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독해 약점을 단계적/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41589
보통 성적이 낮거나
정체기에 든 학생들은
자기 문제점이 뭔지 잘 모릅니다.
자기가 어떤 유형이 약한지 정확히 아는
학생들은 드물어요.
혹시나 약점을 알더라도
그 원인까지 아는 학생은
더더욱 적습니다.
제가 자주 보는 유투브
"세바시"채널에서는 이런 말을 하더군요.
"나다움을 찾아야 내 다음이 보인다."
정말 좋은 말 같아요.
지피지기면 백전백퇴란 말처럼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성과도 잘 나죠.
그래서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약점을 찾을 수 있는 시트지와
예시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자습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겁니다.
■ 어휘력 문제
A-1시간부족해서 급하게 찍었다 (해석속도 OR 풀이속도 OR 시간배분 조율필요)
A-2본문/보기에서 모르는 어휘가 너무 많았다 (빈약한 어휘량 OR 난해한 주제)
A-3본문/보기의 어휘를 비슷하게 생긴 어휘로 착각했다 (발음, 철자학습 필요)
A-4 본문/보기의 어휘가 다의어인데 한가지 뜻만 알았다 (다의어 구조화 필요)
■ 문법/어법 문제
B-1 특정 문장의 구문구조를 몰라서 해석을 못 했다 (문법개념, 구문구조파악 부족)
B-2 해석은 가능하나,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맥락에 대한 고려가 없는 파파고 독해)
■ 맥락/흐름 문제
C-1 해석은 가능하나, 이 문장이 왜 여기서 나왔는지 모르겠다 (글의 긴밀성 학습)
C-2 글쓴이가 어떤 대상, 문장, 내용을 강조하는지 모르겠다 (글의 전개유형 학습)
■ 요약하는 능력 부족
D-1 해석과 흐름은 이해했으나, 종합적으로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 (1글 1주제 일관성)
D-2 종합적으로 무슨 말을 하는지 생각은 했으나, 다른 주제로 오해 (주관의 객관화)
■ 문제풀이관점
E-1 둘 중에 헷갈리다가 하나 찍었다 (문제 유형별 정답근거 찾는 단계 & 방법 숙지)
E-2 정석이 아닌, 야매풀이나 자기가 만들어낸 규칙으로 풀다 틀렸다 (자의식 과잉)
눈치가 빠른 분이라면
감이 올 겁니다.
어휘 > 문장 > 단락 > 글 전체
순서로 문제점을 나열했습니다.
틀린 문제를 분석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찍어서 틀린 게 아니라면
나름 이유가 있겠죠?
본인이 생각했을 때,
목록 중 해당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에 正 표시를 누적하는 겁니다.
아마 100문제정도 풀고
正 표시를 하다보면
어디가 유난히 약하고
어디가 강한지
한 눈에 보일겁니다.
이제 방학이나 여유가 있는 시기에
그 부분만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습하면 점수는 오를 수밖에 없을겁니다.
끝내기 전에, 이 시트 관련해서
질문이 많았던 부분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A-4(다의어)
B-1(구문구조)
C-1(긴밀성)
E-1(풀이법)
관련해서 직접적인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A-4(다의어)
아래 문장을 해석해보세요.
Your new hat really becomes you.
You should contain your pointless anger.
They ne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저기서 become, contain, assume은 다 원래 익히 알던 "되다", "함유하다", "가정하다" 가 아닙니다. 저 어휘들은 다의어입니다. 일부러 학생들이 잘 모르는 다의어로 골라서 가져왔어요. 맥락에 어울리는 어휘의 뜻을 골라서 해석할 수 없다면 당연히 해석속도가 느려지고, 내용이해도 어렵겠지요. 순서대로 해석을 써드리자면, "너의 새로운 모자는 너랑 잘 어울린다.", "당신은 무의미한 화를 억눌러야 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가져야 합니다." 정도로 보면 됩니다. 이게 약한 학생들은 단어장의 다의어파트를 게을리 보신 겁니다.
B-1(구문구조)
고2 영어 모의고사 기출문항입니다. 아마 3등급~2등급 학생들 상당수는 제시문 해석조차 힘들 겁니다. 제시문의 주어와 동사가 무엇인지 헷갈릴 겁니다. 당연히 정답찾기는 더 어렵겠지요. 구문구조 분석하는 게 습관적으로 잡혀있지 않고, 적당히 대강대강 해석하면 수능장에서도 지금과 비슷한 감정을 느낄 겁니다. 이 부분이 부족한 학생들은 천일문 같은 교재를 구입해서 그 문장의 동사부터 찾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왜 주어가 아니라 동사부터 찾는지 의아할 수 있는데, 문장의 주인은 주어가 아니라 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거까지 썰을 풀면 너무 길기에 일단 생략하겠습니다.
