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모 국어 7번 평균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04783
2번 선지를 정답으로 제시해놓았고 그 근거가 (나) 3문단의 마지막 부분인 “조성의 기반인 평균율의 12음을 그대로 수용한 것은~”이라 쓰여 있음.
아마 이걸로부터 [조성 음악의 “음계”에 따른 배열]과 [평균율]을 같은 범주로 묶어, [12음 기법의 “음렬”에 따른 12음 배열]은 위 범주와 같은 재료로 볼 수 없다, 따라서 내용상 두 재료(물감)가 다르다고 설명하는 2번이 답이다.. 이런 식으로 논리를 만든 것 같음.
근데 평균율이라는 건 개념상 ’음의 배열‘을 논하고자 하는 게 아니고, 그냥 옥타브를 ‘일정한 공비의 진동수(2^1/12)‘를 가진 열두 개 음으로 나눈다는 의미밖에 없지 않음?
이렇게 생각하면 [조성 음악에서의 음계]나, [12음 기법에서의 음렬]이나 결국 옥타브를 12등분하는 평균율의 규칙을 따라서 만들어지는 건 맞다고 볼 수 있음. 그러면 12음 기법도 결국 평균율에 속하기 때문에 두 개가 ‘서로 다른 재료’를 쓴 거라고 볼 수 있나?
이걸 뒤집고 2번을 답이라 확실히 말하려면
1. (가) 지문에서 12음 기법은 기존의 평균율과 다른 방식이라는 근거를 명시해주거나
2. 2번 선지의 “평균율의 12음” 부분을 “조성 음악의 12음”으로 바꿔 말해야 적절한 거 같은데…
풀어보신 다른 분들 생각은 어떠신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기전에 낼할꺼 적어두면 되나요?
-
머리숱많음 엌ㅋㅋㅋㅋㅋㅋㅋ 예상댓) ㄹㅈㄷㄱㅁ
-
현실적으로 국어 성적 올리려면 어케해야되나요.. 국어 <- 이새끼때문에 재수생활이 ㅈㄴ 우울함..
-
여르비가 싫다는데 계속 껄떡되서 신고당한거 아니냐
-
저도 동참
-
출처 qNv 이등변 삼각형에서 수선내려서 끼인각 코사인 구해서 한다거나 넓이 쓰거나...
-
빠삐에 친구들 0
-
이명학 신택스 듣고잇는대 이명학 연대분캠나왓다해서 듣기싫어지는데 저만 그러나요? ㅜㅜ 6
커뮤봣는데 심지어 본캠이라고 속인거라고 들켯다는데…분캠너왓는데 잘가르치나요..그리고...
-
전여친 -> 현아내입니다
-
잇올 홍보대사 11
-
1. 공익광고 무료 출현해보기 2. 내 이름으로 1000만원 기부하기 3. 숏폼...
-
푸리에 예제 푸리 12
---이전 만화 보러 가기--------------------- 화2 산 염기 평형...
-
급합니다 생존이 달린 문제입니다....
-
설대 학부대학 1
언미생1사문인데 백분위 어느정도 나와야 가능할까요? 작수는 89 95 3 98 71(지구) 엿슴니당
-
맞팔구 2
나도 금테 젭알
-
환상의 콤비
-
수면제는 이미먹엇는데
-
일단 두 달째임
-
3모 탐구 후기 6
한국사 45 (1번.15번) 물리 47 (전반사 문제) 생명 50 마킹 포함 각각...
-
기상이변이군 오늘 눈도내렸다는데 삼일 후면 4월인데 왜 이리 춥지..
-
그냥 순수하게 물어보는건데
-
수업들으시면서 공부 시간 확보되시나요
-
안 없어지면 컨관님이 터미널 추라고 하려했는데 ㄲㅂ
-
실화자 징역N년 +민사소송 배상금 몇억 인생 꼬여서 풀지도 못하겠네 업이로다 근데...
-
독학 90프로 10프로는 오르비언이 티칭해줌
-
영원히 어렸으면 좋겠어
-
오옹? 출처 qNv (xyo님 자작 문제집)
-
한시간을 얼마에 살거임? 만약 한시간 사면 다른 사람들의 시간은 똑같이 가고 님만...
-
고1 3월 시험지 21 27 30 못품 3점 계산 / 85점 고3 3월 시험지 30...
-
뭐지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흠
-
손창빈 심찬우 1
지금 심찬우 선생님 인강으로 듣고 있는데 문제수가 적어서 손창빈 선생님 라이브로...
