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25수능이 좋긴햇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20129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모든 과목이 기출 여기저기 짜집기한 느낌이여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본 애니에는 감동이 있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진짜
-
부모님을 볼수있는 시간이 앞으로 점점 짧아진다는게 몸으로 느껴지는데 많이...
-
난이도 님들이 보기에는 어떰? 삼각형 넓이 문제
-
실력을 압도적으로 만들어서 어떤 시험지가 와도 이겨내는 게 답인 듯 물론 현실에선...
-
뻘글) 강아지 4
-
점수가 60후반에서 90대중반까지 진동을 미친듯이 침 사실 하방이 실력이라 생각해서...
-
무물보 받음 7
선넘질도 ㄱㄴ 설거지하고 답변해줌
-
아이큐 검사 하고 뽑아야되는거 아니냐 아파트 사게 한다고 내놓은 정책이 ㅅㅂ 에휴
-
뭐 가르치는건가요 그냥 sin세타를 세타를 치환하고 이런거 말하는거임요? 활꼴...
-
이미지 쌤 3
그 작년도 엔티켓 각 주차 앞에 타이머+노래 있었는데 혹시 그 노래있는 사이트 링크...
-
평가원 독서 유형별 자료입니다. 참고 하세요.
-
갑자기 심장이 빨리 뛰고 몸이 가만히 있지를 못하겠어요
-
내 수학 약점 3
도형 수열추론
-
예전에 2000까지 찍혔는디 퇴물다됨
-
19수능 천변풍경 26번 24수능 잊논 문 가담넘 정말 대학수학능력시험에 걸맞는 정말 훌륭한 문제들
-
평가원 기준 높2~1컷은 돼야 소화가 가능하지 않나 싶은데
-
국어랑 수학 어려웟다네
-
사람마다 다 말이 다른데 누군 80초라 하고 누군 80후반이라하고
-
아. 3
당했다
수학에서 서바 냄새 나던데
ㄹㅇ
안풀어봐서 몰라
사전적으로는 '짜깁기'가 표준어이며, '짜집기'는 구개음화가 된 형태다.
다만 최근에는 ‘짜짓기’가 더 올바른 표기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어떻게 표기하든 결국 그 용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본질적 의미는 ‘여기저기서 부분을 떼어와 무언가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고, 그 대상에는 부정적 가치 판단이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짜깁기’의 ‘깁기’는 해지거나 찢어져 벌어진 것을 바느질 등으로 이어 붙이는 미시적 행위에 대한 서술인 반면 ‘짜짓기’의 ‘짓기’ 는 ‘옷을 짓다’, ‘건물을 짓다’ 등의 표현에서 드러나듯 최종적 완성물(예컨대 옷, 건물 등)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따라서, (독창성 부족,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사유로) 부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무언가 최종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서는 부분(혹은 과정)이 아닌 전체(혹은 최종적 산물)를 지칭하는 ‘짜짓기’가 더 합당하다.
이 용어가 한국 사회에 널리 회자된 것은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논문 표절 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높아지던 1990년대 말 이후다. 서구에서는 흔히 ‘patchwork’란 용어로 지칭되던 것이 한국에 처음 들어와서는 명확히 합의된 표기없이 [짜지끼], [짜집끼] 등의 발음의 구어로 통용되었다. 이후 그 담론을 KBS 등 제도권 언론에서 다뤄야 할 시점에 이르러 성급히 ‘짜깁기’로 특정 표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미상으로도, 전체 과정 중 한 종류의 미시적 행위를 지칭하는 ‘짜깁기’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방품, 표절작품 등을 지칭하기에 부족할 뿐아니라, 구어상으로도 [깁] 보다는 [집] 혹은 [짓]의 발음이 압도적으로 많았음을 고려하면 억지스런 표기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찾다보니 비슷한내용이 6모언매장지문으로 출제되는 상상함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