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를 위한 중간고사 대비 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27932
고2 중간고사 공부법
고등학교 2학년을 맞이한 여러분, '내가 벌써 2학년이라니?'라는 생각과 '내년엔 고3이구나.'하는 복합적인 감정이 드실텐데요. 고등학교 2학년은 내신 반영 비율이 큰 만큼,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2학년 때 향상된 점수를 받으면 대입에 유리한 경우도 있으니 포기하지마시고 노력하셔서 꼭! 좋은 결실 얻으시길 바랍니다.
우선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보통 중간고사를 빠르게 치는 학교는 4월 중순, 늦어도 5월 중순에는 모든 학교가 시험을 치릅니다. 학교 홈페이지 학사 일정을 꼭 미리 확인하셔서 적어도 한 달 전에는 시험 대비에 들어가야 합니다. 만약, 국어가 약한 학생이라면 6~7주 전에 시험 공부를 시작하는 것도 권장드립니다. 시험 대비용 학습 캘린더를 하나 만들어서 시험 전 날까지 공부 일정을 계획하여 벼락치기 학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보통 고등학교 2학년 친구들은 1학기 중간고사에 문학을 배울텐데요. 오늘은 문학 내신 공부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교과서, 학교 프린트, 자습서 내용 꼼꼼하게 이해하기 및 단권화
제일 중요한 단계입니다. 학교 수업을 충실히 따르고, 선생님의 설명을 교과서에 빠짐 없이 필기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수업 중 학교 선생님이 나누어 주시는 프린트물은 중간고사에 교과서 지문과 연계되어 출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단원별로 잘 챙겨두고 본문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주제, 표현법, 화자의 태도 등을 중점적으로 외부 지문과 본문의 특징을 정리해 두세요.
꼼꼼하게 필기를 했다면, 이를 바탕으로 단권화 작업을 해야 합니다. 만약 교과서나 자습서 중 본인이 더 보기 편한 교재를 중점적으로 다른 교재나 프린트, 학교 선생님의 설명 중 빠진 부분을 채워 넣습니다. 문제 풀이 중 헷갈릴 때나, 시험 직전 복습을 할 때 이 단권화 교재만 활용하면 됩니다. 단권화한 교재를 여러 번 읽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2단계: 다양한 문제 풀어보기
내용 정리와 정독을 통해 내용 이해를 완료했다면, 다양한 문제를 풀어볼 것을 추천합니다.
(1) 자습서와 평가문제집 문제: 작품 개관과 내용 이해를 자습서 및 평가 문제집에 수록된 문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암기합니다. 작품의 주제와 사용된 표현법, 소설 갈래의 경우 시점과 서술 방식, 인물의 성격까지 꼼꼼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2) 기출 문제 및 기출 변형 문제: 기출 문제 및 기출 변형 문제를 최대한 많이 풀어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대비합니다.
고2 문학 해냄 <호질>
고2 문학의 경우, 1학년 때보다 심도 있고 색다른 유형의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작품의 전문, 같은 주제를 가진 작품이나 다른 갈래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 출판사의 문제를 다 풀었다면, 다른 출판사의 동일 작품 문제도 풀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고2 문학 미X엔
위는 미X엔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호질에 대한 문제입니다.
비슷한듯, 다른 유형의 문제들이 있으니 두루두루 풀어보길 바랍니다.
(3) 모의고사 및 연계 지문 문제: 시험 범위에 포함된 문학 작품이 모의고사에 출제되었거나 수능 특강에 수록된 작품이었다면 반드시 풀어봐야 합니다. 실제로 2학년의 경우, 모의고사형으로 출제하는 학교가 많습니다. 외부 지문이더라도 주제와 화자의 태도, 시에 사용된 표현법들을 간략하게라도 짚고 넘어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에서 보여드린 <호질>의 경우 2022 수능 특강 문학에도 실린 작품입니다. EBS자료나 모의고사의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시험 범위의 작품이 모의고사에 출제되었거나 EBS에 수록된 적이 있는지 꼭꼭! 확인하세요.
Q. 내신형 문제와 모의고사형 문제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내신형 문제는 작품에 대해 세부적으로 묻는 유형이 많습니다. 자습서에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학교 선생님이 따로 설명해 주신 내용이나 교과서 한 쪽에 작게 수록된 내용 등 말이죠.
모의고사형은 작품의 큰 틀을 묻는 경우가 많고, 유연하고 논리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들이 많습니다. 단순 암기를 통해서는 풀 수 없으며, 다른 작품들과 연계하여 출제되는 유형들입니다.
