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에는 목적격조사로 肹도 쓰였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42839
乙[을]이 흔히 거론되긴 하지만 肹도 쓰였으며, '을'로 보는 학자도 있고 '흘'로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참고로 주격으로 只(익?)이라는 조사도 쓰였다고 추정되기도 합니다. 물론 '이'는 존재했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도 하고 밈도 잘알면서 어떻게 공부를 잘하는거지!? 이 괴물들
-
ㅁㅌㅊ
-
방금 미적 풀다가 개념 애매하게 알고 있는거 같은 부분 시발점 강의로만 한번...
-
오버워치 잔뜩하기
-
5등급정도 노베라고 했을때요
-
한 새끼는 왜 탄핵 안당했지
-
빨리 팔아야되는데 쪽팔려서 과외 어떡하냐
-
쌤이 나 좋아하나ㅎ
-
다음 대통령 취임하면 킬러문제 다시 부활할까요..? 갠적으로 그냥 이정도의...
-
나처럼 주어좀 넣어서 얘기해라 ㅇㅇ 게시글 캡처해서 반박하던가 ㅋㅋㅋㅋㅋㅋ
-
210930 22예비30 180630 풀이 다 이상해 ㅠㅠㅠ 이래서 듣는거긴...
-
작년 평가원 수학점수 14
2506 81점(20 22 27 29 30) 2509 88점(20 28 30)...
-
이럴 때 어떤 생각 하시나요
-
ㄹㅇ 생윤 진짜 어려운거 같은데 남들은 왜 이게 쉽다그러냐... 토마스...
-
형은 한번만 말한다
-
현재 군수 중입니다. 군대에서 26 수능 응시하고 사회에 나와서 27 수능...
-
나는 생1 고인물인데 고정1은 거의 맞긴한데 내가 50을 못맞거나 백분위...
저거 어떻게 읽우요??
을 또는 흘입니다. 고대국어에서 목적격조사는 현대, 중세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