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다인자 기본기 3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00717
다인자 문제를 풀 때는 항상 대문자 수와 비율에 집중해야 돼요. 다인자 문제에서 유전자형은 중요하지 않고, 따로 유전자형 관련 조건을 제시하거나 선지에서 물어보지 않는 이상 유전자형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가 없어요. 유전자형을 쓰지 않고 최단 거리로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비율을 능숙하게 활용할 줄 알아야 해요.
다인자 문제를 풀 때 매번 비율을 직접 구해도 되지만, 문제에서 나오는 비율이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모든 비율을 암기하고 있는 게 좋아요. 델타에 해당하는 비율과 비율에 해당하는 델타를 구구단처럼 암기해 두면 좋고 특정 칸수를 가지는 비율을 모두 암기해 두면 더욱 좋아요. 표는 2연관 2연관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비율들을 나타낸 거예요.
모든 비율을 암기하고 칸수별로 정리하는 것에 더해서 특정 확률이 주어졌을 때 그 확률이 등장하는 모든 비율을 떠올려낼 줄도 알아야 해요. 표는 각 비율에 등장하는 확률을 모두 나타낸 거예요. 확률을 보자마자 그 확률이 나타나는 비율을 모두 생각해 낼 수 있을 정도로 암기해 두면 좋아요.
다인자 문제를 풀 때 비율의 대칭성과 홀짝 논리에 대해 알고 있으면 굉장히 유용해요. 순수 다인자 유전에서 나오는 모든 비율은 좌우 대칭이에요. 그리고 비율에서 '아버지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과 '어머니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도 좌우 대칭이에요.
예를 들어 '아버지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이 3/16이면 '어머니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도 3/16이고 두 확률은 비율 상 반대 지점에 위치해요. 부모의 대문자 수가 서로 같은 경우에는 칸수가 홀수이고 '부모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은 비율의 중앙에 위치할 거예요.
비율상 '부모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이 대칭이라는 점에 착안하면 칸수의 홀짝과 '부모의 대문자 수의 차'의 홀짝이 반대라는 것도 알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비율이 1:4:6:4:1이고 '부모와 표현형이 같을 확률'이 1/4이라면 칸수는 5(홀수)이고 '부모의 대문자 수의 차'는 2(짝수)예요.
델타의 합의 홀짝과 '대립쌍에서 유전자를 하나씩 골라 DNA 상대량을 더한 값'의 홀짝은 동일해요. 예를 들어 유전자형이 AabbDd이면 Δ1 Δ0 Δ1이므로 델타의 합은 1+1=2으로 짝수이고 A+B+D=2, A+B+d=2, A+b+D=4, A+b+d=4, a+B+D=2, a+B+d=2, a+b+D=4, a+b+d=4로 모두 짝수예요. 유전자들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예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폰내기 싫다 6
-
99들 나가리되고 다음세대인가?
-
ㄹㅇ 어캐감?
-
대학오면 주 4일제 삶을 만끽해보세요 수공강이나 금공강 강추 지금은 다들 사실상 주...
-
몇시 - 몇시 요즘 점심에 자서 저녁에 일어남..
-
저녁 뭐드심? 6
?
-
위는 두구 케이슨데 제 눈엔 좀 촌시러워 보이네요
-
잘자요 4
좋은 꿈 꿔요
-
이번 고3 3모가 25수능보다 공통부분이 어려웠다는데 4
사실인가요........? 그게 사실이라면 나도...수능때 공통.,.2틀? 되나...?되려나
-
반수 사탐런 5
공대 1년 다니고 현실을 깨달아버림.. 메디컬이 아니면 답이 없다는걸...
-
대타 구할 시간도 없는데 어쩌자는거냐 아 진짜 책임감없네
-
삶이 윤택하네 앞으로도 이대로 살자
-
다때려박아 5
범퍼카 마 범퍼카 면허도 필요없지 엉덩짝 걷어차
-
이 문제 4
직선이 굳이 AG가 아니더라도 그냥 코사인제곱합이 2인거 아시나요
-
자기들도 아닌거 알면서..
-
그그그그그럼나도수학공통에서2틀확통1틀해서2등급받은다음에 3
헤헤ㅣㅅ으흐흐흐흐헤헤
-
그립습니다
-
걱정하지마라! 50점을 받아도 높1이 안뜰테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