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익숙하되 다른 조건을 조심해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18841
문제들을 풀다 보면 비슷한 조건들을 자주 만나게 되고 사용해 본 적 있는 논리를 또 쓰게 되죠. 이 흐름에 점점 익숙해지다가 비슷하면서도 살짝 다른 상황이 주어지면 정답률이 내려가게 돼요. 쉬워 보이는 문제이더라도 아는 내용인 줄 알고 경계를 늦추고 접근했는데 알고 보니 다른 내용이었다면 실수를 할 확률이 높아지니까요.
23학년도 수능 16번이에요. 핵형 분석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EBSi 기준 오답률 1위를 기록했어요. 절대적인 난이도가 더 높은 문제들이 있었음에도 이 문제를 틀린 사람들이 많았던 이유는 "모든 상염색체와 ㉠을 나타낸 것이다. ㉠은 X 염색체와 Y 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다." 라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이에요.
21학년도 수능 6번에 비슷한 조건이 출제된 적이 있어요. "X 염색체를 제외한 나머지 염색체를 모두 나타낸 것이다." 라는 조건이 주어졌었는데요, 이 조건에 익숙했던 학생들이 "모든 상염색체와 ㉠을 나타낸 것이다." 조건을 처음 마주했을 때 별다른 생각 없이 그림에 ㉠을 제외한 모든 염색체가 나타나 있다고 반대로 생각해서 이 문제를 틀렸어요.
23학년도 수능 16번의 조건은 잘 읽었지만 ㄷ 선지를 틀린 사람들도 정말 많았어요. 특히 최상위권 중에서 2번을 골라서 틀린 사람이 많아요. 평소에 전체 염색 분체 수에 대해서만 물어보다가 상염색체의 염색 분체 수에 대해 물어보았을 뿐인데, 이전과 비슷하면서도 무언가 다른 상황에서 확실하게 집중하지 못하다가 헷갈려서 틀린 거죠.
23수능 이후에 관련 조건들을 활용한 변형문제들이 많이 나왔고, 관련 문제들을 많이 푼 학생들은 저 문제 조건에 굉장히 익숙해졌을 거예요. 다음 수능에 같은 조건을 활용한 문제가 나와도 오답률이 높지 않겠죠. 하지만 익숙해 보이면서도 살짝 다른 조건이 숨어 있는 문제는 언제든지 출제될 수 있고, 출제된다면 오답률이 올라갈 거예요.
어떤 조건이나 선지가 나오더라도 주변 사람들이 실수를 할 때 나만큼은 실수를 하지 않으려면 이런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이고 익숙함의 늪에 빠지지 말아야 해요. 아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깊게 생각하지 않고 접근하다가 치명적인 오류를 범하는 일이 일어나면 안되니까요.
단순히 처음 보는 조건이 주어졌다고 해서 그 조건이 어렵게 느껴지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익숙함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편향된 시야로 문제를 바라본다면 자신도 모르게 잘못된 풀이를 따라가고 있을 거예요. 이전에 보던 것들과 조금이라도 다른 조건이 출제된다면 실수하지 않도록 더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별의아이가 그립구나.. 13
굿다이노ㅋ
-
단어는 다 외웠고 2회독은 했습니다 근데 문법을 농담이 아니라 진짜 하나도...
-
ㅎㅇ
-
응응
-
사랑은 2
헷갈리게 하지 않아 수많은 선택지 위에 너와 나 난 너만을 넌 나만을 남겨둬~ 잘자용
-
원래 사문지구했었는데 더프보면 지구 20점대에 현역수능때도 30점 ㅈ망이어서 하방을...
-
공부한지 3달 됬는데 여태까지 옛날 기출 풀어오고 있는 중이었는데 아무리 과탐이...
-
만났다가 헤어져도 봤지만~~
-
뻘글) 코끼리 8
-
여기에 치킨뿌릴거같음 그정도로 기분좋을듯
-
네 늘 그랬듯이 1등 찍고 올게요
-
응응 앙 옹 헉
-
여자와 밥먹는 방법 11
아니 잠깐 조교 했었는데 애들한테 밖에서 마주치면 밥 사주겠다고 약속했는데 진짜...
-
예를들어 tf'(t)= 0 을 만족하는 k가 2개 뿐일때 k=0 또는 f'(k)는...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칼럼 좋아요
나는 과탐 안해도 되는 게 참 다행이다

ㅋㅋㅋ 감사합니다:)으악 생명시러

저한테만 재밌나 봐요 ㅎㅎ학생땐 재밌었는데
본업이 되니
꼴도 보기 싫더라구요
........
실제로 저 이후에 모의평가(언제였는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 나지만)에서 동일한 발문의 문제가 나왔을때는 정답률이 저때만큼 낮지가 않았죠. 학습이 되었으니까요.
저런 것들이 누적되는게 꼭 백신을 맞는 것 같아요. 그러면서 면역력이 증진되고 해당 실수를 다음에는 줄이는거니까요.
하지만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오면 기존 백신으로는 대비가 안 되고 결국은 근본적인 면역력을 키우는게 해결책인 것 같아요(비유가 너무 이상했나)
암튼 항상 글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비유가 너무 찰떡인데요? 말씀하신 것처럼 근본적인 면역력을 기르는 게 중요하죠감사합니다~!
저 근데 고민이 좀 있는데 쪽지 드려도 괜찮을까요...?
넴 주세요 ㅎㅎ

감사합니다!!!생명수님, 내일 생물 내신 준비할 때 한 가지 좀 햇갈리는 게 있는데, 쪽지 저도 좀 드려도 될까요? ㅠㅠ
넵 주셔도 돼요~

생1은 말장난 조금만 쳐도 타임어택성 과목이라 학생분들께서 실수할 가능성이 타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죠… 좋은 글인 것 같습니다!
특히 비유전에서 실수하면 치명적이죠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