-
저 시험지가 수능이엇으면 예상컷이 미적78이란 소린데 그정도로 어려웟나요 ?...
-
아니 이거 너무 추운데
-
손아프네
-
오랫동안 안 되면 불안해짐....내가 뭐 잘못했나 수백번도 더 생각함
-
좀 친일이었을 가능성이 있나..? 외증조할아버지가 교토대인지 도쿄대인지 나오셨다는데...
-
(가) 인강 촬영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스튜디오 촬영과 현강...
-
목 빠지겠다
-
나도 좀 지분잇다 ㅇㅈ?
-
기하 2
미적 이거 아닌 것 같아요. 내일부터 기하해야지
-
커리 메모 4
-
에휴이 걍 올라가야지
-
ㅋㅋㅋㅋㅋㅋ
-
나 예전에 오르비에 아재개그 글 한창 올린 적 있는데 2
그때 ㅈ도 재미없는 오뿌이들 배꼽 주의 이거 따라한다고 욕 먹음
걍 전체적으로 지문부터가 애매했음...
그런가요? 저는 지문은 괜찮은데 선지 몇 개가 좀 문제 있는 거 같아요 ㅋㅋㅋ 5번도 해설이 이게 맞나 싶고
선지에서 모호성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은 지문의 추상적 구조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큼큼
그렇기는 하죠.. 결국 지문에 제대로 명시 안 해놓은 내용을 선지로 내는 거니까
애초에 쉰베르크의 음악과 이전 음악의 다르다!(구성부터 화음의 중요도 등등등등) 그러므로 물감부터 다르다
이 논리라고 생각하기는 했으요
아마 출제자도 그렇게 의도하고 2번으로 설정했을 거 같긴 해요. 근데 실제로 평균율은 그냥 옥타브를 12등분한 방식으로 알고 있어서.. 실제 사실과 배치되는 게 아닌가 싶어서요 ㅋㅋㅋ
사실과 배치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죠
지문에 명시되었는지가 포인트니까
밑줄 친 부분에서 '물감은 동일하고 물감 사용법만 다르다'고 하였으니 이를 반박한다면 '동일한 물감이 아니다'라 말할 거라 생각하고 동일한 물감이 아니라고 말하는 선지 찾아 끝냈어요...평균율의 12음이 특정 조성을 중심으로 하는 정해진 선율의 흐름인데 12음 기법은 조성 간 경계가 모호하고 그 관계가 자유로우니 결국 배열이 다르기에 다른 물감이라 볼 수 있는 거죠...
네네 저도 2번을 답으로 설정한 근거는 그렇게 생각해요. 저는 지금 말씀하신 것 중에 “평균율의 12음”이 특정 조성을 중심으로 하는 정해진 선율의 흐름이라는 근거를 지문에서 찾을 수가 없다는 점을 말하고 싶었어요. 지문에 언급된 내용만 보면 평균율이 조성의 기반인거지, 조성에 따라 평균율이 만들어진 건 아니니까요. 그리고 평균율이 조성의 기반이라 해서 12음 기법의 기반 또한 동시에 되지 말란 법도 없고요.
지금 보니까 평균율의 12음을 (가)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다른 물감을 이루는 같은 원료라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두 형식 모두 평균율의 12음을 기반으로 하지만, 조성 음악은 특정 음을 중심으로 하는 정해져있고 외적인 관계이고 쉰베르크의 음악은 동등한 자격의 음들이 만들어내는 자유롭고 내적인 관계라 보이네요...따라서 지문에 그어져 있는 밑줄은 같은 원료를 썼으니 같은 물감이지 않냐는, 즉 평균율의 12음을 사용한 것 자체가 기존 규범을 수용했다는 것이고, 7번 문제는 같은 원료여도 가공 처리가 다르게 되었기에, 즉슨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냈기에 다른 물감이지 않냐라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원료라고 보게 되면 원료 < 물감 < 물감 사용법 이렇게 단계가 나뉜다는 건가요?
저는 문제 4번의 3번 선지만 봐도 이 선지랑 내용이 배치되는 거 같아서요. 3번 선지 틀린 근거가 음 사이의 관계가 ‘비규칙적인’ 이라서 틀린 건데, 그 ‘규칙적인 음 사이 관계’가 곧 평균율을 뜻하는 거니까요.
사상가에 감정이입하면서 풀면 무조건 물감얘기가 답임 공감국어가 이럴 땐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