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극탁 [1322566]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4-02 01:47:08
조회수 323

충분히 어이없다 말할 수 있다 생각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81749

<2008년 7월 물리1 1번>


좌측 대각선과 우측 원호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동거리와 평균속력이 모두 같다는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입니다.


대충 봐도 물구나무서서 봐도 길이가 같아보이지 않고, 실제로도 길이가 다른데 굳이 파이=루트10이라는 조건을 줘서 억지로 길이가 같다고 전제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입니다.


어떠한 물리적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근사는 어림값이 필요할 때 쓰는 계산적 기법인데 어림값이 필요한 상황도 아닙니다.



과거 지2 기출에서 중력가속도 크기 = 파이제곱 관련 내용이 나온 것은, 그냥 단순히 근사나 값의 유사성 때문이 아니고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문제에서도 직접 나왔듯이) 작은 각도로 움직여 단진동으로 근사 가능한 단진자를 사용하고,

이 단진자의 진동 주기는 물2에서도 나오듯이 T = 2pi * sqrt(l/g)로 진자의 실 길이에만 영향을 받으며,

l=1로 고정했을 때 측정 결과로부터 T가 2에 근사하므로 pi^2가 중력가속도의 크기에 근사한다는 결론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과정상의 의미가 명확합니다.



하지만 저 문제가 그런가요? 저 문제는 중력가속도와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그냥 좌측 그림의 직선이 우측 원호와 길이가 같다고 두고 싶어서 준 조건일 뿐입니다.


이 문제 풀고 어이없었다고 말했다고 네가 과학을 몰라서 그렇다는 소리를 들어야 하나 싶네요

rare-수레기 rare-seaborn rare-대성마이맥

0 XDK (+1,000)

  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