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6408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살며시 마이크를 누른다.)
-
잇올 재원생 3
5월달 전에 나갈지도 모르는데 재원생으로 6평 신청해도 상관없을까요?
-
투필수 해제된 이후로 많이 쉬워진 느낌이네요 아니면 깨달은건가
-
피부 좋아지고 싶은데 10
피부과라고만 하지말고 일상 쪽에서 팁 좀 주세여ㅕ
-
다른 커피와 마찬가지로 이뇨 작용이 활발해짐...
-
수분감 스텝2 잇는 애들까지 열심히 햇으면 충분히 할만함 특히 수1은, 수분감...
-
가성비 떨어지는 큐브 하시지 마시고 저한테 오세요.. 최소 5000은 드리겠습니다....
-
ㅈㄱㄴ 그당시 되게 어려웠데서요.. 대부분 1컷47이하로 잡은 게 기억나네요....
-
세 과목이 묘하게 흐름이 비슷함 선택자 수 각각 영역에서 꼴찌 기출이 중요함(어차피...
-
이거 이제 그냥 쓰면 손 베일거같은데
-
개초딩잼민이새끼라서 음 맞는말이야
-
공부 ㅇㅈ 6
샤인미 46문제풀었다
-
하.. 1문단만 조금 겹치고 나머지는 딴판인 지문이 ebs연계 대표문항임
-
즉, 내가 싫어하는 오르비언은 오르비언이 아님
-
사탐런 하려는데요 생윤은 작년에 내신으로 해서 이번 3모 보니까 35점나왓어요...
-
요즘껀 어렵나 아직 18 19 20 기출임
-
일단 난 개념베스트 강좌는 발췌독으로 들음 그리고 CSAT 완강, DEEP 강의...
-
아예 전범위맞나요??
-
잇올은 무조건 올라인 신청만 되는거예요? 직접가서 신청 못함?
도식이고 뭐고 끌어올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 생각하면 "배가 고플때 식사하고자 하는 욕망을 느끼는데 이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위험하다" 이게 적혀있는 전부니까 당연히 밥을 먹어야 살 수 있겠죠
뭔가 명시적으로 사고가 넘어가는 과정을 보일 순 없을까요?ㅠㅠ 아니면 바로 이렇게 넘어가야 하는데 제가 넘어가지 못하는 걸까요?…
제가 한 말이 어렵나요? 아니면 하기 힘든 생각인가요? 전 그냥 쓰인 그대로 읽는 거에요
지금 괜히 어렵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억지로 도식화시키려는 느낌임
있는 그대로 읽어보세요
메로나 님의 말씀이 이해는 가는데,
상식으로 생각 할 수 있는 추론이기에 위 문장에선 특수하게 허용이 되는 것 아닌가요?
상식을 곁들일 수 없는 문장에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론을 하면 안될 것 같아서요..
그냥 배고프면 생기는 욕구, 욕구 안 채워지면 죽을 수도 있음! 이거니까 욕구 채우는건 밥먹기라 밥을 먹어야 사는구나 하고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거 아닌가요?
네. 상식적으로는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상식을 곁들일 수 없는 문장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추론하는 건 위험할 것 같아서요.. 추론하는 태도가 궁금해 질문 드린 거였어요
저는 딱히 추론을 안 하는 편이라... 그냥 머리에 통으로 요약해서 집어넣고 그거 바탕으로 뒤에서 꺼내쓰는 것 같아요.
질문에 대한 답은 저거지만 저라면 굳이 저렇게까지 생각은 안 할 것 같네요.
아..하긴 과한 추론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겠네요. 일단 제시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우선인 것 같네요.
넹 그리고 도식화는 아직 글 제대로 못 읽는 상태에선 진짜 굳이라... 일단 글 읽는 연습부터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도식화가 문장들을 명제처럼 다루고 집합적으로 해석하는 거죠?
