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리 허슬 허슬테스트 국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24101
1회차 독서 두번째 수열에너지 이용한 기술 지문 있잖아요
거기 2문단이 잘 쓰였다고 보시나요..? 제가 막 평가원스럽다 이런 걸 말하고 싶은 건 아니고 그럴 자격도 아니지만 어디 지문인지는 모르겠는데 서술이 정말 어어어무 불친절하다 생각하거든요
지문에 비해 문제는 어처구니 없이 쉽다라고 생각을 하는데
2문단에서 왜 비열이 높은 게 열효율이 높은 건지를 자세히 설명 안 해주고 자연의 흐름을 역행한다는 것도 서술이 이해되기에 뭔가 일부러 생략한듯한 느낌이 들어서요.. 사설치면 1뜨고 모고 고정 백분위 99후반인데 저건 좀 불친절하다고 생각이 들군요.. 물리학이라 그런지 특정집단에 유리하기도 할 거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 박광일 수학 정승재 사탐 이지영 사실상 사탐 확통 화작런 최적화 담뇨단 양성손데
-
이런 괴식도 있노
-
애미없나 난진짜대한민국에서살고싶은데 나라가날괴롭히잖아
-
지1 2
지1 고정만점이 가능한가요? 신유형, 지엽, 자료해석 등등을 해결하는 방법 있을까요?
-
국어 할 때마다 잠이 옴 잠을 너무 적게 자서 그런가? 하 미치겠네 진짜
-
필기 안불편함? 후기좀
-
아니 월에 2~3백이면 10
과외를 대체 몇개를 해야하는거
-
헬스도 가긴 가야되고 오후에 병원도 가야되는데
-
메이저 인강회사를 끼고있는 대형 재수종합학원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는군요. 갓...
-
지금 공부 시작한 반수생인데 생1 3등급은 받아야 해서요..
-
뀨뀨 6
뀨우
-
A B 둘다 외모는 비슷하고 옷입는 패션 으로만 판단할때 누가 호임 고르아하면
-
지하철역 벼락치기 간다
-
수능 1도 안 중요하고 대학교도 1도 안 중요하다 물론 여기 오는 애들 정도면 진짜...
-
인강 들어봐도 이해가 안가요… 문풀은 더더욱 못하겠는데 그냥 넘어가도 수능볼때...
-
더프 오답하는데 1
28번은 진짜 모르겠네 뭐냐 이게..?
-
ㅇㅅㄱ씨는 19학년도 3형제도 어렵다고 생각하시는듯 5
질점 가능세계 법률효과 그런데 질점 [A]는 이미 기출로 다 떠다 먹여줬던거 아닌가
-
영어 4등급이고 워마 1회독 완료해서 인강 들으려는데 누가 제일 좋을까요?
혹시 사회탐구만 공부하셨을까요? 무시하거나 시비거는게 아닌 설명의 정도 때문에 여쭤보는거에요.
우선 비열이 높은것이 왜 열효율이 높은지 설명을 안해줬다 했는데 이건 추론의 영역이었다고 생각해요. 과학기술지문들 에서 간혹 문제로 출제하기 위해서 설명을 하지 않고, 글을 읽는 학생이 그 이유를 추론하게끔 하잖아요. 그런 맥락에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글이 불친절해도 추론을 통해서 알 수 있었거든요. 자세한 사례까진 아니어도 2문단에 보시면 ‘비열이란 1g의 질량을 가진 기체 또는 액체의 온도가 섭씨 1도만큼 변화할 때 드나드는 에너지의 양을 뜻한다.’ 라고 쓰여있고 ‘물은 공기보다 4배 가량 비열이 높기 때문에..’라고 후술되어 있습니다. 또, ‘수열 에너지는 비열이 다른 물질에 비해 높아 더 많은 열량을 지닐 수 있다는 물의 속성을 이용한다.’라고 쓰여있는데 이를 종합해보면 물과 공기를 비교해서 물1g과 공기1g이 있을때 동일한 온도 변화가 있을때 공기에 드나드는 에너지가 1정도라고 가정하면 물은 그의 네 배인 4의 에너지가 드나들게 되죠. 1문단에서 ’수열 에너지에 기반한 냉난방 시스템은 … 공기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친환경, 고효율 기술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쓰여있는 것처럼 비교적 효율적임을 알 수 있죠.
저는 물리학을 과학탐구에서 학습하지 않았을 뿐더러 물리 자체를 잘 몰라서 제가 이해한게 정확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제가 문제를 시간잡고 풀때 2문단에서 저렇게 생각해서 댓글 남깁니다.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ps) 물리 잘하시는 분들 중 제가 설명한 내용이 잘못된게 있다면 답글로 알려주세요..
물1 베이스로 당연하게 풀어서 이렇게 엄밀하게 생각을 못했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