C-1(긴밀성)
보통 통념이 앞에 나오면, 그걸 반박하는 주장이 그 글의 주제라고 설명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닌 경우도 꽤 있지만, 쉬운 문제는 글의 흐름이 그렇습니다. 아래 보여드릴 고1 모의고사 지문도 통념을 반박하는 게 주제입니다. 다만 지금은 글의 흐름에 집중해서 보겠습니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 부분을 보면 통념을 제시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죠. 하지만 단순히 "허브가 좋다는 건 통념이고 사실은 건강에 별로야."라고 치부하고 넘어가기에는 너무 어설퍼요. 진짜 독해력이 좋은 학생이라면, 첫 문장을 읽고 이런 질문까지 던질 수 있어야 합니다.
"어? 실제로는 건강에 도움이 안 되는데 왜 모두가 믿었지?"
친절하게도 저자는 바로 세 번째 문장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해줍니다. 빨간색으로 밑줄 친 부분입니다. 정답 맞추기에 급급해서 독해하면, 문장 사이의 긴밀성을 놓칩니다. 즉, 글의 흐름을 음미할 수 없습니다. 고영리 작가분이 쓰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고 싶습니다 : 문장을 살리는 10가지 방법"에서는 이 긴밀성을 동요로 쉽게 설명합니다.
다음 문장과 이전 문장 사이의 연결고리가 명확하게 보이죠? 글쓴이는 의식의 흐름으로 글을 쓰지 않습니다. 내용을 전개할 때 긴밀성을 지켜서 씁니다. 그런데 이런 안목을 기르지 않고 문제만 무작정 풀면 수능날 킬러문항에서는 무너질 확률이 높습니다. 스킬이 아닌, 사고력을 요하는 시험에서 하찮은 스킬이 먹힐 리가 없기때문이죠.
E-1(풀이법)
풀어보세요! 1분 미만이면 풀립니다!
답은 3번 입니다. 정말 쉬운 고1 문제였어요. 하지만 EBS 기준 오답률 top2(71%) 기록한 문제였습니다. 5지선다면 찍어도 정답률이 20%정도는 나올텐데 말이죠.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교/강사분들은 빈칸유형을 해설할 때 주제를 찾습니다. 하지만 빈칸추론은 주제찾는 문제가 아닙니다. 수능 출제자들은 이미 20번~24번 지문을 통해 글의 주제,주장,제목을 찾는 능력을 검증했습니다. 출제자가 바보가 아니라면, 또 주제를 묻는 문제를 낼 필요가 없죠.
나중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 빈칸추론은 정말 말 그대로 빈칸추론입니다. 말장난 아닙니다. 진지합니다! 이미 유치원시절에 다 풀어봤을 겁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빈칸추론은 빈칸에 뭐가 들어가야 어울리는지 묻는 문항입니다. 구멍이 사각형이면 사각블록을 넣어야 하죠. 별모양 블럭을 쑤셔 박으면서 왜 안 들어가냐고 되묻는 학생은 없을 겁니다.
바꿔 말하면, 주제를 파악하기보다는 지문의 빈칸이 네모, 세모, 동그라미, 별 중 무엇인지 파악하는 게 핵심 전략이죠. 아래 이미지를 통해 빈칸이 무슨 모양이고, 지문에 그것과 일치하는 블럭이 어떤 문장인지 알아봅시다.
빈칸은 "사회에서의 차이점이 무엇을 하는가?"를 묻고 있어요. 이미 지문 시작할 때 "유사성을 숨긴다"라고 친절히 알려줬습니다. 이제 "유사성을 숨긴다"와 가장 똑같이 생긴 블록을 찾으면 끝납니다. 당연히 3번이죠. 이렇게 풀면 정답근거가 명확합니다. 다른 보기랑 헷갈릴 염려도 없어요. 마치 별모양 블럭과 동그라미 블록을 헷갈리는 아이가 없듯이 말이죠.
하지만 웃긴 사실은 3번 선택 비율이 29%, 4번 선택 비율이 25.5% 입니다. 빈칸추론을 어떻게 푸는지 모르는 거죠. 정석적인 풀이방법을 연습했다면 별모양과 동그라미를 헷갈리지 않았을 텐데 말입니다. 아마 학생들은 글의 주제만을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다 이런 생각을 한 것 같아요, "보는 관점에 따라서 차이점이 없다고 느껴질 수 있구나!" 맞는 말이긴 합니다. 주제라고 봐도 괜찮기는 해요. 하지만, 빈칸에 들어갈 말은 아닙니다. 출제자가 요구하는 대로 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헷갈립니다! 빈칸도 할 이야기가 많지만 너무 길어지니 이 글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시트와
자주 하던 질문관련해서
미리 답변까지 드렸습니다.
