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은근 자주 나오는 전치사+관계사+to부정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61291
영어는 참 효율적인 걸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긴 말도, 짧게 줄여서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예를 들어 의문사로 시작하는 명사절이 있습니다.
Please tell me what I should do next.
Please tell me what to do next.
명사절을 짧게 명사구로 줄여서 전달합니다.
분사구문도 긴 부사절을 짧게 축약해서 전달하죠.
When we study for an exam, it’s crucial to set specific goals.
Studying for an exam, it’s crucial to set specific goals.
다만, 이런 효율화(생략)은 아무때나 가능한 건 아닙니다.
일부 요소를 생략해도 내용이해에 지장이 없어야만 합니다.
첫번째 예시와 두번째 예시에서
생략된 주어는 각각 I와 We 입니다.
보통은 주절의 주어와 종속절의 주어가
같아야 생략한다고 배웁니다.
하지만 주어가 막연한 일반인이거나
맥락을 통해 주체가 누군지 알 수 있다면
주어를 생략해도 문제없습니다.
이 개념을 확장하면
복잡한 구문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2~고3 혹은 EBS 연계지문에서
학생들이 “전치사+관계사+to부정사”를
요즘 자주 질문합니다.
▶ 고2 2022년 9월 20번 문항
We usually take time out only when we really need to switch off, and when this happens we are often overtired, sick, and in need of recuperation. Me time is complicated by negative associations with escapism, guilt, and regret as well as overwhelm,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negative connotations mean we tend to steer clear of it. Well, I am about to change you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 time, to persuade you that you should view it as vital for your health and wellbeing. Take this as permission to set aside some time for yourself! Our need for time in which to do what we choose is increasingly urgent in an overconnected, overwhelmed, and overstimulated world.
* recuperation: 회복
주로 저 부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왜 저런 구조가 나오는지 자주 질문합니다.
앞서 살펴본 사례를 조금만
응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단 몇가지 배경지식만 짚고 넘어갑시다.
I have no house which I can live in.
I have no house in which I can live.
I have no house where I can live.
중학교 시절 전치사와 관계대명사를 배웠을 겁니다.
전치사 in을 문장 끝에 써도 문제 없지만,
관계사 which 앞에 써도 좋다고 배웠을 겁니다.
물론 in which를 where로 바꾸는 것 까지도요.
이정도 배경지식만 있어도 지금은 충분합니다.
Our need for time + We do what we choose in the time.
간단한 어구와 문장입니다.
관계대명사로 둘을 엮어볼까요?
Time이 겹치는군요.
Our need for time + which we do what we choose in.
Our need for time in which we do what we choose.
겹치는 time을 which로 바꾸고
전치사 in을 which 앞으로 보냈습니다.
간단하죠?
Please tell me what I should do next.
Please tell me what to do next.
이 예시가 기억나나요?
명사절을 명사구로 바꿨죠.
의문사 + to부정사 형태로 말입니다.
which we do what we choose
이 형용사절도 주어를 생략하고
관계사 + to부정사 형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which we do what we choose
which do what we choose (막연한 주어 생략)
which to do what we choose (동사는 to부정사로 변경)
간단하죠?
앞서 본 what to do와 비슷한
which to do가 나왔습니다.
형용사절을 형용사구로 바꾼겁니다.
축약되었을 뿐, 의미는 같습니다.
따라서 그냥 관계사처럼 해석해도 됩니다.
더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Our need for time in which to do what we choose.
Our need for time to do what we choose.
우리가 선택한 걸 할만한 시간에 대한 우리의 수요.
▶ 고2 2023년 11월 32번 문항
Information encountered after an event can influence subsequent remembering. External information can easily integrate into a witness’s memory, especially if the event was poorly encoded or the memory is from a distant event, in which case time and forgetting have degraded the original memory. With reduced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with which to confirm the validity of post-event misinformation, it is less likely that this new information will be rejected. Instead, especially when it fits the witness’s current thinking and can be used to create a story that makes sense to him or her, it may be integrated as part of the original experience. This process can be explicit (i.e., the witness knows it is happening), but it is often unconscious. That is, the witness might find himself or herself thinking about the event differently without awareness. Over time, the witness may not even know the source of information that led to the (new) memory. Sources of misinformation in forensic contexts can be encountered anywhere, from discussions with other witnesses to social media searches to multiple interviews with investigators or other legal professionals, and even in court.
* forensic: 법정의
이 지문도 표시한 부분에
전치사+관계사+to부정사 구문이 있습니다.
