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la] 수석들이 추천하는 백지복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24774
안녕하세요.
유튜버로 거듭나고 있는(?) Zola임다^^
서울대 사회교육과 수석 졸 강사의 콘텐츠 보물 창고
유튜브 댓글에 이런 글이 있던데
사랑하셔도 됩니다^^
결론.
1. 백지 복습은 유용하다.
2. 단, 아무거나 백지 복습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특히 범위가 적거나 쉬운 내용은 백지 복습 비추
3. 생윤은 백지 복습할 것이 딱 정해져 있다!
총 3(+2)개의 콘텐츠를 소개할게요.
1. Zola의 백지 복습에 대한 영상
2. 수만휘 칼럼 주소(서울대 의대 수석 합격생 후기)
3. 예전에 제가 쓴 칼럼
+
백지복습 현강 안내
유튜브 대본의 본론 부분
1. 백지 복습 소개 영상
바쁘신 분들은
영상 5분부터 백지 복습법 보여주는 내용이니까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2. [추천] 서울대 의대 수석 합격자 질문 받습니다.
https://cafe.naver.com/suhui/27431544
==>네이버 수만휘글은 댓글을 잘 보셔야 합니다.
본문에는 별내용 없습니다.
3. [Zola 생윤] 서울의대 수석과 칸트와 백지복습과 마인드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740995
==>1번 영상은 이 칼럼의 보강 버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당시의 수업 홍보 내용이 있는데,
그건 무시하고
나머지 집중해서 읽어 보시면 도움될 겁니다.
열공+즐공=대박!!!
[덧붙임]
작년과 달리 올해는
오르비 아닌 학원에서
백지 복습 현강을 개강하였습니다.
자세한 것은 공지사항 확인해 주세요.
https://class.orbi.kr/teacher/164/notice/123786
[유튜브 대본의 본론]
내용의 대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영상보다 글읽기가 더 정확한 분들은
아래 대본 보시는 것이 나을 수도 있을 겁니다.
다만 영상에서 사용된 그림 자료 중 일부와
칠판 필기 내용은 생략되어 있어서
중간 중간 맥이 끊길 수 있으니
아리까리한 것은 꼭 영상 확인하세요.
오늘 저는 이 주제로 3가지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why 왜 해야 하느냐
2. when 언제 해야 하느냐
3. how 어떻게 해야 하느냐
집중하고 들어보세요잉
[본론]
1. 백지 복습을 왜 하느냐!
자 일단 우리는 복습을 할 때 머리 속에 무언가를 집어 넣습니다. 이걸 input이라고 할게요.
그러면 당연히 input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을 해야겠죠.
여기서 보통 수험생들은 어떤 식으로 확인하냐고 하면 문제 풀면서 확인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다음 표를 보시죠.
생윤 과목에서 최근 5년간 수능에서 정답률 분포입니다.
수능(학년도) 정답률 분포 | 21 | 22 | 23 | 24 | 25 | 평균 |
1컷 | 50 | 48 | 45 | 50 | 41 |
|
60% 이상 | 18 | 18 | 13 | 18 | 10 | 15개 |
60% 미만 | 2 | 2 | 7 | 2 | 10 | 5개 |
제가 편의상 60%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했는데
정답률 60% 이상이면 6등급도 맞춘다는 거거든요.
이런 문제가 2/3가 됩니다.
다시 말해서 이 정도면 솔직히 공부를 해서 맞춘다가 아니라 공부를 안 해도 맞출 수 있다는 정도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게다가 객관식 문제는 소거법도 가능하고, 아리까리해도 선지 보고 대충 판단할 수도 있고, 운빨로 맞추는 것도 있고 등등...
결과적으로 기출 객관식 문제로는 input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제가 보기에 한심한 것 중의 하나가 암기하고 바로 기출 문제든 뭐든 객관식 문제 푸는 거에요.
이게 확인이 되었다고 할 수가 없어!!!
input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주관식 그것도 완전한 주관식이라고 할 수 있겠죠. 바로 백지복습입니다.
2. when 언제 해야 하느냐
그러면 백지 복습을 언제 해야 할까요?
일단 백지 복습이 필요한 주제는
지식이 많이 필요한 주제가 될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굳이 암기할 필요가 없을테니까요.
제가 생윤 문제 분석하는 틀을 다른 영상에서 보여드렸는데 다시 보여드릴게요.
