민하는 학생이 많아요.
여러분은 그러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추후 칼럼에서 더 자세히 다룹니다.
그리고 저는 TA일을 하고 있고
오르비도 QnA 게시판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웬만한 쪽지나 질문에 일할 때와 다름없는 정성으로 답해 드리고 있으니
학습 질문이 있으시다면 얼마든지 질문하셔도 좋습니다.
가끔씩 "질문 드려도 되나요?" 하는 분들이 계셔서요.
그럼 열공하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22교육과정 반영 " 28학년도 건국대 논술 변화사항 8
통합과학은 ㄹㅇ 왜 안 넣는거지 그리고 공통수학 미적분II 기하도 범위에 들어갈 것...
-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판결을 조희대...
-
이런 문제만 보면 어버버버거려요.. 거르면 제가 대학에서 걸러질까요..??.?
-
나만 좋아요가 안찍힘
-
걔도 재수하고 나도 반수하는데 내 계정으로 계속 인강 들음 이거 그냥 말없이 비번 바꾸면 좀 그런가
-
색수
-
성균관대 작년 2교시 수히논술 해설지 어디서 구할수있나요?ㅠㅠ 0
성균관대 공식 홈페이지에도 예시답안이 어딨는지 못찾겠더라고요 ㅠㅠ 어디서 볼수 있나요???
-
찾아보니까 25수능도 안 맞음 ㅅㅂ!!
-
단어도 어렵고 지문 내용도 추상적이고 쉽지않네요 6평때 영어 1 받고싶은데 ㅠ
-
본인이나 내 주변 학창시절 생각해보면 경북이랑 사립 교집합이면 매우 끔찍한 학교가...
-
나같은 틀딱 씹덕은 모를 수가 없는 노래들 부른 사람들로 꽉찼는데
-
참고로 국어는 강민철 듣습니다.
-
반응이 없구망요..
-
귀엽다.. 0
-
말고 그냥 뉴런 수2 완벽히 끝낸뒤 수1 넘어가는 방식으로 해도 되나요?

평가원 년도까지 외우고 계시다니.. GOAT대충 옛날 기출이라는 것만 딱 보면 알고
상세한 부분은 책 찾아본 거에요 ㅋㅋ
저도 강사는 아닌지라 그 정도까지는...

정말 고트십니다ㅏ너무 좋은 발상 같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아하 다른 과목에선 틀린 "알수 없음" 상태가
국어에서는 그냥 맞다고 쳐줄 수 있으면 옳지 않다고 보지 않는 거군요
비슷하지만 그렇게 일반화하는건 위험하고
문학에서 그렇다고 보는 게 더 적절하겠네요
그리고, 완전히 알 수 없는 말이면 안 되고
개연성있는, 그렇다고 봐줄 수 있는 진술이어야 해요
반대로 독서에서는, 지문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진술은 옳지 않아요
ㅇㅎ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러면 주어진 문학작품을 해석할 때, 이렇게 해석하는 것도 타당하네 -> 적절, 이건 이렇게 해석될 여지도 없는데? -> 적절하지 않음 이런걸까요?
맞습니다, 다만 "해석"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요.
소설 속에 나오는 상황에 대해 단순히 옳은 진술, 틀린 진술을 고를 때는
저런 생각을 할 필요도 없겠지요.
"~~는 ~~를 드러내는군" 처럼 어떤 "해석"이 들어가야 하는 경우
문학은 기본적으로 해석상의 자율성이 있으니
"다르게도 볼 수 있다"는 것이 "틀렸다"는 판단으로 이어질 수 없어요.
반면, "적절하지 않은 선택지"는 "전혀 말도 안 되는 해석"을 하고 있지요.
따라서, 가장 적절한 해석을 고를 때
혹은 적절하지 않은 해석을 고를 때
"적절한"선지에 대해서는 "100퍼센트 그러하다"가 아니라
"허용 가능하다"로 접근해야 하고
이 부분을 많이 어려워하고 의문을 가지곤 합니다.
이런 허용 가능성의 기준은 기출을 통해 잡아나가는 것이고요.
오.. 감사합니다. 기출 공부할때 이런 부분들을 생각하는걸 놓쳤었는데 6모 전까지 다시 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