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작년 3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97831
랑 비교하면 뭐가 더ㅠ어렵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범준 스블 1
교재에 실전개념 안적혀 있다던데 그럼 다들 필기하면서 듣는거져?
-
가 뭔가용?? 감사합니다 +) 그리고 혹시 다들 엑셀러레이터 어떻게 푸시나요? 매일매일?
-
에피따고 하니프사 달고 정시에벽으로 닉네임 바꾸기
-
뭐가 더 근본임
-
진짜 씨ㅣ발련 죽일가 11
개병신새끼가 ㅈㄹ이여 ㅅㅂ 대회준비하는데 뭐만하면 운지운지 ㅇㅈㄹ 노무현드립 치지...
-
어딜 에피도 없는것들이 사칭이여~!(본인도 마찬가지)
-
댄스 챌린지에서 잘자요 아가씨 새삥 다음으로 다음에 드는듯 순수한 아이돌 안무...
-
눈을 떠보니 한마리의 거대한 갑충으로 변해있었다.
-
정벽 1
정사의벽 정시의벽 정시에벽
-
3모 국어 92점 16
8,26,33 시간은 3덮보다 조금 더 남았든듯 여러모로 아쉽네요
-
E N F 쪽으로는 계속 더욱 더 성장하고 있음 계획은 짜면서 스트레스 받는...
-
남르비라고
-
뉴런이나 그런 수능 기출 느낌 풀다가 주변 학교 내신 풀어보면 ㅈㄴ 유형이 다른게...
-
공부 시작한지 얼마 안돼서 6모는 박을거같아서 학교에서 보기 좀 그럼 집 근처 학원에서 봐야지
-
드릴5는 작년인 2024년에 나온거고요 이게 맞는거죠???
-
주은아 돌아와줘 9
야구보러갈게..
-
점심 돈까스였는데 저녁은 깔끔한거 먹는게 좋지않나
-
모교에서 볼건데 신청 어케함뇨
-
저번에 수학 내신 대비 칼럼도 적어오겠다고 했는데 하.. 귀찮아서 미루게 된다.. 크윽
-
기하런 1
인강 시작하려하는데 추천좀요
-
제가 조정식쌤이랑 안맞는건지 아니면 제가 영어 인강 활용을 못하는건지 믿어봐 듣다가...
-
야구 보러 가기가 싫어짐
-
행복하세요 7
-
오늘 과외하다가 학생이 나한테 궁금한게 있다고 해서 들어봤더니 "한 대 맞은 이도현...
-
아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한우를 얻어먹읍니다
-
이거 모고에 ㅈㄴ 많이 나오는데 무슨 반응식인지 아시나요
-
요즘 느끼는것 2
-
으윽..... 역시 정시는 안될것같아... 닥치고 수시나 열심히 챙겨서 학종으로 가야지 으윽
-
의대논술용으로 만들었던건데 작수 미적 1컷인 재수생한테 던져줬더니 16문제 중...
-
[FIM] 28번 문풀(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f(x)에서 f(g(x))=x) 6
난이도: 6.5/10 앞페이지 문제난도는 다 그냥저냥한듯
-
김승리가 내 몸 안에 들어왔어.
-
월요일부터 4월 10일까지예요. 모교에서 볼 사람들 접수받습니다. 저희 학교는...
-
오늘 새로해봤는데 바꼈음.. .
-
제 일년간 ㅈㄴ 열심히 활동한 동아리 세특이 선생님 실수로 저장을 안누르셔서...
-
안녕하십니까 6
수2하다가 ㅈ같아서 왔습니다 수1 기하는 재밌는데 수2는 감이 안잡힘
-
군수생 질문좀… 0
노베이스 군수생 내년수능을 목표로 공부중입니다 전역은 이번년도 12월말이고...
-
윤□영 6
이거 이번 수능 연계로 나옴.
-
학원에서 푼 기출들 정리해보면서 다시 머리 속에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봐야겠어요...
-
느좋스 5
ㅈㄱㄴ
-
범준쌤 잘먹을게 11
사실 난 확통 사놓고 하나도 안들어서 이득봣서
-
1컷 표점이 137이면 15
개어려운거임? 고2 수학임
-
어른스러움을 동경하는듯 내가 애새끼라 그런가
-
느좋< 발음 너무 힘듦 13
혀가 자꾸 꼬여서 현생에서는 그냥 느좋 대신 느낌좋은? 으로 풀어말하기로 했음 ㅇㅇ
-
낼까지 양식 제출인데 본인 희망 전공 전자전기공학이구요,, 굳이 물2 아녀도...
-
넌 존나멋있는놈이야 넌 성공해라
-
지엽파는거 좋은것같음 걍 스튜디오버전으로 들을걸
-
하고있는데 아니기만 해봐
-
침대에서 책상피고 고고 전 일케 하니깐 잘됨
작년보단 올해가 어려운듯요 개인적ㅇ,로
작년 현장 92 올해 집모 100
올해가 훨씬 어려워요
수학 영역: 매우 심하게 어려웠던 2024년 5월, 7월 학평보다는 쉽지만 평이했던 2022~2024년 3월 학평보다는 더욱 어렵게 출제된 편에 속하며, 공통과목의 경우 2025 수능[4]보다 어려웠다. 특히 문제 자체는 14번을 제외하면 어렵지 않았지만 다른 문제들에서 풀었는데 틀렸다는 사례가 속출하였다. 또한, 계산이 복잡한 문제가 많아 모의고사 연습을 하고 가지 않았다면 시간이 매우 부족했을 것이다.
9번 문제는 자주 출제되던 속도, 이동 거리 문제였다.
10번 문제는 수열의 합 문제로 10 20 1 11 21 2 12 22 3... 규칙성을 알아내서 푸는 문제였다.
11번 문제는 극솟값 조건으로 a가 음수인 걸 알아내어 푸는 문제였다.
12번 문제는 A의 좌표가 (1, 6)인 것을 알아낸 다음 f(x)를 -2부터 1까지 정적분한 다음 직각삼각형의 넓이 3을 빼 주면 됐었다.
13번 문제는 구간별로 정의된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문제로 여기서 답이 갈린 경우가 많았다.
14번 문제는 정적분 부등식 문제. 조건이 살벌하지만 실제로 풀어보면 논리적으로 답이 나온다. 그래도 공통에서는 가장 어려웠다.
15번 문제는 지수/로그함수의 치역을 이용하여 f(x)를 일대일대응이 되게 하는 문제였다. 2025 수능 수학 20번과 유사하게 관계식이 이용되었다.
21번 문제는 수열 문제로 실수할 여지가 많았다. 2025 수능 22번이 수열로 출제된 것을 반영하여 주관식으로 출제되었다.
22번 문제는 미분가능성 문제로 22번치고는 까다롭지 않았다.
미적분 28번 문제는 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를 추론하는 문제로 미적분 8문항 중 가장 어려웠다.
미적분 29번 문제는 도형에서의 수열의 극한 문제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해야 할 것 같았으나, 사실 코사인법칙으로만 풀 수 있었다. 즉, 각의 이등분선은 덧셈정리 등으로 풀려 했던 학생들을 오히려 더 꼬이게 만들려 했던 과조건이었다.
미적분 30번 문제는 수열의 극한 문제로 30번치고는 까다롭지 않았으나 ak의 값을 9, 3, 1로 설정하여 47을 답으로 써서 틀린 학생이 매우 많았다.
기하 28번: 포물선 문제로 접근은 어렵지 않았으나 계산이 매우 복잡했다.
라고함
전 2023 3모가 훨 어렵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