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제목 문제, 선택지 거르는 실전법(3등급이하 개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06555
안녕하세요, 오르비클래스 영어강사 김지훈입니다.
수능 영어 주제/제목 문제, 즉 대의 파악 문제
애매하게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왜냐면 선택지를 보면서 확신을 갖고 지워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죠.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실수하는 패턴은 거의 정해져 있는데,
그 부분을 오늘 다뤄보겠습니다.
1. ‘눈에 띄는 구체/예시’에 끌리는 선택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문 전체는 '과도한 SNS 사용의 부작용'인데
선택지 중 하나가 'SNS가 청소년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되어 있는 경우.
정답은 ‘SNS 사용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전반적 문제점’인데,
학생들은 “청소년 우울증”처럼 강하고 구체적인 키워드에 끌려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문에 있던 구체적 표현이나 예시가 선택지에 나오면, 정답일 확률이 매우 낮다.
예시는 예시일 뿐. 주제/제목은 대의 파악이므로 ‘전체’를 말해야 한다.
2. 문제만 있고, 해결책은 없는 선택지 혹은 반대의 경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문 구조: 문제 제기 → 대안 소개 → 이 대안이 효과적이라는 결론
선택지: “현대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심각한 경고”
정답: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 제시”
지문이 해결책을 제시했다면, 제목도 '해결'이어야 한다.
지문 구조: 문제 제기만 쭉 이어감
반대로 지문 구조 자체가 문제만 제기했다면, 정답 선택지는 문제만 정답이 되어야 하고,
해결책은 선택지에 포함되면 안된다는 점.
3. 중립을 지키는 글에서 견해가 담긴 표현은 무조건 오답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문은 ‘기술이 인간 소통 방식을 바꾸고 있다’ 정도의 중립적 서술인데
선택지: “기술이 인간 관계를 파괴하고 있다”
→ 과잉, Too Much..
수능 지문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을 할 때,
선택지에 견해가 과하게 담긴 단어(파괴, 충격, 혼란 등)가 들어가면 의심해보자.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10분만 투자하세요!도움 많이 되실거예요. :)
0 XDK (+100,000)
-
100,000
-
요약하면 5
2심이 무죄였는데 대법원에서 2심의 판결이 잘못된거같다해서 다시 고법에서 판결하라고 보낸건가요?
-
신입생 때 1
거의 매일 어떤 형태로든 돼지고기를 먹었다는 지인이 있었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
서프가 뭐임요? 1
나때는 저런거 없었는데..
-
씨발 ㅋㅋㅋㅋㅋㅋㅋㅋ
-
제발 드가자 스벌
-
인강컨보다 낫죠?
-
6월전에 2심 가능함?
-
국어 현타옴 1
내신 빡세게 공부한 거랑 이번에 벼락치기 한거랑 성적대 비슷할 것 같음ㅋㅋㅋ
-
이번에 시대인재 6평 대비 시험 현장응시하는 현역 있나요?
-
내가보기엔 난 몸이 약한게 아닌것같아 정상인이면 맨날 한끼 샐러드먹고 위스키폭탄먹고...
-
아무도 너가 했던 노력은 질투하지 않는다
-
올해는 원징뜯긴거 전액환급받았음 야미~
-
감떨어져서 어떡하냐..
-
스카독재하는데 2
아침에 일찍일어나는법좀….ㅠ 맨날 9시기상해서 ㅈ됨
-
"못생길수록 수명 짧아"…고교 졸업사진 65년 추적했더니 5
[서울=뉴시스] 최윤서 인턴 기자 = 매력 없는 외모를 가진 사람이 평균보다 수명이...
-
한국인인가? O 엘리트인가? O 유명한가? O 범죄이력이 있는가? X(한국에선...
-
나니가 스키 2
나 니가 스키 나 nigger 스키 나 니가 서킷 어!?
-
제발 무죄 4
제발 무죄여야한다 김문수는 안된다 그리고 세상은 내가 12살때부터 내 말과 반대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