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 기출부터 문제 모아놓은 문제집 있을까요 해설지는 별로여도 괜찮은데... 양 많았으면 좋겟음
-
새벽에 공원에서 2
오랜만에 딸기우유 마시니까 좋네요,,
-
반지름이 4인 원 O와 원 위에 한 점 A가 있다.OA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을...
-
공부미루기… 0
공부해야되는데해야되는데해여되는데 ㅇㅈㄹ로 계속 미루다가 지금 시간됨 하…...
-
여대에 대한 오해 15
나도 이대 오기 전까진 투블럭한 무서운 언니들만 있고 화장하고 학교 가면 흉자련아...
-
작년이나 올해나 내 상황 이해해주면서도 날 아껴주는 사람이 있길 바라고 있음 정신병자인가;
-
대학와서느낀거 1
나는 생각보다 멍청함 응애 뜌땨이 뜌땨?
-
잠이 안와요 0
재워주세요
-
재수하는데 저희 지역에 재수학원이 없어서 ㅠㅠ 근처 재수학원 왕복 3시간이라 통학도...
-
돈까스 싫어하는 여자는 없음
-
아씨잘학습지채워야하는데
-
날 아껴주는 사람이 옆에 있다는 게 엄청 감사한 일이었구나 가족 친구 죄다 고향...
-
강민철 듣다가 드랍하고 일클부터 들으려는데 인강민철을 사버려서 연필통대신 그냥...
-
1. 원솔멀텍에서도 실전개념 설명해줌? 2. 만약 그렇다면 프메 건너뛰고 원솔멀텍만 들어도 됨?
-
서울대 남자 연고대 여자 같은과 같은 시급이면 누가 더 구하기 쉬움?
-
[자작문제] 생각나는 기출이 있는 수2문제 (1000덕) 9
하나만 더 던지고 자러감 팔로우해주시면 뻘글없이 맛있는 자작문제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orbi.kr/00072657765/%5B%EC%B9%BC%EB%9F%...
-
집나간사회성어케되찾지 16
수능보다대학생활이더걱정되노
-
인생망함 8
ㅠㅠ
-
내신 1.5면 어디가 좋을까요??
-
서연고 재학생분들중 과외알바로 돈버는 분들도 있나요? 남자분들 기준으로요
-
여캐일러 투척 22
음 역시 귀엽군요
-
공대 학과 티어 5
공대학과 티어 좀 간략히 알려주세요ㅜㅜ
-
지역쿼터제는 하면서 지능쿼터제는 왜 안하냐 저능이들도 대학 좀 가자
-
전전vs컴공vs신소재
-
구파발에서 야간버스 타려는데 지디콘 끝난 외국인들로 가득차가지고 문 5분동안...
-
나 왜 여태 몰랐지 갑자기 누워있다 떠오름 근데 인강교재 이런곳에 하나도 없네 뭐지...
-
수능 공부가 ㅈㄴ 재밌어졌다
-
가격 면에서 이득인 거 같은데
-
희망스펙은 아래랑 같은데 (3-1)컴활 2급1종 보통면허한능검 심화...
-
수용인원 300명이던데 안 빡세겠죠?
-
원곡이 이 노래였구만
-
안녕하세요,이번은 고3 시절에 만든 어둠의 적분법을 공유하겠습니다 이정도는...
-
본고사 도입이 옳다
-
수능 폐지하고 3
IQ로 대학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
난이도: 6.5/10 f(x)를 f'(x)만으로 구할 수 없음 1. 이계도함수...
-
안녕히 주무세요 2
국어, 영어 수행 준비 드디어 끝났네용 우우 뜌따이 코코해야지
-
ㄹㅇ..
-
가끔씩 반에 형편 좀 안좋아서 인강도 못듣는 친구들이 있음 물론 공부환경만으로...
-
임정환 들으시는분들 사문 열정노트에 뭘 적어야하나요? 첫날수업에 뭐뭐적어야한다고 말을 안해주는데요? 0
걍 열정노트잇다고만 말쓴하시는데 칠판피리적는거애요?
-
나도 무리 없는데 12
그냥 이곳저곳 기웃거리면서 걍 낌… 약간 덤 같은 느낌
-
부러워서그러는거맞음
-
정신나감 7
컨텐츠 쌓아놓고 쳐내질 못하는중 미쳤구만
-
핫도그 사줄게요
-
취침
-
노잼인 질문말고 좀 재밌는걸로
-
(수능포함) 왤케 성적 안오르지 싶었는데 오르는거였음 교욱청 컷이 워낙 낮다보니..
-
덧셈은 마이너스×역수 뺄셈은 플러스×역수 이거 맞나요 뭔가 기본적인 건데 평가원에서 못 본 느낌임
-
새 삶 살아야제..
닥 한지
작수 때 풀면서 ㅅㅂ이거1컷44점이겠다 하면서 풀었는데 47점이었음
다들왤케잘하는지
한지는 어떤 느낌으로 어려워요?
http://www.megastudy.net/campaign/study/qcc_view.asp?idx=17147
한 번 읽어보세요 작수 13번 문제를 다룬 글인데 읽어보시면 어떤 느낌인지 알 수 있어요.
진짜 공포는 저 13번 하나만 틀려야 1등급이었다는거임 정답률 50% 미만의 문항 수가 6개나 되는데..
세지 국경선 문제는 어떤가요?
국경선 문제 자체가 킬러는 아닌 것 같습니다
물론 공부하다보면 어느정도 외워지는데 이건 제가 지리덕후라 평소 세계지도를 많이 봐서..
지금 덕후아니고 노베라도 열심히 하면 고일 수 있겠죠?
갠적으론 세지가 더 고였다고 느꼈음
한지는 지엽이랄게 없어서 체감컷이 더 높았던 듯
답변 여기에 마저 남길게요
세상 돌아가는거에 관심만 있어도 지리 쉬워요
걱정마십쇼
마지막으로 저 13번이 이기상 쌈 커리 제대로 했어도 힘든 이유가 과도하게 퍼즐적이어서 그런건가여?
1년 내내 공부하면서 기후 추론문제를 풀 때 기온과 강수량으로 ABC가 각각 어느 지역인지 판단하고 선지를 보는데, 13번 문제의 경우에는 주어진 자료만으로 해석하기 굉장히 까다롭게 출제되었어요. 배운 내용으로 이리저리 조립해서 푸는 퍼즐이라기 보다는 배운 내용만으로는 풀 수 없는, 기후 문제를 풀 때 적용되는 원리가 적용이 되지 않는 부분에서 풀기 힘들었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이마다에 얼추 나오지 않앗음?
물론 씹칼러는 맞음
그럼 어떤 내용을 추가적으로 알았어야 했나요?
그냥 미지수로 두고 경우의 수 생각해서 풀어야하는 문제이긴 한데 산청의 8월 강수량이 서울보다 많다는 걸 알면 쉽게 풀리긴 했겠죠
이마다 보고 수능장 들어갔는데 워낙 지엽적인 내용이라 있었는지 기억도 잘 안 나요ㅋㅋㅜ
기상쌤도 이 문제는 교과내용만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라고 하시기도 했고요
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