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문제를 푸는 사람이지 검토하는 사람이 아니다(25사관 22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93073
일단 조건 (나)를 보면 전년도 수능 22번에게서 영향을 받은 듯한 인상이 있다.
조건 (가)를 보면 h(x)는 f(x) 또는 g(x)이다. 이때 g(x)는 알려주지 않았다.
그러면 우리가 해야할 미션은 두가지임을 알 수 있다.
1. g(x)의 특정
2. h가 어느 지점에서 f이고 어느 지점에서 g인지 찾기
수학적 능력이 부족해 이 문제를 풀지 못하더라도
뭘 해야하는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
가지임을 알 수 있다.
(가)는 사실 'h(x)는 f(x) 또는 g(x)이다.' 이상의 정보가 없으므로, 이후의 해석은 (나)에 달렸다.
여기서 우리는 k가 실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
k가 이산적인 변량이 아니라 실수이므로, 아래의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풀고 못풀고는 온전히 위의 문장을 결론으로 끄집어 낼 수 있냐에 달렸다.
따라서 (나)의 부등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통찰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대부분의 실수 x라는 표현이 상당히 비수학적이지만 이해하기는 쉬울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더 강력한 사실을 끄집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이건 그 해 수능에 출제 되었다.
만약 다음의 두 집합이 서로소라 가정하자.
우리는 'n(AUB)=3'라는 사실로부터 위의 가정이 틀렸음을 알 수 있다.
(보충)
n(A)=x, A와 B의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y라 하면 우리는 2x-y=3을 얻는다
x는 y 이상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x, y)는 (2, 1), (3, 3)이다. 그런데 후자는 A=B라는 사실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x, y)는 (2, 1)이다.
이를 구현하면
을 얻는다. f(x), g(x) 모두 x가 충분히 크면 양수이므로,
이런 부등식을 얻는다. 그러면 자연스레
이런 결론을 얻으니 x=alpha, alpha+2에서 h(x)는 극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을 반복하면, h(x)는 0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가 절댓값이 큰 음수일 때에는 h(x)=f(x)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삼차방정식 f(x)=g(x)는 많아야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므로,
f, g 사이의 전환은 많아야 3번뿐이다.
그리고 의외로 이 과정까지 성공적으로 밟은 사람들은 꽤 많은 비율로
다음의 추정을 하게 된다.
이게 수리논술이면 위와 같은 비약은 큰 감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위의 설정을 준수하면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면
시험장에서 우리가 할 검증은 다 끝난 셈이다.
만약 다른 세팅에서 조건을 만족한다면 어쩔거냐?
수리논술이면 이러한 고려가 필요하고
우리가 검토진이면 이런 이슈가 최우선 고려사항이지만
학생은 답을 마킹하는 사람이지 검토진이 아니다.
실전에서 이러한 태도를 견지하고
이후에 문제를 풀면서 왜 해당 경우 이외의 상황이 배제되는지를 분석한다.
흔히들 사회생활하면 사석과 공적인 자리에서 행동을 달리해야한다고들 하지 않는가? 호칭부터 해서
그와 마찬가지다.
본인의 TPO에 따라 문제를 어디까지 팔지를 끊어야 한다.
(보충 1: 함수간 전환 관련 참고 문항)
(보충 2: 나머지 경우의 배제)
만약 h(x)=0의 두 근이 0, 2가 아닌 경우에는 어찌 되는가?
이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근의 조합이 (-2, 0) (2, 4)와 같은 경우 혹은 아예 0, 2와 무관한 경우
후자는 쉽다. 만약 그렇다면 그 두 근은 모두 g(x)의 것이다.
그러면 해당구간에서 h(x)=g(x)인데, 이 경우 g(x)는 축과의 두 교점에서 모두 극소여야한다. 삼차함수니까 불가능하다.
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극소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h(x)=0의 두 근은 x=0, 2이다.
그러면 부호 판정에 의해 g(x)=0의 근의 범위가 아래와 같이 나온다
(이하 상동)
그리고 이런 빠른 전환이 어려운 사람(이하 퍼거)들은
최대한 이런 능력을 키워야한다.
최근의 수능은 정말
퍼거들에게 잔인할 정도로 이런 능력을 요구하니까 말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개념을 충분히 숙지해라 라고 하는데 이를테면 외우면 되는것인지.......
-
분명 킬러급은 없는데 2페부터 계산압박이 말이안됨 결국 4페 도달도 쉽지가 않음
-
4덮 수학 0
확통 무모 72면 3뜰까요..? 더프 국어 수학 2 3
-
인하 공대 학점 1
인하대 기계에서 학점 어느정도면 그래도 괜찮게 취업이나 대학원 준비할 수 있을려나.?
-
드릴 그만풀고 다시 기출로 가야 할 듯.... 6모 끝나고 술처먹으려 했던 내자신이...
-
언 82 미 72 영어 97 물1 37 지1 39
-
정보정리로 절대 못맞힘 문장 자체가 이해가 되고 납득이 되야 보기가 해석될 수 있게 만든 문항
-
싫어하시는 분들도 꽤 있으니까 나름대로 줄여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차단...
-
아냐아냐 공부시간은 "순공부시간"으로 측정해야되 방금 한시간 집중한건...
-
ebs 독서만큼 쓸모 없는 게 없는 느낌... 교과서에 호랑이 넣어놓고는 현무 들고...
-
학교 전재산 n빵하는 조건이면 개같이 찬성누를듯
-
사면초가 2
-
볼텍스 어떰?? 1
구해서 풀어볼까 하는데 풀어보신분들 어떠셨나요
-
화작 70 확통 64 정법 27 사문 39
-
확통미적 선택 1
작년에 미적 71점 3등급이었어요 목표는 2등급정도고 목표대학이 미적 3퍼 가산점...
-
4덮 언매 2
88인데 무보 1 ㄱㄴ?? 안되면 서운한데..
-
도파민에 절여짐과 자연속으로 은둔하는 삶을 7번 더 반복..? 아몰라놀아...
-
생윤/윤사 강화 지문인가...철학 모르거나 못하는 사람한테는 너무 까다로운 지문이라...
-
대충 이걸 13번?정도 반복하면………………….
이걸 15분만에 쓴다니
수업을 했으니 머리속에 그 내용 고대로 타이프하면 되는거라

저도 수업 내용을 써볼까 고민해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실수라는 조건을 통해 부등호는 성립할 수 없음을 알아내는게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굳
여기 이해못함... 설명좀 부탁해요이것도..
합집합 원소개수 구하는거 그런데 A=B일수 없죠 평행이동한거니
그리고 난 이제 문제를 만드는 사람이 되었다....크흑 존나 어려워
죄송한데 h(x)h(x+2) <=0 인 실수3개 조건에서
h(x)h(x+2)<0 인 실수가 없음이 어떻게 나오는지 알려주실분 계신가용 ㅜㅜ
h(x)h(x+2)<0인 실수가 있다고 가정해보면, 그런 실수 x근처에서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x값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정은 거짓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오 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