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놀음 [1283027] · MS 2023 · 쪽지

2025-03-27 11:37:54
조회수 299

■수놀음 수능 수학 평가원 기출 문제집 배포 및 학습방법안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05995

(6.9M) [69]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1 [1단원] (배포용).pdf

(3.4M) [36]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1 [2단원] (배포용).pdf

(8.0M) [36]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1 [3단원] (배포용).pdf

(4.9M) [35]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2 [1단원] (배포용).pdf

(5.8M) [33]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2 [2단원] (배포용).pdf

(4.6M) [35]

수놀음 2026학년도 기출문제집 - 수학2 [3단원] (배포용).pdf

안녕하세요. 한태희 선생입니다.


금년에는 2026학년도 수능 대비를 하는 수험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자료, 컨텐츠들을 최대한 제공하려고 합니다.



<배포 안내글>


(1) PDF로 기출문제집을 배포합니다.


(2) 기출문제집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평가원 문제'만' 있습니다.

- 평가원이 출제한 시험 (6월 모의고사, 9월 모의고사, 수능)에 출제된 문제 중, 2026학년도 시험 대비를 위해 알맞은 문항들을 적절히 선별하였습니다.


◆ 평가원 문제'만' [대단원별 + 출제순서]에 따라 배열하였습니다.

- 각 과목 (공통+선택) 의 대단원을 기준으로, 각 대단원마다 1994학년도 시험부터 2025학년도 시험까지 출제된 '순서'에 맞추어 문제들을 배열하였습니다. 이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기출문제 학습 '순서'입니다.


◆ 해설지는 없습니다.

- 한 문제에 관한 질문을 받다보면, 사실상 해설지에 그러한 풀이가 나오게 되는 '과정', '사고'들을 생략하고 축약적으로 적어놓은 것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설지를 마냥 길게 쓰는 것도 능사는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 카페에서 <해설 아카이브>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 제가 생각하는 해설 아카이브에 관해 아래 정리해 두었습니다.








< 수놀음 기출문제를 활용한 학습방법 안내 >

(1) 수학1, 수학2 개념을 공부한 적이 있는 어떤 학생이라도, 이 기출문제집을 풀면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쉬운 문제도 모두 포함되어 있어, 각자의 실력에 따라 풀 수 있는 것은 풀고, 풀기 어려운 문제는 유보해두면 됩니다.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필 선생님이 쓰신 몇 가지 글들의 링크를 인용하겠습니다. 다음 링크의 글을 참조해보세요. (https://cafe.naver.com/sunoleumkice/42)



(2) 다음 링크에 나와 있는 <XO 학습법>에 따라 이 기출문제집을 공부하길 권합니다. (https://cafe.naver.com/sunoleumkice/6)


XO 학습법으로 공부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험장이 아닌 곳에서도, 문제해결의 첫 시도가 실패했을 때, 그 문제를 끝끝내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해내지 못한다면,시험장에서 몇 분내로 X를 O로 바꿀 수 없기 때문" 
입니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링크의 글을 참조해보세요.

(https://cafe.naver.com/sunoleumkice/32 )



(3) <안내글>에서 말씀드린 <기출 아카이브>란 간단히 말해서 


"오늘 내가 배가 아픈데, 인터넷에 배가 아플 때 응급처치방법을 검색하면 높은 확률로 자신에게 잘 들어맞는 응급처치방법을 찾을 수 있듯이,


오늘 내가 A문제에 대해서 어떤 부분이 궁금한데, (만들어져갈) <기출 아카이브>에 그 문제를 검색하면 그 문제에 관해서 '어떤 선생과 어떤 학생의 대화'가 남아 있어서 그것을 쭉 읽어가다보면 자신의 궁금증이 해소되는 것' 을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 선생(가르치는 사람, 질문 받는 사람)은 학생이 스스로 알아갈 수 있도록 '적당한 수준'으로 도와주어야 합니다. 즉, 그 학생의 질문에 곧바로 모든 내용을 대답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학생이 스스로 할 몫이 남아있지 않게 되고, 그렇게 되면 해설지를 보거나 동영상 풀이를 본 것과 큰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낳는다고 생각합니다.


이 공간에서 자발적으로 여러 학생의 질문을 받아주시는, 선생의 역할을 하고 계신 분들이 여럿 계신데, 그것 자체만으로도 감사하고 이미 이런 식으로 잘 해주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 학생(배우는 사람, 질문 하는 사람)은 스스로 질문하여 대화하는 것 자체가 큰 공부라는 인식을 가지고, 좋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길 바랍니다. 또한, 무엇이든 질문해도 되지만, 질문하고 싶은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그 질문과 같은 질문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질문해주길 바랍니다.


이것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 카페 메뉴 개편 등 해야 할 것들이 좀 있는데, 일단 자유롭게 질문거리가 있으면 기존에 하던 것처럼 질문하고 대답하고 하면 됩니다.


날씨가 좋아진 것 같은데, 공부하다가 밖에 나가 잠깐 쉬면서 좋은 날씨를 만끽해보세요.


※ 오타 및 수정 사항 제보는 hanth2597@gmail.com으로 부탁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