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리 [1310649] · MS 2024 · 쪽지

2025-04-09 07:46:00
조회수 76

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70940

https://orbi.kr/00072658997


위 링크에서


(A가 증명없음)->(A가 거짓) 


을 증명했고


(A가 거짓이면)->(A가 증명없음)은 원래 참임


따라서


(A가 증명없음)<->(A가 거짓)


즉,


증명없으면 거짓이고, 거짓이면 증명없다


괴델의 문장인


G : "G는 증명없음"


이 문장은 다시


G : "G는 거짓"


이문장은 거짓말쟁이의 역설과 동일함


G가 거짓이면 G는 참


G가 참이면 G는 거짓


따라서 G는 모순을 낳음


결론이 모순이면 전제가 거짓


따라서


"G : G는 거짓"


또는


"나는 지금 거짓말을 하고있다"


가 거짓이라는말인데


앞에서 G가 거짓이면 참, 참이면 거짓


이라고 했으므로


진짜로 지적해야할 원인은


"자기자신을 거짓이라고 하는 자기참조적 구조" 자체가 문제라는거임


즉,


"G : G는 거짓" 이라는 말의 구조자체가 성립할수 없다는 말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