프린트해서 눈팅해두시면 문제 보는 눈이 올라가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생윤 문제 유형 | 주제 또는 문항 형식 | |
독해 | 독해 주제 | [주제] 삶과 죽음의 윤리(낙태, 안락사, 뇌사)/ 생명 윤리/사랑과 성 윤리/청렴(직업 윤리)/정보 사회와 윤리/의식주 윤리/대중문화 윤리/갈등 해결/민족 통합 [문항 형식] 핵심쟁점/3단 논법/신문칼럼/X-Y-Z |
지독 | 지식반/독해반 (지식 수준 낮음) | 죽음관 사상/직업관 사상/사랑 사상가/과학 기술과 윤리/예술과 윤리/다문화 모형/종교 윤리(엘리아데)/소통 윤리 |
지하 | 지식 비중 높음 BUT 지식 수준 낮음 | 윤리학 구분/동양 윤리 이론(가끔 예외)/서양 윤리 이론(가끔 예외)/국제관계론/평화론(갈퉁) |
지상 | 지식 비중 높음 & 지식 수준 높음 | 분배 정의, 교정 정의, 사회계약론, 시민불복종, 자연과 윤리, 칸트 평화론, 해외원조 |
일단 독해와 지독(지식반독해반의 준말이에요)은 백지 복습이 필요없습니다. 난이도도 낮고 외울 것도 별로 없거든요.
이런 건 필기잘해서 눈팅 몇 번 하고 제가 살짝 통수끼가 있다는 주제만 백지 복습 약하게 몇 번 끄적여 보면 됩니다.
백지 복습이 필요한 주제는 지식 비중이 높은 주제에요.
하지만 생윤에서는 지식 비중이 높긴하는 한데 지식 수준이 낮은 지하인 문제가 있어요. 지하인 문제도 굳이 백지 복습까진 필요가 없을 수 있어요.
지상인 문제들은 백지 복습을 꽤 해야 하는데, 막상 하려고 하면 안 그래도 내용도 어렵고 외울 것도 많은데 백지 복습하려면 잘 안 됩니다.
그래서 저는 지하인 주제들부터 백지 복습 연습을 해라. 그리고 지하인 주제 중에서 윤리학 구분/동양윤리/서양윤리가 마침 생윤 진도 앞 부분이어서 여기서 일단 백지 복습하는 연습을 해두면 나중에 킬러 주제들 백지 복습할 때 조금 편하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얘기합니다.
정리하면 지금 보이는 주제들은 백지 복습 연습을 하되 지하는 조금 가볍게 하면서 초반이니까 연습한다고 생각하면서 시도하고, 지상인 부분은 본격적으로 백지 복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지하 | 지식 비중 높음 BUT 지식 수준 낮음 | 윤리학 구분/동양 윤리 이론(가끔 예외)/서양 윤리 이론(가끔 예외)/국제관계론/평화론(갈퉁) |
지상 | 지식 비중 높음 & 지식 수준 높음 | 분배 정의, 교정 정의, 사회계약론, 시민불복종, 자연과 윤리, 칸트 평화론, 해외원조 |
이 방법은 모든 암기 공부에는 다 통해요.
대원칙을 말씀드리면 지식 비중이 높은 부분은 반드시 백지 복습을 해라...
단, 수준이 낮으면 조금 가볍게 하고,
수준이 높아질수록 백지 복습 강도도 높아져야 한다...이렇게 정리하면 되겠네요.
3. how 어떻게 해야 하느냐
백지 복습은 input을 최대한 그대로 output하는 겁니다.
그러면 일단 님들이 input한 원본이 있어야겠죠.
가장 이상적인 원본은 수업이나 원서(개념서나 독학서, 이론서 등등)가 되겠지만, 이걸 그대로 백지 복습하는 것은 천재 중의 천재만 가능하겠죠.
우리 같은 평균적인 인간들은 수업이나 원서를 정리한 필기를 input하는 것도 많이 힘듭니다.
즉, 우리가 백지 복습할 원본은 필기입니다.
그러면 백지 복습은 필기를 그대로 copy 즉 복사하는 것인데
여기서 많은 분들이 백지 복습을 필기를 베끼는 것으로 착각합니다.
백지 복습은 필기를 베끼는 것이랑은 차원이 다른 복습법입니다.
필기를 베끼는 것이 아니라 필기 속에 녹아 있는 구조, 논리, 체계, 연결성 등을 베기는 것입니다.
무슨 말인지 제가 직접 보여드릴게요.
제가 필기법 얘기를 이 영상에서 했어요. 그리고 여기서 요나스를 다루었어요.
이제 이걸 원본으로 해서 백지 복습을 해 보겠습니다.