3단계: 정답과 오답 확인하기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후, 틀린 문제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오답 정리를 하며 각자의 약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어는 문맥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 있는 과목이므로, 해당 작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다면 유사한 문제를 또 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답 해설도 꼭 참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맞춘 문제라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왜 정답인지, 어느 부분에서 정답 근거를 찾을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정답 해설과 오답 해설 내용을 1단계에서 만든 단권화 교재에 추가하면 좋습니다.
하나 주의해야 할 것은 만약 푼 문제와 학교 선생님의 설명이 조금 다른 부분이 있다면 시험 출제자인 학교 선생님의 설명을 100% 따라야 합니다. 모의고사가 아닌 내신 시험에서는 출제자의 경향에 맞춰 공부를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고2 첫 시험! 새로운 각오와 다짐으로 열심히 공부하셔서 만족스러운 결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여러분의 꿈과 미래를 응원하는 나무아카데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학습칼럼, #공부칼럼, #고2국어, #고2중간고사, #고등학교중간고사대비, #고2문학공부법, #국어독학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침대에서 책상피고 고고 전 일케 하니깐 잘됨
-
정보량 감당이 힘든데 이럴때 멈추고 정리해서 가야하나요??
-
뭘 기대하고 들어오냐 가서 공부나 해!
-
집공부 어케함? 폰을 못내려놓겠어욥 집에서 했으면 수학 3도 감사할뻔
-
Mbti 100% T라고 하길래 놀랏음.. 커뮤에서 말하는 거 봣을땐 무조건 f같앗는디
-
저녁엔 뭘 먹어야 됨?
-
보테즈 갬빗해서 질 뻔하다가 동생이 킹희생해서 이김 휴..
-
나도 ㅇㅈ한다 15
-
기시감 도착 캬 1
근데 해설지가 무슨 560pg ㅋㅋㅋㅋㅋㅋㅋ
-
붉은머리 애니프사가 필요해
-
덮 3 모 2인데 깝치지 말까요
-
으흐흣 *혹시 문제가 되면 삭제하겠습니다!
-
프린트 할 퀄이 아님
-
외모 상관x 나이 상관x 아 뚱뚱하지만 않으면 됨
-
엘지7연승ㄷㄷ 2
계속 이럴거지?
-
진짜 현우진 분량하나는 숨이 너무 참
-
누가 노무현으로 해놨어 ㅅㅂ
-
한번씩 실수하고 웃으실때 되게 순박한웃음을 지으셔 귀여움
-
솔트배 영상에 나왔던 황금스테이크.유튜버 육식맨 형님도 한번 만들어보기도 했고,...
-
씹덕프사레어가 2
사기리였네 왜 인지를 못하고있었지
-
독특한걸로요
-
.
-
다행히 초딩들이 나보고 안 무섭다고 안 싫어하는거 보니 아직 최소한의 선은 지키고...
-
치우기가 쉬움
-
리플 더 살까 0
흠...
-
미적 액셀 이건 수요 좀 많을듯?
-
기출 답인가
-
초반이라 그런가 뭔가 잘 되네 나랏말쌈 광고주세요
-
현우진 정병호 1
그동안 쭉 현우진 듣다가 이번에 정병호 선생님으로 갈아탔습니다. 현우진이 잘...
-
어 아닌가
-
목요일에 dm으로 과제얘기하다가 제가 이거하는거 맞냐고 물어봤는데 그 친구가...
-
허수 특) 4
제곱하면 -1됨....
-
리셀 용입니닷!
-
허수 특 7
정신 나간 문제 풀이과정.
-
1년간 인간성이 완전히 바닥 밑으로 떨어짐 악마화를 자꾸 당하니까 진짜 악마처럼...
-
쿠팡 로켓배송이라며 아오
-
엔제로 치면 어느정도 난이도 일까요?
-
나는 켄텍을 2
.
-
오랜만에 야짤 그렸는데 25
내가 그렸지만 못참겠다 하..
-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그리고 여러 번 푸는 게 기출이죠. 기출은 과연 많이 볼수록...
-
다 들어야되는거죠? 수업을
-
참고 작수 31311 방학동안 국어 영어만 ㅈㄴ 함
-
한장(두페이지)에 한문제 이러는거 너무 싫음 어싸처럼 한장 펼치면 최소 4문제는 있으면 좋겠음
-
14 21 22 28 30 틀
-
빌딩풍과 이번 산불 사태의 공통점이 있다. 산불을 크게 키워놓은 1등 공신인 돌풍의...
-
미용실에서 2
예약시간보다 10분 빨리 오고 예약시간보다 1시간+@를 더 기다린건 첨임 처음 와보는곳인데..
-
이게 마지막 고비겠죠
-
”야 고양이“ 0
”뭐 인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