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읽기 자료) 데카르트, 수학으로 철학을 세우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35207
데카르트, 수학으로 철학을 세우다
연역, 회의, 좌표, 그리고 생각하는 존재
1. 출발: 모든 것을 의심한 철학자
데카르트는 “확실한 지식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물은 철학자였다.
그는 먼저 모든 것을 의심하는 회의주의적 방법을 사용했다.
우리가 믿는 감각, 전통, 심지어 수학의 증명까지 모두 의심의 대상이 된다.
이 회의를 끝까지 밀어붙였을 때, 단 하나만은 남는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이 문장은 단순한 자기확인이 아니다.
그 어떤 것도 의심할 수 있어도,
“의심하고 있는 나”는 의심할 수 없다는 자명한 인식이다.
이로써 데카르트는 인식의 첫 번째 토대를 발견한다.
2. 연역적 체계: 기하학처럼 철학하기
데카르트는 이 자명한 인식 위에 지식 전체를 세우고자 했다.
그가 선택한 방식은 기하학적 전개 방식, 즉 연역법이었다.
연역법: 명확한 원리에서 필연적인 결론을 끌어내는 논리 방식
예)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데카르트는 철학도 수학처럼 자명한 출발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인식의 흐름을 다음과 같이 전개했다.
① 자아의 존재 →
② 신의 존재 →
③ 신은 완전하므로 인간을 속이지 않는다 →
④ 감각과 이성이 명확히 인식한 세계는 믿을 수 있다
이 흐름은 마치 기하학에서 공리 → 정리 → 증명으로 이어지는 방식과 유사하다.
수학적 사고방식이 철학 전체의 구조를 설계하는 모델이 된 것이다.
3. 좌표 평면: 도형과 방정식을 연결하다
데카르트는 단지 철학자만이 아니라 수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좌표평면이라는 개념을 발명함으로써
기하학과 대수학을 연결했다.
→ 원래 ‘직선의 방정식’이란 말은 존재하지 않았다.
→ 일차 방정식과 직선은 각각 수학의 다른 세계에 속했다.
→ 데카르트 이후, 우리는 방정식으로 도형을 설명하게 되었다.
이것은 “방정식 = 도형”이라는 사고방식의 혁명이었다.
이러한 좌표기하학은 이후 물리학, 공학, 경제모형 등
모든 현대과학의 표현 방식이 되었다.
4. 존재의 아이러니: 생각하는 자의 죽음과 남겨진 두뇌
데카르트는 스웨덴 여왕의 요청으로 혹한기 새벽에 철학을 가르치다 폐렴으로 생을 마감했다. 향년 53세였다.
그의 두개골은 시신과 분리되어 수십 년간 유럽을 떠돌다,
오늘날 파리의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된 것으로 전해진다.
비슷한 일이 아인슈타인에게도 벌어졌다.
그는 생전에 “화장 후 유해를 은밀히 처리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1955년 사망 당시 병리학자가 가족 동의 없이 뇌를 적출해 연구에 사용했다.
그 뇌는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학자들과 박물관 사이를 떠돌았다.
이 두 지성의 삶과 죽음은 묘한 교차점을 만든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문장을 남긴 철학자와,
“생각하는 뇌” 자체로 상징되는 과학자.
그들의 신체 일부는 죽은 뒤에도 ‘존재’하여,
지성의 물리적 흔적이 어디까지 존엄이고 어디서부터 침해인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4번을 제외하고, 모두 다 국어 기출 기반입니다.
읽다 보면 재미있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벌 열등감 1
대학 입학 전에 학벌 관련으로 엄청 우울하다가 입학 직후엔 좀 괜찮아졌었는데 또...
-
과외 끝 11
야 기분이가 좋다~! 날씨 진짜 쪄 죽겠네
-
연계학습을 하긴 하는데 그냥 강민철로 따지면 피드백 같은거임 작년엔 연계 강의가...
-
김승리 질문 4
김승리 선생님 커리를 따라가고 있는 데 기출분석을 하는 게 맞나요? 계속 선생님이...
-
배존나고파 0
ㅜㅜ
-
가서 뭐먹지 4
지금 배고파서 10그릇도 가능할거같음
-
강의는 일단 TIM 1주 정도 밀린 것 빼고는 밀린게 없긴 한데 들어야 하려나...