일단 저는 필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라인-틀-구조-체계입니다. 이게 가장 먼저 백지 복습이 되어야 합니다.
직접 써 보면
요나스는.....크게 보자면 문제 의식->도덕원리 그리고 원형이라는 3중 구조로 이루어집니다(필기 하면서 설명할게요)
일단 이게 적혀야 됩니다. 이게 안 적히고...다른 것이 적히면 지금 님 머리 속은 정리가 안 되고 그냥 뒤죽박죽 되어 있다는 것이에요.
다음으로 문제 의식 또는 전제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인간관, 사회관, 자연관이다. 이걸 제가 이렇게 필기를 해 나갑니다(이것도 필기하면서 설명할게요)
이렇게....지식을 그냥 막 베끼는 것이 아니라 순서-질서-구조를 그대로 베끼면서 지식을 output하는 거에요. 그래야 내 지식이 내 머리 속에 정리되는 겁니다. 소위 말하는 지식의 구조화/체계화가 되는 것이죠.
그런데 이게 문제가 있습니다.
구조는 순서가 있는데, 하다 보면 중간에 막히는 것들이 있어요.
(필기를 보면서 설명할게요)
필기에서 중간에 여기 저기 구멍이 나고 앞의 것은 기억이 안나고 뒤의 것이 기억나는 그런 경우들이 있어요.
이때 방법은 2가지입니다.
백지 복습 중단하고 다시 input부터 하는 방법. 완벽주의자들이 이런 것을 좋아하죠. 그런데 저는 그리 추천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이게 너무 힘들고 시간도 많이 걸려요.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물론 성공하면 성취감은 엄청나겠지만...저는 생윤 강사지만 생윤 따위에 성취감 느끼지 말고 그 성취감을 국어나 수학에서 느껴라는 주의라서...이 방법을 추천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그러면 다른 방법은 무엇이냐...일단 막히는 부분 표시하고 계속 순서를 지켜가면서 백지를 채우세요. 그리고 다시 필기보면서 빠진 부분 채우면서 input하시고 다시 처음부터 백지 복습하는 겁니다. 저와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는 분의 글이 있어서 가지고 왔습니다. 아까 보여 드렸던 서울의대 탑 5안에 드는 분의 방식입니다.
여기 보시면 보이시죠. 중간에 내용 생각 안나도 일단 끝까지 간다....그런데 이거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대부분 중간에 생각이 안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뒤의 내용도 뒤죽박죽 정리가 안 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말처럼 쉽지 않을 겁니다. 그러니 인내심을 가지고 여러 번 시도하셔야 겨우 1번 성공하실 겁니다. 이게 끈질긴 연습이 필요해요.
처음에 시간을 많이 잡아먹기는 하는데, 익숙해지면 1시간짜리 수업도 몇 분 안 걸려요.
[마무리]
자 백지 복습에 대한 얘기를 해 드렸는데 효과는 어떨지 궁금하시죠?
저 같은 경우 주로 6평 전에 백지 복습 특강을 하는데
특강생 사례를 직접 보여드릴게요.
화면상으로 세세한 내용을 구분되지 않을 건데
롤스의 시민 불복종 관련 내용이에요.
학생 A과 B보다 뭔가 내용이 더 많이 채워진 것 같죠?!
그리고 시험을 봤는데 학생 A는 정답률 90%, B는 정답률 70%에요. 확실히 차이가 나죠.
학생 A => 정답률 90% | |
학생 B => 정답률 70% |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있습니다.
여기 학생들이 푼 문제의 정답률 평균이 38%입니다.
여러분들이 38% 받는 문제들을
학생 A는 90%
그리고 학생 A의 절반도 백지 복습하지 않은 B마저도 70% 정답률을 보입니다. 학생 B도 평균보다 2배 더 잘 했어요.
일단 하면 지식형 문제들을 확실하게 효과를 보게 될 겁니다.
당장 시작해 보세요!!
아니면 제 특강이나 강의 활용해 보십시오.
지금까지 1타 같은 N타 김준호였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이거 사고싶어. ㅠㅠㅠ
-
의외로 영어랑 탐구가 안오름
-
시위참여 goat 의대생 여러분은 조속히 연락 주세요.
-
고전소설이나 고전시가에 나오는 모르는 단어들도 싹다 외워야되나요?
-
다른학교갔으면 가마타고 등교했을텐데.. 1.0이 모고 평균 2등급이러더만 거기갔으면...
