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모 영어 91 2
왜 잘했지? 영어 존나 유기해서 존나존나 어려워서 진짜 멘탈탈탈 풀었는데 왜잘했지?...
-
아직 대학은 안갔는데 좀 믿어줄수없나
-
모르는척해주세요
-
저 사실 지금 너무 피곤해요 1초도 안 잤거든요
-
잇올 5
빌보드로 상점 16점 받는다
-
이모티콘 모음 2
-
프사도 그렇고 말투도 그렇고 고쳐썽요 ㅋㅋ
-
제오구팬인데 양팀에 한명씩밖에 없는 슬픈 상황
-
과탐 1등급이 아니라면 걍 사탐런이 맞음?
-
작년에 이거 비슷한거만 10개는 본듯
-
이거 어케 끄는 지 몰라서 걍 오르비 알림자체를 껐음 날 바보만들지 마셈
-
전국 최초 의치한약수 보유대학이다 현재 국립대 유일 수의대 미보유라네요
-
지금 머할까 7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양의 정수해를 찾아라 (2000덕)3^x+4^y=5^z.푸리 필요
-
휴학하고싶다 3
내 삶의 의미를 찾고 싶다던가
-
얘네 셋이 좀 결이 비슷한거같음
-
왜지? 날 잘숨겼는데
-
소동물만 다 할려하고 대동물은 다 기피하는 현실인데 대동물 수의사 억대 연봉이라는데...
-
13일 남았는데 4
공부가 손에 안잡힌다 큰일났네
-
존나 고마워 s탭아
-
"수의사 도전해볼까"…36년째 묶인 수의대 증원 검토 [김익환의 부처 핸즈업] 31
1989년 충북대에 수의대가 개설됐다. 이후 36년 동안 수의대는 등장하지 않았다....
-
재수하면서 못 풀면 세상이 무너짐
-
4덮이 있음? 1
나도 볼래
-
무휴반이 더 잘나온다... 성적은 공부량에 비례하지 않는 듯 물론 많이 풀었다고 다...
-
수의대 증원? 14
ㅋㅋㅋ 정말 이왜진
-
그래도 아픔
-
아주 특정 사람들은 날 차단해줫음 좋겟음 머라 말해야하지
-
실전개념? 그딴 거 없음 ㄷㄷㄷㄷ
-
점점 풀어지고 집중안됨 외출시간에도 의미없이 빨터만 감
-
라라라라라 0
사랑은 파도처럼 라라라라라 밀려와
-
싫어 문명의이기에서 멀어지고싶지않아아아아악
-
화작 확통 영어 정법 사문 89 96 2 100 96
-
놀라운 사실 5
오른쪽 팔이 안올라감 살려줌메
-
기겁하며 도망가겟지 잘 숨어잇어야지
-
에이징커브온 비현역 틀의 비애
-
천 덕
-
수능날 과탐은 1
한국사 때 20분 풀수면을 하니 풀컨디션이여서 변명 없이 본 실력이긴해 근데 화학 너란 놈은 대체
-
비타민 같이 생겻음
-
X 4
-
씨발 개좆같다
-
난 누구에게나 비호감이 되버리잖아
-
자 뭘 공부해야 하지?
-
슬슬 하나 장전해야겟음
-
비호감 행동만 안하고 잇으면 호감을 살 수밖에 없음, 다 사람이니까 사실 저게 어려움
-
과외 끝 13
밥먹고 5시 과외하러 또 가보자고
-
재미에 비례해서 시간을 ㅈㄴ 잡아먹음
-
ㄹㅇ
-
제목에 재밌는데가 왤케 많아;
-
사실 안해봄
저번에 간단하게 쓴 답변에 살을 붙여서 썼음
그리고 짧게...
보기를 참고해서 지문으로 그어요~
정답~
허얼 1번 방식 너무 어렵네ㅇ ㅛ ㄷㄷ
1번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보기>를 통해 우리는 두 가지 상태를 명확하게 구분했습니다.
A는 노동에 대한 지겨움과 무의미성에 대한 저항을 표출하는 상태이고, B는 저항하지 않고 노동의 수단으로 전락하여 순응하는 상태입니다. 이 두 상태는 서로 양립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개념적 모순'입니다.
이제 ①번 선지를 살펴보면, 이 선지는 '그'가 '발작적인 충동'을 보였다고 하면서 동시에 이것이 '폐쇄적 굴레에 순응'하려는 정체성의 표출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보기>에 따르면 '발작적인 충동'은 저항(A)에 해당하는데, 선지는 이 충동이 순응(B)의 표출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나는 이 노동에 반발하고 싶다."라는 감정이 "나는 이 노동을 받아들이겠다"라는 태도의 표현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서로 상반되는 개념을 동일시하는 논리적 모순이 선지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지문과 비교를 하는 시간을 줄여내어, <보기>의 개념 틀 내에서 ①번 선지가 틀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범주화의 장점입니다.
<보기>에서 제시된 프레임을 정확히 파악하면, 선지의 논리적 모순을 발견하여 빠르게 정답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충분한 연습이 선행되어야 오류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보기>를 치밀하게 분석하는 연습을 하시고 나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잘 안되신다면 사용가능한 간단한 풀이(내용일치)로 밀고 나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