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수 [1381183] · MS 2025 · 쪽지

2025-04-07 18:50:53
조회수 200

[칼럼] 생1 231109 야무지게 푸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51289

생명수 모의고사가 곧 출판돼요!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오늘 풀어 볼 기출은 23학년도 수능 9번이에요.

연관이 존재하는 경우 사람들은 같은 염색체에 있는 모든 형질에 대해 한꺼번에 생각하려고 해요.

하지만 연관된 형질이라고 하더라도 형질별로 따로 사고하는 게 가능하고,

실제로 이렇게 사고하는 게 더 효율적일 수 있어요.


퍼넷을 그려서 문제를 푸는 경우 하나의 퍼넷에 모든 유전자를 동시에 표시해도 되지만

그림과 같이 각 형질별로 퍼넷을 그린 다음 퍼넷을 머릿속으로 겹쳐도 돼요.

이제 문제를 풀어볼게요.


부모의 표현형이 모두 우성이므로 그림과 같이 LL&L_와 Ls&Ls 두 종류의 퍼넷이 나올 수 있습니다.

○는 부모와 표현형이 같은 칸, ×는 부모와 표현형이 다른 칸을 나타낸 것입니다.

3/16=1/4×3/4이므로 (라)의 표현형이 부모와 같을 확률은 3/4이고 부모는 모두 Ee입니다.


(가)~(다)의 표현형이 모두 부모와 같을 확률은 1/4입니다.

이는 (가)~(다) 퍼넷의 네 칸 중 한 칸에는 ○만 존재하고,

나머지 세 칸에는 각각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다) 퍼넷은 LL&L_ 아니면 Ls&Ls 이므로

퍼넷 하나당 ×는 최대 1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가 총 세 개 이상 존재해야 하므로 (가)~(다) 퍼넷 모두 Ls&Ls 형태여야 하며

그림과 같이 ×가 서로 다른 칸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정답을 구할 때도 모든 형질에 대해 동시에 생각하지 말고 형질별로 따로 생각하는 게 더 편해요.


각 퍼넷에서 ○와 ×를 지우고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칸에는 1, 동형 접합성인 칸에는 0이라고 표시해 보겠습니다.

(가)~(다) 퍼넷을 겹치면서 각 칸에 있는 숫자를 더하면 유전자형이 이형 접합성인 형질의 개수가 나옵니다.

(가)~(다) 중 2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1/2이고 1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1/2입니다.

(라)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1/2, 동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1/2입니다.

그림과 같이 (가)~(라) 중 적어도 2가지 형질의 유전자형을 이형 접합성으로 가질 확률은 3/4입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연관이 존재하는 경우 퍼넷을 자유자재로 겹치고 분리할 줄 알면

문제를 깔끔하고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