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연여신님 [344185] · 쪽지

2011-01-29 14:58:33
조회수 247

수능을 절대시하면 안되는거 레알인정하는데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347

일단 보통 대부분은 실력대로 대학가는거고
그실력이 보통 원래잘하던 집단이 평균적으로 더 잘하게 된다 이말이죠

저는 걍 보통의 예를 든거고요 절대시하지않습니다

오공가는사람이 다 연공가는 사람보다 실력나쁘다 그런생각 안하고
졸업할때도 얼마든지 뒤집힐수 있다 생각하지만 일단 그런케이스가
드물기 때문에 연공>오공 이런드립치는거죠

너무 극단적으로 생각하시네요 ㄷㄷ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콩다방 · 292363 · 11/01/29 15:00

    안녕하세요 수능만 죽쑨 이레귤럽니다

  • Monkey.D.Ruffy · 345969 · 11/01/29 15:01 · MS 2010

    수능도 죽쓴 루피찡 ㅇㅇ

  • 콩다방 · 292363 · 11/01/29 15:03

    ㅜ 이거 댓글땜시 새로 글 수정하다가 ㅂㅂ당함

    안녕하세요 수능만 죽쑨 이레귤럽니다 는 잡설이고

    분명 기존의 학습능력에 대한 경향성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연공>오공 이런식으로 학벌이 좋다=성공이라는 공식이

    생기는게 학벌이 좋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잘된 측면을 엄청 강조해요

    그리고 (성적분포상)중상위나 하위권 대학출신들은 상대적으로 못난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도 어느정도 일조한다고 봅니다

    흔히 서울대 출신 중 고시생들의 경우 20대에 합격을 못하게 되면

    30대가 된 이후에는 일반 기업입사가 거의 불투명하기에 고시 외엔 답이 없는

    이런 상황도 존재합니다 다만 이런 사람들은 겉으로 얘기가 돌지 않죠

    서울대 나와서 조기에 고시붙어서 승승장구 하는 사람들의 얘기는 유명해지지만요

    여튼 대학은 1차관문이고 실질적 관문은 졸업 이후죠

    다만 학벌이 좋으면 특정 직업의 경우 학연과 지연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기에 더 부각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 ThirdVersion · 283341 · 11/01/29 15:01

    그니깐 전체적인 수준이 연공이 지방5공보다 높을수도있는데요(높겠죠)

    그래봤자 회사에 취직하고 40대초반 혹은 30대 후반에 짤리는 비율이 비슷하다 이거라구요

    40대이후에도 남아계시는분은 많지않은 수이다....

  • 9본좌 · 348885 · 11/01/29 15:02 · MS 2010

    여기서 실력이라는것이 전공분야에서의 능력이 아니고

    성실함, 추진력, 업무효율 등을 말씀하시는거라면 확률상으로 봤을 때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게슈탈트 · 366949 · 11/01/29 15:04 · MS 2011

    1근데 연공이랑 오공이랑 성실함, 추진력, 업무효율 그렇게 차이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