그냥 읽는다는 건 추론은 지양하고, 정보의 처리에 집중하라는 말씀이신가요?
넹넹 저도 도식화 한번도 해본적 없어요!(답글 이슈로...)
보통 사람들은 배가 고플 때 식사를 하고자하는 욕망을 보인다
-> 배가 고플 땐 밥을 먹어야지!
이 욕구가 ~하고, 손실 된 에너지는 그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가기도 한다
-> "이 욕구"는 식사를 하고자 하는 욕구
-> 아 그러면 식사를 안하면 죽을 수도 있다고?
-> 그러면 밥을 먹어야 살 수 있겠네
당연한거 아닌가여 .. 굳이굳이 써봤는데 생각 흐름은 이럴거같네요
위 문장에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당연하긴 한데요, 상식으로 생각할 수 없는 문장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추론하는 건 위험할 것 같아서요. 추론하는 태도의 측면에서 의문이 생겨 질문한 거였어요.
글도 어차피 사람이 쓴거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추론하면 돼요. 만약에 그 추론이 틀리면 그때 가서라도 그 추론을 수정하면 그만이에요.
어차피 추론이라는 것도 문장을 더 자연스럽고 내 언어로 해석하려고 하는 작업이니깐, 필자가 하는 말과 내 추론이 다를 가능성은 무조건 있어요. 그러니깐 그냥 나중에라도 수정하면 되니깐, 그냥 과감하게 추론하고 넘기세요.
걍 주어진글 요약하면 밥안먹으면 죽을수 있기 때문에 밥을 먹고자하는 욕망을 보인다 잖슴
님 지금 너무 도식화 구조의 함정에 빠진거같은데
걍 순수하게 글을 읽어봐
어려운 글이어도 걍 순수하게 읽으면 뚫려요
ㅋㅋㅋㅋ ㅠㅠㅠ 수능 국어 공부 처음해보는데 갈팡질팡 하네요ㅠㅠㅠ
저런거 집착하면 국어 올리기 빡셈.
저런 케이스에서 뒤통수 치는 경우도 ㅈㄴ 많고
그냥 나와있는 정보 처리에 집중해야겠죠?ㅠㅠ
네 일단은!
“보통 사람들은 배가 고플 때 식사를 하고자 하는 욕망을 보인다.“
>> 당연하지..
”이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고“ >> 배고픈데 밥 안먹으면 당연히 힘이 안나겠지?
”손실된 에너지는 그 사람의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헉 배고프면 밥을 꼭 먹어야 겠구나..
밥을 안먹었을때의 에너지의 손실로 인해 죽을 수 있으니까, 밥을 먹어야 살 수 있다.
그냥 이렇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여담이지만.. 작성자님처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것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도 한동안 작성자님처럼 모든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려하고, 뭔가 찝찝하면 큰일 날 것 같고 그러더라고요.
그런데 독서에서 독해력이 가장 중요하긴 하지만 배경지식도 굉장히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
어떤 정보를 봤을때 ”당연하지“라고 생각될때랑 ”뭔 소리지..? 왜지..?“ 라고 생각들때 느끼는 심리적 압박감과 체감 난이도 차이가 크다고 생각해요
저는 특히 과학지문에서 이런 어려움을 겪었고,
최근 평가원 지문에서 ‘베카리아’ 라는 철학자에 대한 배경지식때문에 그냥 지문을 꽁으로 먹었던 기억도 있네요
그래서,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내가 모든것을 완벽하게 이해한다! 라고 생각하시기보다는 어떤 정보를 수용하고 그것을 새롭게 배경지식으로 그 지문에서 활용하는 감각도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올리신 글에 적합한 대답일지는 모르겠지만
저도 작성자님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던 경험이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에 남깁니다..

정성스런 조언 감사합니다.상식이나 배경지식, 지문에 근거해서 추론은 많이할수록 좋아요. 읽다가 틀린거같으면 수정하면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