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칼럼] 국어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14594
안녕하세요
현월이에요
국어 태그로 질문이 올라오면
답변이 없는 글 위주로 최대한 답변을 해 드리고 있어요.
방금 올린 답변 중, 앞으로의 칼럼에서도 다룰
아주 중요한 부분이 있어 간단히 공유합니다.
링크> 국어 질문이요! | 오르비
실력자 분들에게는 당연한 이야기일 테지만
이걸 몰라서 문학 선지를 붙들고 고민하는 학생이 많아요.
여러분은 그러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추후 칼럼에서 더 자세히 다룹니다.
그리고 저는 TA일을 하고 있고
오르비도 QnA 게시판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웬만한 쪽지나 질문에 일할 때와 다름없는 정성으로 답해 드리고 있으니
학습 질문이 있으시다면 얼마든지 질문하셔도 좋습니다.
가끔씩 "질문 드려도 되나요?" 하는 분들이 계셔서요.
그럼 열공하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와왕 5
와와와왕
-
행복행~~ 8
~~~
-
올해는 찐인가
-
2026학년도 수학 김0한 실전 모의고사 배포 예고 1
저의 두번째 실전 모의고사가 3개월 만에 돌아옵니다. 3달 동안 문제를 만들면서...
-
아무나
-
졸업증명서를 보냈더니 바로 달아주는군요. 프사를 걸고 뱃지를 달고 나니 뭔가 활동을...
-
엄청난 경험을 무한히 복제하여 무한히 재생할수 있음..
-
윤 어게인! 0
이x명씨와 같이
-
아무리 풀어도 m이 1/2 일때만 만족하는데 나 뭘 놓친거노.;??
-
기하가개꿀인점 0
시대월례도 미기 표점차게속 1점
-
발길을 돌릴 곳이 있나요
-
가닁? 킬캠 1회 65점임
-
영어 정시 공부 1
3모는 3등급 76점이고 평가원 시뮬에다가 수특 영어,영독연 이렇게 진행하면...
-
자취하고 큰일난거 38
지난달 식비만 200나옴... 일식 많이먹긴햇는데 진짜 큰일낫네
-
다이어트 2일차 2
피자먹는놈들보면화나내.
-
아공부안해 14
화2 진짜 대가리 깨지겟네 꼭지를 닫았다 열었다 닫았다 열었다 고정장치 고정했다...
-
요즘 드는 생각인데 미적을 가장한 공수 문제임... 대수를 얼마나 잘하냐 함수를...
-
명확하게 있는것 같지도 않던데 나도 노베로 쳐주나
-
엑셀레이터나 브릿지 초반회차들 받을수 있나요?
-
국수영탐 다 해당임 ㅇㅇ 내신 준비방식이 무지성 교사견이 되는거랑 무지성 암기라서...
-
쌤이랑 친했어서 개꿀잼이엇는데 ㅋㅋ
-
대우관 - 위당외솔관 - 본관 - 정문까지 이어지는 눈썰매를 운영합니다 26학번...
-
ㅠㅠ
-
자신과 교감하기 2
-
노베는 현실적으로 1년안에 전과목 2~3등급 만들기어렵나요? 3
노베는 현실적으로 1년안에 전과목 2~3등급 만들기어렵나요? 최근 헬x터디 라는...
-
독서수특 뭐지 0
113채권지문 4문제중에1개맞음ㅅㅂ 다시 천천히읽어봐도 문제를못풀겟는데 ㅜㅜㅜ
-
좀불안한걸
-
2026학년도 서강대 전형 분석 및 2025 전형별 충원(최종) 0
https://blog.naver.com/analysis_81/223853696979
-
지1 질문이요 1
매머드 네오기 출현임 제4기 출현임?
-
울어
-
너무 졸려서 이따가 다시 와야겠
-
똥먹기 12
미소녀 똥 우걱우걱
-
인스타에서 봤는데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번 5모에는 1
얼마나 족같은 도형이 나올까
-
고2입니다..시발점 듣다가 고1 수학이 많이 부족한 거 같아서 복습하려는데 강의 추천해주세요
-
뭔가 좋긴한데 멘탈이 걱정되네
-
난 정말.. 초천재 신성자다..
-
성대 반영비 0
더 유리한거로 반영허는거죠.?.?.?.
-
친구끼리 할수있다는 생각은 왜 안해
-
연세대 체교과 5
모고치면 보통 32212나오는데 실기 잘친다고 가정했을때 연대 체교 가능할까요?...
-
씹졸린데 어캄 6
잘말
-
올해 첨 시작해서 4투스때 이제 40점 찍었는데 시험장에서 좀 빡센 유전 풀 자신이 없노..
-
하하핳 3
하하하하하하하ㅏㅎ
-
서프 결제 0
결제 문자 오신분.?
-
나도 토끼이긴함 6
-
중의적 표현
-
나 약간 10
패왕색 패기 있는 듯..
-
수학 실전개념 0
요즘은 수학 실전개념 많이 안쓰는 추세인가요? n제 기출 반복해서 보면서 힘 기르게 맞나요?

평가원 년도까지 외우고 계시다니.. GOAT대충 옛날 기출이라는 것만 딱 보면 알고
상세한 부분은 책 찾아본 거에요 ㅋㅋ
저도 강사는 아닌지라 그 정도까지는...

정말 고트십니다ㅏ너무 좋은 발상 같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아하 다른 과목에선 틀린 "알수 없음" 상태가
국어에서는 그냥 맞다고 쳐줄 수 있으면 옳지 않다고 보지 않는 거군요
비슷하지만 그렇게 일반화하는건 위험하고
문학에서 그렇다고 보는 게 더 적절하겠네요
그리고, 완전히 알 수 없는 말이면 안 되고
개연성있는, 그렇다고 봐줄 수 있는 진술이어야 해요
반대로 독서에서는, 지문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진술은 옳지 않아요
ㅇㅎ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러면 주어진 문학작품을 해석할 때, 이렇게 해석하는 것도 타당하네 -> 적절, 이건 이렇게 해석될 여지도 없는데? -> 적절하지 않음 이런걸까요?
맞습니다, 다만 "해석"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요.
소설 속에 나오는 상황에 대해 단순히 옳은 진술, 틀린 진술을 고를 때는
저런 생각을 할 필요도 없겠지요.
"~~는 ~~를 드러내는군" 처럼 어떤 "해석"이 들어가야 하는 경우
문학은 기본적으로 해석상의 자율성이 있으니
"다르게도 볼 수 있다"는 것이 "틀렸다"는 판단으로 이어질 수 없어요.
반면, "적절하지 않은 선택지"는 "전혀 말도 안 되는 해석"을 하고 있지요.
따라서, 가장 적절한 해석을 고를 때
혹은 적절하지 않은 해석을 고를 때
"적절한"선지에 대해서는 "100퍼센트 그러하다"가 아니라
"허용 가능하다"로 접근해야 하고
이 부분을 많이 어려워하고 의문을 가지곤 합니다.
이런 허용 가능성의 기준은 기출을 통해 잡아나가는 것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