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3월 학력평가 국어영역 총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99511
[총평]
출구인 줄 알았는데 다시 입구였다..어려운 구간이 안 끝나요..
독서, 문학, 선택, 모두 '상당히'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쉬어가는 구간이 거의 없었을 거고, 거의 모든 지문에 평가원이 변별력을 주는 포인트가 실려있습니다. (심지어 독서론 마저도요.) 메가에서 잡고있는 등급컷은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이런 어려운 시험은, 실전 관점에서도 다시 복기해보며 '어떤 지문/문제를 버렸어야 할까?' '충분히 맞힐 수 있었는데 틀린 문제가 뭘까?' '어떤 문제에서 시간 세이브를 했어야 할까?'를 피드백해보는 게 좋습니다.
[영역별 감상평]
독서론:
독서론에서는 개념 간의 포함 관계를 곧잘 묻는데, 그러한 출제 포인트를 여실히 보여줌. 2번 문항은 '내적으로 이루어진 조절 단계'와 '내재적 동기'의 대칭성을 묻는 문항.
예술:
(나) 지문 독해가 만만치 않음. '현상학적 태도'라는 개념이 상당히 추상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를 '나의 말'로 재구성을 얼마나 정성스레 했는가가 문제 풀이의 키였을 듯. 그런 측면에서 5, 6번 문항은 상당히 수준 높은 문제라 여겨짐. 이에 비해 7번 문항은 지문의 핵심 논리와 큰 상관없이 발문과 발췌된 부분만으로도 정답이 결정되는 측면에서 아쉬움. 8번은 선택지의 패러프레이징(선지 의미 파악)을 푸는 게 핵심
사회:
독서 지문 중 가장 할만했겠으나, 마지막 문단에서 급하게 날리지 않고 읽기 속도를 제어하는 것+ <보기> 문제에서 '중반에 삽입된 함정'에 유의해야 했을 것. 만약 <보기> 문제가 아닌 문항에서 오답이 발생했다면, 이건 어떤 독해력/논리력/방법의 문제가 아닐 가능성이 큼. 내가 너무 지문 독해를 '날림식'으로 하고 있는 게 아닌지 점검해보자.
과학:
세부적인 정보를 어떻게 요약해나가는가를 묻는 지문. 세부에 매몰되지 않고, 사구체 여과 / 재흡수 과정 / 신경 반사가 어떠한 기제로 혈압을 조절하는지 요약할 수 있어야 했을 것. 지문에 비해 선택지는 큰 변별력을 주고 있지 아니함. 중하위권 학생은 이런 지문이 너무너무 어렵다고 생각할 텐데(오히려 인문 지문보다), 요약한 내용에 기반하여 의심하고, 서치해서 확인하는 식으로 풀이하는 연습이 필요.
현대소설:
18번이 매우 주요한 문항. 초점화의 판단 기준은 [특정 인물의 내면 집중 서술 / 특정 인물의 추측 / 특정 인물의 말투]가 쓰일 때임. 이때 추측은 서술자가 담당하는 것이 아닌 인물이 담당하는 것. (전지적 서술자는 기본적으로 추측하지 아니함. 다 알고 있기 때문) 서술자는 그것을 서술하는 역할.
고전시가/수필:
25, 26번을 틀린 사람은 문학 지문 독해를 목적성(심리의 이해-요약) 환기할 것. 애초에 지문을 읽을 때, (가)의 화자는 자연 알고싶다~성인한테 물어보자~ 지난일 알고싶다~ 아이들에게 알아보자~ 라는 식으로, (나)의 화자는 모든 건 바람에 의함 - 무소유하면 기쁠 것도 두려울 것도 X(달관적 태도) 그대 말은 경계를 벗어나지 못함(=틀림)이라는 심리를 제시함. 이를 애초에 독해해놓지 않고, 서치로 모든 걸 해결하기는 까다로움.
고전소설:
길다. 지문이 왜 안 끝날까.. but 같은 인물 vs 다른 인물 짚어가며 읽으면 내용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채봉이의 심리선 따라가면서 '아 ㅅㅂ 아빠가 소생이랑 결혼시키려 하네 별론 것 같은데 - 존잘이네 사귀자 - 어머님 오라버니 전 절개를 지킬 겁니다!' 읽으며 흥미롭게 읽었을 수도. 27번은 상당히 디테일한 것을 묻는 것 같아도, 4번에서 답을 걸 수 있었어야 함. 채봉은 평소 행실에 문제 삼을 캐릭터가 애초에 아님. 소생을 좋아하는 게 문제시되고 있을 뿐.
현대시:
둘 모두 상당히 어려운 시. 평가원이었다면 <보기>로 조금 더 틀을 주지 않았을까 함. 다만 33번은 해석 문제가 아닌 팩트 체크 문제. 선택지에 대한 정밀한 독해/판단이 필요함. 34번은 '주제 무관'으로 정답을 찍을 수 있었으면 가장 나이스 했을 것.
---
수능은 결국 '경험치'의 싸움입니다.
특히 그간 열심히 공부했는데 성적이 발현되지 않아 상심하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
멘탈 다잡으시고, 스스로 이 시험에서 보완할 점을 분석해보고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불금보다 더 뜨거운... 이런건 치킨 뜯으면서 봐야되는데 ㅋㅋㅋㅋㅋ
-
진짜 모름 0
(진짜 모름)
-
자퇴를 작년 11월달에 해서.. 올해 8월에 보는 2차 검정고시 봅니다 아직...
-
생각의 발단 독서 했으면 생각의 전개 데이5부터 시작하면 되니요?
-
나만 댓글에 일일이 좋아요 박아주는 사람 호감임? 11
그러면 먼가 착해보이던데
-
ㅅㅂ 나랑 짝궁됐다고 “왜 쟤랑 되냐고 선생님 바꿔주세요” 이거 당해봄? 아니면 조용~
-
송장될때까지 젊은애들 쫙쫙 빨아먹어서 딱좋다 ㅋㅋㅋㅋ 성별이고 정치성향이고 역시...
-
29살 전과목 노베인데 미적 생지해서 10달만에 숭실대 자전 가셨네 ㄷㄷ 확통...
-
를 거꾸로 하면 으흐흐
-
구라 ㄴㄴ
-
요즘 군대가 그립네 50
사실 군대만이아니라 초중고 학창시절도 그리움.. 같이 있기만 해도 즐거웠엇지..
-
상처받을까봐 누군진 말 안 함
조예성 ㄱㅊ
아직도 강의하시는군요 ..
23수능때 옾챗으로 상담받았던 기억이 ..
23수능때는 과외돌이였던,, ㅎㅎ
33번을 저는 답이 없는 것 같았는데, 화자가 목적지를 끝내 닿을 수 없다고 한 것이 아니라고 인식하셨나요? 아니면 항구가 끝내 닿을 수 없는 곳이니까 틀렸다고 쳐내셨나요? 저는 33번은 답을 고르는 것이 평가원식 사고로는 불가능하다고 봐서요
'c에서'가 틀립니다. 화자는 c에 있지 않고, 오히려 닿을 수 없는 공간이라 인식하지요.
맞는거 같네요 이건 제가 부족했던거같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