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0. 국어 공부의 기본 - 사고과정 복기와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11529
[소개 및 성적인증] https://orbi.kr/00071877183
안녕하세요 한달뒤는입니다.
국어 공부를 하실 때, 그리고 칼럼을 읽으실 때,
오늘 칼럼의 핵심 내용을 마음에 두고 함께 해주시면 더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한줄 요약: 지문을 읽고 떠올린 판단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해설과 비교하며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했는지’를 생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국어 공부는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훈련이 아닙니다.
진짜 실력은, 지문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그리고 그 생각이 왜 그런 판단으로 이어졌는지를 복기하고, 정답자(해설지나 강의가 될 수 있겠죠)의 사고 흐름과 비교하며 나의 문제점을 인지하는 경험에서 자랍니다.
1. 국어는 ‘지문을 읽고 떠올린 생각’에서 갈린다
문제를 틀린 학생들은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그냥 헷갈렸어요”, “찍었어요”, “몰랐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 순간에도 뭔가를 보았고, 어떤 판단을 했습니다.
다만, 그 판단이 무엇이었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한 채 지나가는 겁니다.
자신의 사고 흐름을 복기하지 않는 한,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됩니다.
반면, 실력 있는 학생들은 문제를 맞췄든 틀렸든 자신이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모든 판단에는 이유가 있고, 그 이유를 분명히 말할 수 있어야 실력으로 이어집니다.
이유 없는 판단은 운일 뿐이고, 반복되지 않습니다.
2. 지문을 읽고 떠올린 생각을 강의, 해설과 비교합시다.
그리고 반드시 스스로에게 물어봅시다.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했는가?’
지문을 읽고 내가 정리한 흐름, 그리고 해설 강의나 교재에서 제시하는 사고 흐름을 비교해보세요.
이때 중요한 건 단순히 “아, 이렇게 생각했구나”가 아닙니다.
진짜 중요한 건 다음 질문입니다.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했지?"
- 나는 왜 그 문장을 스쳐 지나갔는가?
- 왜 그 문장의 중요도를 높게 보지 못했는가?
- 왜 그런 조건을 내 판단 기준에 넣지 못했는가?
이 질문을 던지고, 회피하지 않고 생각해보는 사람만이 다음에는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학생들의 공부는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했지'까지 가지 않습니다.
실력의 차이는 결국 이 질문을 몇 번이나 진지하게 해봤는지에서 생깁니다.
3. 공부를 할때 모든 판단에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시험장에서는 모든 판단에 이유를 달 수는 없겠지만 공부를 할 때는 모든 판단에 반드시 이유가 있어야 하고, 그 이유를 말로 설명할 수 있어야만 실력으로 연결됩니다.
이 훈련을 하지 않으면, ‘맞았다/틀렸다’는 단순한 결과만 쌓이고, 잘못된 생각은 그대로 반복됩니다.
그래서 제가 앞으로 쓰게 될 칼럼은,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풀이가 아니라 지문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고,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를 복기하고 비교하는 글 위주가 될 것입니다.
풀이가 아니라 생각의 방식과 근거를 보여주는 글, 그게 진짜 실력을 바꾸는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4. 문제풀이가 끝난 그 자리가, 실력이 시작되는 자리다
시험이나 문제풀이가 끝났을 때, “아, 힘들다…” 하고 자리를 떠나고 싶을 겁니다.
하지만, 실력은 그 자리에서 5분 더 앉아 있는 사람에게 생깁니다.
- 어떤 문장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 어떤 선지를 보고 왜 판단했는지
기억이 생생할 때 문제지 여백에 샤프로 거칠게라도 써두세요.
국어는 문제를 풀고 한시간만 지나도 기억이 잘 안납니다.
누구한테 보여줄 게 아니니 잘 쓸 필요도 없습니다.
내가 나중에 알아볼 수만 있으면 됩니다.
시험을 본 경우에는 너무 힘들면 채점 후 틀린 문제들만이라도 복기해둡시다.
그리고 잠깐 쉬었다가 다시 자리에 앉았을 때는 그 사고과정이 어디서 틀렸고, 왜 틀렸는지를 분석해보세요.
어떤 사고가 옳았는지, 한정된 시간내에 올바른 사고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혼자 고민해보고 여러강의나 교재를 참고해봅시다.
국어는 ‘정답을 아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왜 그렇게 생각했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가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그 설명이 해설이나 강의의 사고 흐름과 얼마나 가까운가, 왜 그처럼 생각하지 못했는가를 스스로에게 묻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앞으로의 칼럼에서는 이전에 예고했던 것처럼
1부 - 독서는 결국 ‘정보량 싸움'
2부 - 최적 지점에서 정답찾기
를 주제로
1부에서는 2306 비타민K, 2411 한비자와 도교를, 2부에서는 22수능의 세 지문의 사고과정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아마 1부에서 pcr이나 키트 지문, 기초대사량 지문 중 하나를 추가로 다룰 수도 있을 것 같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푸는게 좋죠? 맞추지는 못해도 조건이나 발상 챙기는 용으로 고민되네
-
작수 2등급인데 유전 타임어택땜에 1등급 가기 힘든거면 실모 위주이되 약한 부분은...
