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독 [1337023] · MS 2024 · 쪽지

2025-04-30 16:39:30
조회수 212

사문개념 이거 종지부찍어야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96119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간 정서적 교감을 중시하는가?



나는 지금것 이게 면접법만 해당되는 내용인줄 알았음

참여관찰법은 최대한 방해금지니까


근데 이번수특개념보면 질적연구로 통합시킴 이 정서적교감개념을


결국 참관 +면접법이란얘기임


인정하십니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erene_ · 1051936 · 4시간 전 · MS 2021

    ? 원래 질적연구는 교감 중시맞아영

    질적연구 = 참여관찰법 이게 아님

  • 한봄 · 1377887 · 4시간 전 · MS 2025

    애초에 질적연구는 교감 중시가 맞는디

  • 한봄 · 1377887 · 4시간 전 · MS 2025

    질적 연구의 정의 자체가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에 대한 깊은 몰입이 필요해요

  • Zola(생윤은 김준호) · 758219 · 4시간 전 · MS 2017 (수정됨)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방법은 다른 겁니다. 님의 접근법은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지 않는 것 같네요. 열공+즐공=대박!!

  • 7회독 · 1337023 · 59분 전 · MS 2024 (수정됨)

    연구방법은 질적,양적으로 나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당문제가 수집방법이아닌 연구방법으로 접근해야된다는것도 알아요.
    Ebs7회독했습니다.
    다만 17년도당시에 이링크를보고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https://orbi.kr/00013731470

  • 7회독 · 1337023 · 50분 전 · MS 2024

    그리고 틀렸다면
    수집방법에서의 문제에서는 참여관찰법을 정서적교감으로 접근하면 안된다라던지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 분류되기때문에 정서적교감이
    정답이 될수밖에 없다.

    이렇게 알려주고가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데 제가내린결론은 수집방법에서나 연구방법에서나
    질적연구 및 참여관찰법은 정서적교감이 필요한것같습니다.

    참여관찰법이 질적연구가 아닌건 아니니까요.
    단지 정서적교감이라는개념은 면접법>참여관찰법 이되겠지요 크기상으로는

    자연현상의 보편성이 사회문화현상의 보편성보다 강한것처럼요.

    최근 3개년정도를 분석해봤지만 헷갈리는선지로 이부분을 낸적은 없어서 마무리했습니다.

  • 위로 일주일두번만 자기 · 1141369 · 1시간 전 · MS 2022

    개념 강사로 안들으면 이분꼴납니다

  • 7회독 · 1337023 · 37분 전 · MS 2024

    님 제말뜻 이해못했죠

  • 위로 일주일두번만 자기 · 1141369 · 35분 전 · MS 2022

    네.

    사실은 이해 안하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괜히 오개념이 섞여 들어올까봐 민감하네요
    괜히 오르비를 들어온 듯 합니다

  • 7회독 · 1337023 · 47분 전 · MS 2024

    그리고 "일반적"으로 질적연구에서 활용된다는점도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