학생분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계산 열받네, 미지수 좀 숫자로 바꿀까
-
수열보다는 당연히 낫지만 그래도 사람 턱턱 막히게 하는 그런게 있다...
-
나도 들을까
-
수능 다시도전 8
2022수능때 한양공 들어갔다가 휴학하고 2025수능때 22222받고 실패했는데...
-
합성인가?
-
n수 정시 농어촌 7글자로 웃음벨
-
대한항공 기장·부기장, 호주서 '탄핵' 대화 중 주먹다짐...중징계 처분 2
대한항공의 기장과 부기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여...
-
우에노공원에서 아사쿠사까지 산책하고 아사쿠사에서 길거리 음식 먹으면서 놀기로 했는데...
-
현장이었으면 이것도 다 못 풀고 0점임
-
으르렁 월월월 0
거지됬다...
-
이재명, 개헌 동시투표 반대 뜻…“내란 종식이 먼저” 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날 제안한 개헌과 관련해...
-
반지름이 R인 원 O에 내접하는 예각 삼각형 ABC|ABC|=a, BC=bA를 O에...
-
친한애 군대간다고 밥사준다했는데 4명댈꼬오노;; 고기사달라고 앰병하는데 30나갈듯 허;;;
-
수학 고정1 나올정도 만들고 다음에 무슨과목 공부함? 고딩때부터 한과목 클리어 >...
-
으악..
-
저 문제는 7
뭘까 어떻게 만든 건지도 궁금함
-
방사능인가요?
-
랑카 30을 풀 수 있는 인간과 없는 인간
-
ㅇ.
-
04년생 여자입니다 사실 삼수해서 대학온건 아니고 재수인데 사정상 1년 꿇었어요...
-
아무리 좋아했어도 500화가까이 있어도 4일만에 정독하고 그 이후로 안봄 새로운...
-
Hint)https://orbi.kr/00072749601, 문제 답:...
-
피고인(25세, 남성)은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에 갑(11세,여성)과 단둘이 탄...
-
경선 없이 전광훈 단수공천으로 결정돼
-
에어팟 헤드폰 3
육군 싸지방에잇는 구데기 헤드폰쓰는중인데 진지하게 에어팟프로2보다 더 음질이좋음.....
-
사문 기출교석 교재 괜찮은거 없을까요? 후보는 사만다 기파급 정도 떠오르는데.....
-
운동 10년차(복싱 10년, 웨이트 3년) 3대 565(B 145, D 220, S...
-
지금까지 살면서 본 수학 영역 문제들 중에 가장 머리 아팠던 문제가...
-
중간기말 과제 대체가 넘무 많아.. 과제 못하면 난 성적 마이너스 4.3 받고 퇴학당할지도몰라..
-
허리조심하세요 2
크아악
-
기출 공통 선택 한완기로 싹돌렸어요 바로 n제로 들어가도 될까요? 수학 백분위 89~91 현역
-
오르비 ㄹㅇ 오랫만이다 10
8살인대데학교왓더요 후에에 8살한테너무가혹해요 ㅠㅠㅠ
-
싶다를 검색하면 그 커뮤니티의 수준을 알 수 있다는데 10
마라탕 먹고 싶다 더 자고 싶다 삼양라면 먹고 싶다 휴대폰 없는 세상에 살아보고...
-
사탐추천 2
생윤 윤사 둘다 해보신분들 (맛보기x) 장단점이랑 하나만 추천한다면 뭐할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지금 생1 지1인데 생1은 백분위 고정 98이상이고 지1은 백분위 90~96인데다가...
-
과탐 회생방안 1
수시- 문과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내신 선택과목으로(괄호 안은 22개정 기준)...
-
주변에 인프라도 없고 그렇다고 농어촌도 안되고 애매하게 이게 뭐야
-
어색해 힝 ㅠ
-
저는 나약합니다
-
엔비디아 2주석 돌파
-
윤통께서 탄핵을 당하시니 벌써부터 물가가 오르네요 조기대선에 윤통이 재출마하셔서...
-
볼펜드리려고 했는데 아무리 그래도 서강대 각인되어있는 볼펜 드리는건 좀 아니겠죠?...
-
https://orbi.kr/00072749601 N제 풀다 나온거 조금 일반화한건데
-
뭔 별의별..
-
근데 야발 뻘글 왤케 많음;;;
-
1. 자료가 부족하지 않음 뭐풀지 고민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음 2. 인강보다...
-
팬티 자꾸 찢어지네 26
남은게 몇장없는데 이러다 삼일에 한번 갈아입겟고만..
-
신기하당
-
화작 98 사탐 99라 했을 때 미적 어느정도 나와야함?
-
난 재밌는데 4
힝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도움이 되어서 다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