-
첫 여사친도 생기고 감회가 새로움.. 인생을 어케살았길래 여사친 없었냐는 나쁜말은 ㄴㄴ
-
크아악 10
꾸면꾸고안꾸면안꾸지꾸안꾸는뭐고 여친이면여친이고친구면친구지여사친은또뭐고 아직내가세상을이해하긴이르네
-
킬캠 ㅈㄴ웃긴거 3
유빈(내친구임)이가 올려주니까 후기 와바박 올라오네…
-
꾸안꾸 빌런에 정치병 빌런에 어질어질하네.. 쩝
-
요즘은 잘없는듯. 박봄 로제 씨엘 이런 분들 너무 잘해.
-
AI로 국어 과거지문 현행수능화 지문처럼 만드는기능 0
원문은 2016학년도 수능에 출제된 프로타고라스와 에우아틀로스의 변론술지문 대략...
-
그냥 풀이과정에 오류만 없고 답 맞으면 그만 아닌가???? 왜 난리난거지
-
1.불꽃수학 첫걸음 : 중학수학 10강으로 끝내기 2.수능만을 위한 수학...
-
중간고사 끛나니까 딱히 할말도 없고 막 적고 싶지도 않네 틱같은 거였나봐
-
나도 이제 쓰담쓰담 받는 오르비언에서 쓰담쓰담 주는 오르비언이 돼야지 흐흣 일루와잇
-
상의 생지 자켓에 하의 화이트 린넨팬츠 신발은 이거 신고감 스퀘어구두 꾸안꾸임 아님...
-
수도권 일반고 내신 물리 지구 전교1등이었었고 2학기때는 내신 버려서 안챙겼음 수학...
-
수도권 일반고 내신 물리 지구 전교1등이었었고 2학기때는 내신 버려서 안챙겼음 수학...
-
확통 ㄹㅇ아예 노베라 2단원이 시험범위지만 띰0부터 쭉 듣는게 나을까요? 순열 조합...
-
리트 300제랑 그릿 겹치는거 많나요
-
잇올에서 매일 10번은 마주칠 정도로 자주 마주치는 남자애 마주칠 때미다 ㅈㄴ...
-
문과 한의대 / 연고대 상경 목표로 기하 사탐 어떤가요 10
국어영어 보통 1뜨는 편입니다 수학은 공통을 잘하는데 미적을 잘 못해요
-
'상쇄'되어함숫값
-
계속 습관처럼 폰을 하게 되네 폴더폰으로 바꿀까 아니면 걍 폰 자체를 없앨까...
-
2025학년도 경희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포함(국제캠퍼스 포함)) 1
2025학년도 경희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 : 네이버블로그
-
쌤이 이 점수대는 원래 객관식을 50~60 맞고 서술 조져서 나오는데 니는 왜...
-
버스타고 집오는데 친한 친구들이 다 피시방 가는데 혼자 집가니까 쓸쓸하기도 하고...
-
풀리는데 그 날 공부 다 하고 다시 풀면 왜 안풀릴까 ㅅㅂ 뭐가 문제일까
-
이거 머리 많이 쓰는 게임은 맞는데 도파민 존나 터져서 수험때 시작하면 수능 좆된다...
-
키좀 크고 비율 괜찮은데 상하의 사진 4개처럼 돌려입고 신발은 더비 이렇게 입고...
-
기다릴게요
-
지금이 어떤지 모르겠는데 예전엔 수작업 소문 체크였어서 몇년도인지 기억은 안나는데...
-
헉 알바몬쓰시는분들 주의 ㄱㄱ
-
제가요 몽블랑 146ef를 샀는데 실필용으론 좋지만 잉크 흐름도 더 좋고 더 굵은...
-
작년 거 구하려 하는데 퀄 괜찮나요?
-
2026학년도, 2027학년도 메디컬 계열 논술전형 정리 자료 올려둡니다 해마다...
-
(아까 한꺼번에 글 올릴걸;) 일단 화작 : 쉬움 독서 : 보통 아니면 살짝 어려움...
-
돈다의 돈다2 0
이제 봐서 듣고 있는데 1번 트랙에 텐타시온...
-
오르비 패스사면 1
오르비 클래스 선생님 패스사면 메가패스처럼 패스 유효 기간동안 (해당 선생님의)강의...
-
나는 버리지야 3
내신문학 시발
-
강키분 0
강민철의 키스 분석
-
1. 폐지되는 학교 있음 연세치의예, 연세미래의예, 단국천안의치 2. 중앙대 의학부...
-
스카가 4층인데 지하에 퇴폐노래방 있어서 맨날 저녁먹거나 집가려고 나오면 봉고차...
-
학원 어디갈까 지금 러셀 기숙 다니고있는데 수업안맞는 것들도 앉아있어야해서 시간...
-
절대음감이면 피아노 악보 없이 처음에 연주 가능함? 4
미친거아님?
-
갑자기궁금해짐 예전에 한번 보긴했었는데 강케이? 확통 29번이랑 빡모 29번이랑...
-
재입학할 수 있나요?
-
문학 23.2 지구과학 61.9 수학 56 영어 54 생명 40.1 화학 46...
-
그 이후로 모의고사를 본적이 없어서 지금 제 실력은 달 모르겟구요.. 작년 버전은...
-
아니 다시 열이 올랐어 12
-
롯데월드 왔는데 2
여기서까지 연대 과잠을 봐야 하는구나...
-
지인선 0
15 22는 뒤져도 못풀겠는데 남겨두고 실력 더 올려서 15,22만 다시 푸는거...
-
그냥 느낌상 은퇴하면 방송인 할것같은 촉이 옴 관상이 그럼
칼럼 항상 잘 읽고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편들도 잘 써보겠습니다.
1부2부지문난이도 ㅎㄷㄷ
어려운 지문들에도 일관되게 통하는 이야기들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