-
작년 6모 봤는데 27, 28, 29, 30 틀림 ㅋㅋ 씨발아
-
통통이전문과외선생님 전부나에게로오거라
-
자취하기 싫다 0
1년동안 자취했을때 하고싶은거는 다 해봤고 돈을 떠나서 그냥 엄빠집에서 기생하는게...
-
포텐메타 참전 3
-
수학 표준점수 차이 질문(잘 아시는 분들 댓글좀 ㅠㅠ) 4
24학년도 수능은 확통과 미적 표점차가 어마무시하게 났는데, 25학년도 수능 수학은...
-
그 사람만 좋아하면서 모든걸 내려놓는다는게 얼마나 숭고한건지 알수있기에.....
-
거울봤는데 꽤나 잘생겨서 놀람 피곤해서 다크써클 생긴게 먼가 퇴폐미 넘침
-
끝나다
-
수학 96이상 떴으면 좋겠다
-
마계 x반고 수학내신 12
?????? 작년 2학년 수2 기말
-
수학 1등급을 쟁취하자! 아자잣 (작수 4등급)
-
내꿈은 먹고자임 0
제발 꿈를 이루게 해주세요
-
영어 노베 1
영어 아예 노베인 고2 정시러입니다… 워드마스터 고등 베이직 외우고 이영수 선생님...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야 정가랑 십만원 차이도 안나는건 너무한거 아니냐
-
단 하나의 깃털도 남기지 말고
-
생윤 성,사랑,가족 윤리는 도대체 뭘 배우는지 모르겠다ㅋㅋㅋ
-
수학 (이번 고2는 전국만점자 122명 ㅋㅋㅋ) 교내 최고점 96점 인천 일반고입니다..
-
내일 학교에서 보는데 왜 4덮 놔두고 굳이 이투스를 보는지 모르겠네요..
-
계시록재미없는데 0
흠
-
람쥐님 믿습니다 14
크크크
-
현역3모 화미생윤사문 55478 현역9모 43324 현역10모 21313 수능...
-
7개년 혼자서 보고있는데 문학 독서 둘다 모르는 단어 나오면 따로 정리해서 공부할 필요 있을까요?
-
머지다노
-
3년해서 국수영 687인데 올해 연세대 가능할까요? 30
여기다가 무조건 된다고 하는게 상담 해주는 입장에서 맞는 짓일까요? 본인 의지로...
-
빨리 벗어봐 할 게 있다니까?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구나
-
이게 가능함 0
아까 질문 수정 언미사탐 평백 96.5쯤 되는데 수학이 97 근데 삼육약...
-
생1 퀄리티 괜찮은가요?! 풀거면 중고로 살껀데
-
걍 벌점 받지 뭐
-
언미화1생1 -> 언미 정법생1 2506 : 90 89 3 71 75(3) 2509...
-
대한민국이 정상화되려면 문과도 수학반영을 높여야된다니까 0
수학이 필요한게 아니라 수학적 사고력이 모든 학문의 근간이자 논리의 끝인데 그걸...
-
여친은 맨날 나보고 힘든 일 있으면 말하라고 왤케 자기 얘기를 안하냐고 뭐라하면서...
-
내 수준에 맞춰서 계획 다 짜주고 숙제도 요일별로 뭐뭐할지.. 정해주면 좋겠다ㅜㅜ...
-
잘자 11
-
혈압지문 으아 3
이거 뭐야
-
수학 12,13, 20, 21이 실모 풀 땐 안풀리는데 또 막상 시간안재고 충분히...
-
진심남편. 1
내 남편이 맞나요? 내 남편이 맞아요.
-
노베라 가정했을때 보통 2합6은 뭘로 맞추나요? 수학+탐구or영어 중에서 고민입니다 다 노베입니다
-
왜3주전에시작한다는억지를부려서
-
하 존나 힘들다 0
할 게 존나 많은데 잠 줄이고 싶어도 다음날 수행이랑 야자때메 컨디션 문제갈까봐...
-
아니면 직접 그리면서? 인문학같은지문은 표상을 어떻게하나요?
https://www.youtube.com/shorts/fvwkGBldFnc
쇼츠 참고해보세요.
밑줄+백지복습
열공+즐공=대박!!
삼수는 안돼용...^^
열공+즐공=대박!!
말투가 구수하이 좋네요
누가 저를 조선족으로 오해하더군요...ㅋㅋ
열공+즐공=대박!!!

생윤 칼럼이지만 지식량이 많은 정법에 훨씬 쓸만한 거 같네요쓸만한 지식 줏어갑니다
백지 복습 해보세요. 위 댓글로 소개해드린 쇼츠도 좋아요^^
열공+즐공=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