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우진 뉴런 수2 theme3 주제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91062
remark1에 3번 (연결 지점이 x=a일 때 함수의 차를 이용하여 x-a의 인수의 개수 파악)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설명 부턱드립니다. 아니면 개정 시발점에서 이거 언급하는 부분 말해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중간에 멈춰서 ㅠㅠ 어려운 문제만 좀 골라서 풀어보고 싶은데 혹시 아시는 분...
구간 x=a 일때 (x>a) (x<a 등호0)
두 함수가 있으면 그 함수를 빼서 (x-a)이 나오면 연속
(X-a)제곱 이상이 나오면 미분 가능하다 정두루 기억하면 될 듯ㅇ ㅛ
그것만 알면되나요?
이거 말구 안 쓰던데ㅇ ㅛ 이거 불편하면 그냥 직접 미분 해ㅇ ㅛ
넵
구간함수가
x=a를 경계로 왼쪽에는 f(x)가 있고,
오른쪽에는 g(x)가 있다면
이 구간함수가 미분 가능하려면 f(a)=g(a) 여야 하고,
f’(a)=g’(a)여야 합니다.
이걸 그냥 한 쪽 변으로 다 이항해서 옮기면
f(a)-g(a)=0이고,
f’(a)-g’(a)=0입니다.
이걸 식으로 표현해보면
f(x)-g(x)=(x-a)^2 인수를 가져야 합니다.
그래서
차함수의 인수의 개수로 미분가능성을 따질 수 있는 거예요
혹시 이방법으로 푸는 문제 예같은거 있을까요?
요것 두 개 함 풀어보시겠어요? 방금 퍼오긴 했는데
님 챗 확피티인가요?
이제 감잡았네요 감사합니다
1개면 뚫고 2개 이상부터
짝수면 극점 -> 도함수 부호 변화 o
홀수면 변곡 -> 도함수 부호 변화 x
우와아아앙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