-
[칼럼] 80일만에 문디컬 가기 - 방향 설정의 중요성 1편 21
안녕하세요 한달뒤는입니다. 전에 예고한대로 제 입시이야기를 좀 풀어보려 합니다....
-
돌고돌아 또 너네구나 누가 우승할까
-
댓없는 글이 마늠
-
뷔페 흐흐 이따가 올려야지
-
안녕하세요? 두 번째 칼럼으로는 물2에서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저항과 축전기에...
-
물리는 확실히 글이 많이 없네요.. 3덮보단 확실히 어려웠고 11번은 정답률이...
-
김범준 필기노트 1
이거 어떻게 활용하는 건가요...? 스블은 이미 완강했고 n제 기출 문제만 벅벅...
-
ㅇㅈ 4
오랜만이야
-
다른 스타들은 현역 때도 오고, 은퇴하고 나서도 의외로 온 케이스가 있는데 이 분은...
-
그냥기뻐하기로함 9
생각해보셈 기하런 3월에 햇는데 4덮 기하 2틀이라니까 기하가쉬웠다는나쁜말은 ㄴㄴㄴㄴㄴㄴ
-
최근에 천문학계에서 인류 역사에 남을 중대한 발견을 했습니다 12
지구에서 124 광년 떨어진 K2-18b 행성에서 강한 생명의 흔적이 발견됐음...
-
좆빙신?
-
시골 현역 정시파이터입니다. 미적 선택입니다. 3모 수학 72점 (찍맞 포함) 공통...
-
더워 ㅅㅂ 3
살려줘
-
키스로직 다음에 0
주간키스 중에 우선적으로 들어야되는 시즌이 무엇인가요???
-
언매 78 확통 72 영어 92 생윤 41 사문 39 …. 사문 열심히 했는데 3모...
-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고3이 된 문과 여학생입니다.. 현재 제 내신은 5.5 이구여...
-
2209평인가 나왔던 노래와 이야기 현대시 세트가 1209에도 똑같이 있었는데 단순...
-
능률 2배이벤트 터짐 앞으로 날려써야겠음
-
사문 킬러 3
사문 잘하시는 분들 도표 3문제 빼고 몇분 남기시나요?? 그리고 도표 3개 다틀리고...
-
표정이 ㅈ같아서일 때가 많음 개빻은 친구들 많은데 개못생겼단 생각은 들어도 혐오감은 안 듦
-
강대 재종생 0
수학 컨 존나많은데 이거 다 쳐내야함? 강대컨까진 쳐내겠는데 강사 부교재,워크북은 할 시간이 안남
-
remark1에 3번 (연결 지점이 x=a일 때 함수의 차를 이용하여 x-a의...
-
해설 보니 푸는방법은 알았습니다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틀려버리는 이유가 궁금해요....
-
화2 고수가 보기엔 어떰
-
좋나요?? 2등급은 나와야하는데 작수 77이였어서 ㅠㅠ 해설지 어떤가요
-
스블 vs 알텍 1
현재 고2 이고 자이 2번정도 돌리고 절대등급 까지 풀었는데 뭐가 나을까요?...
-
중간고사 늦은거 같다고 언제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나요 빨리 빨리 할거 해야죠 이...
-
AI로 수준별 맞춤 문제제작/튜터 생명과학I 만들어봤어요 0
수학학원에서 조교하다가 문제제작때문에 Ai쓰고있어요 ( 만드는데 그렇게안걸려서...
-
언매 91 미적 85 영어 95 물리 44 생명 47 언매 강기분하고 새기분하는중...
-
뮤조건 다른 과 공대남. 자과 인문 다 아니고 공대
-
차이가 뭔가요??? 특히 추천하실만한 시즌이 있나요???
-
어디서 잘못됐는지 답이 계속 안나와요.... 도와주세요...
-
다짜고짜 질문해 죄송합니다 영어 국어 사탐 두개 노벤데 지금부터 공부하면 다 백점...
-
뉴런 관련 질문 3
수학 2~3 왔다갔다리 뉴런 들어도 되나요 기출은 3회독 정도했고 다음 기출문제집은...
-
.
-
대딩인데 문과라 모르겠음..
-
생윤 0
왤케어렵
-
지금 서성한 경제학과 2-1 다니고있는데요… 의대가 넘 가고싶어서 요즘 반수고민을...
-
ㅅㅂ 지리상북극 지자기북극 고지자기극 ㅅㅂ 도대체 차이점이 뭔데 차이점도없으면서 걍...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