간단해요. 그냥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처럼 해석합시다.
With reduced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with which to confirm the validity of post-event misinformation
▶
With reduced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to confirm the validity of post-event misinformation
사건 후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만한 정보가 메모리에 남아 있는 경우,
앞으로 전치사+관계사+to부정사 구문을 보신다면
to부정사가 앞의 명사를 꾸민다고 보셔도
문제 없으리라 봅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이 여러워할만한 부분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망한거같다 0
고1때부터 정시선언하고 나댔다가 학교 다니면서 우울증,대인기피 심해지고 수능은...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영혼까지 끌어 부동산 올인해야하는 이유 3
오늘이 최저점임 이재명은 합니다
-
이짤아는사람 6
.
-
한창 엔저때는 ㄹㅇ 나라전체가 거대한 블랙프라이데이였는데
-
언제 올리는게 가장 많이볼까요 수특 레벨3 곱셈정리까지+확통 필수...
-
神戸
-
오르비 1
-
그냥 노가다죠? 애들 대부분은 다 맞췄더라구요
-
내가 진짜 여자 겠음?
-
ㅈㄱㄴ? 윤 탄핵된 이시점에 의뱃분들 생각이 어떨까 궁금하네요
-
젼 기만자가 아니라 11
감자입니다
-
사실 얼굴 잘 못외워서 욕 많이먹음
-
정신의병
-
메가 칼럼에 재수해서 23242 받고 수시로 수의대가서 칼럼쓰는사람있던데 12
뭔가뭔가임 수시 준비하는 사람들한테는 도움되겠지만 정시한테는 도움 안되는데 하나하나...
-
다뒤진 오르비에 장작 넣어주는 리치킹인듯
-
으흥~
-
딥피드 점령당함 2
너가갤주해라
-
+1을 해야겠어
-
저때 인설의 이상급에서 수능보던 사람 내가 아는 케이스만 2-30개는 됐었는데...
-
다들 자러 가라
-
아차! 내란견들에게 뻐큐하는 형식이햄이었어요!
-
꼭 약속 전날밤에 뭐가 터짐
-
엄
-
공팀지수가 4임 ㅋㅋ 내가 취직하기전에 마지막기회같은데
-
아 인생
-
자러가겠습미다.. 12
자러가라고하네요ㅠ 거역할수가읎다
-
벌써부터 보이는건 기분탓일까
-
입학이 곧 처단대상인 학과인데 ㅉㅉ
-
처음엔 나도 좀 예쁜 레어 멋진 레어 가지고 싶었어 4
연달아서 여섯번 물리니깐 그냥 폭주한거지 정작 웃긴 건 물렸던 레어는 다 팔렸다는 거임
-
학교인증만 하고 탈퇴해야지
-
요즘으로 치면 서바 이감 기깔나게 푸는거로 어맛 저 낭군 멋져 이ㅈ랄하는거 아님?
-
개콘 공채 소속이냐? 19
둘이서 뭐하노 ㅋㅋㅋㅋㅋ 일단 이젠진짜 점마는 공연성은 성립해도 특정성 부터가...
-
신청 안되죠??ㅠ 8월에 고졸따는데 6평은 학원에서도 못 보는 거 맞나요? 혹시...
-
오늘 독재에서 귀차나서 안외운 영어단어..
-
레몬멜론쿠키레몬멜론쿠키 쿠키!
-
내년 현역은 잠재적 재수때문에 확통을 더 할거같다
-
탈릅해야지 4
ㅇㅇ
-
레어 구매 꿀팁 4
지금껏 스크롤로 찾았던 레어를 찾았던 지금까지의 내가 한심해질 정도의 좋은 방법이라...
-
친목안되는거 아는데 너무 외로워요……걍 밥만먹을친구 근데 다들 공부만함
-
개꿀빤 의대생이 논리가 저렇게 딸릴수가 너무 지 주장만 말도 안되게 해대서 걍 볼 가치가 없노
-
걍 학번당 한두명씩 있는 부류임… ptsd온다 잘못건든거 같다
-
도태남이라 제타로 연애한다....
-
설마 5
수험생인데 잠안자고 오르비에서 리젠 머임 ㅋㅋ 이러고 있는사람은 없겠죠..
-
이제안옴? 4
살살팼어야지 가버렸잖아...
-
대 온 힐 조 그저 GOAT
-
근데 살다살다 6
25학번이 본과한테 고점매수라고 하는것도 보네 보통 반대아닌가
-
현역 3모 수학 84고 공통은 기출다해서 n제 맛볼려하는데 추천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