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크 ‘설’을 아십니까? -1990년대 이전, 기자들의 한자 표현 방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03707
***상꼰대의 옛 이야기입니다. 입시 사이트에는 맞지 않을 수도 있는. 하지만, 언론인을 꿈꾸는 분도 있을 듯 하여, 옛날 이야기를 전합니다. 그냥 심심할 때 웃자고 보십시오.
===========================================
기자 생활을 시작한 건 1990년 2월이었습니다.
기자 수습 생활은 대부분 사회부에서 시작합니다. 경찰서를 출입하면서 사건 기사를 챙기는 일부터 배우는 것이지요. 육하원칙에 따라, 사건의 내용을 쉽게 요약하는 법을 배우는 게 기사 작성의 출발이니까.
지금이야 ‘기레기’로도 불리지만, 당시 기자는 지금보다는 사회적 인식이 훨씬 좋았다고 봅니다. 그 직업적 자부심을 표상하는 건, 당시로서는 ‘특수 직업인들’만 가지고 다니던 삐삐였습니다. 1990년대 전반 이후 대중화됐지만, 1990년에 삐삐를 가지고 다니던 사람은 드물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해당 직업인들만 사용하는 말’을 내가 사용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해당 직업에서만 통용되는 은어’를 안다는 것만큼 귀속감을 높이는 것도 드물지요. ‘기자들이 한자를 표현하는 방식’도 그중 하나였습니다.
인터넷도 없고, 노트북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던 당시, 회사가 아닌 곳에서 기사를 작성하면 기자들은 회사에 전화를 걸어 기사를 ‘읊었습니다’. 팩스를 갖춘 곳도 많지 않던 시절이었으니까.
당시 신문 기사는 사람 이름을 적을 때 한자를 사용했지요.(방송은 ‘발음’으로 보도하니, 방송 기자들은 일반적으로 한자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金虎重이 이름이라면, ‘성 김, 범 호, 무거울 중’이라고 하면 상대가 김호중의 정확한 한자어를 받아 적는 방식이었습니다.
한데 훈을 바로 알아듣기 어려운 한자도 숱합니다. 예를 들어, ‘原’의 훈은 ‘언덕 혹은 근원’입니다. 한데 ‘源’의 훈 역시 ‘근원’입니다. 만약 사람 이름이 ‘金原中’이라서 ‘성 김, 근원 원, 가운데 중’이라고 읊었지만, 기사를 받아 적는 사람이 ‘金源中’으로 잘못 받아적을 수도 있는 겁니다.
그래서 등장하는 게 ‘용례’입니다. ‘原’을 ‘강원도 할 때 원’이라고 부르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렇게 부르기도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卨’(설)이라는 한자가 있습니다. 일반 단어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사람 이름에 주로 들어갑니다. 훈은 ‘사람 이름 혹은 (중국 왕조인) 은나라 시조 이름’입니다. 고종 때 이준 열사와 함께 헤이그에 파견됐던 3인의 한 분이셨던 이상설 선생의 설 자도 이것을 씁니다.
한데 이 한자를 전화로 어떻게 설명할까요? ‘이상설 선생 할 때 설’이라고 한들, 알아듣기 힘든 사람도 있을 겁니다.
이때 등장하는 게 한자의 모양을 본뜬 ‘훈’입니다. 卨 자를 잘 보시면 탱크처럼 생기지 않았나요? 그래서 기자들은 卨 자를 읊을 때 ‘탱크 설’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러면 그 누구라도 알아들으니까.
允(윤) 자도 마찬가지. 훈은 ‘맏(’맏이‘라는 의미) 혹은 진실로’입니다. 한데 모양새가 오징어 같지 않나요? 해서, 기자들은 이 한자를 ‘오징어 윤’이라고 불렀습니다.
卨이나 允이 모양새로 전달하는 경우였다면, 한자를 파자(破字)해서 전달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喆(철)이 그런 경우였습니다.
喆의 훈은 ‘밝을’인데, 철학 할 때 쓰는 哲(철) 역시 훈은 ‘밝을’입니다. 그래서 喆은 ‘쌍길 철’이라고 불렀지요. 길할 吉(길) 자가 두 개 겹쳤으니까. 哲은 ‘철학할 때 철’이라고 불렀고요. 역시 철로 읽는 ‘물맑을 철(澈)’은 ‘물맑을 철’이라고 하는 대신 ‘물 수(氵) 변에 기를 육(育)에 칠 복(攵) 쓰는 철’ 혹은 ‘철수하다 할 때의 철(撤) 자에서 손 수(扌) 변 대신 물 수(氵) 변 쓰는 철’이라고 했고요.
이제 신문기사에서도 한자가 사라진 지 오래입니다. 기사를 전화로 부르는 경우도 거의 없고요. 允을 오징어로, 卨을 탱크로 부를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그런 과정에서, 한 시대는 다음 시대에 자리를 내어주는 것이겠지요. 한데, 때로는 그때가 그립습니다. 역시 저는 꼰대인가 봅니다.
#탱크설 #오징어윤 #쌍길철 #기자들의한자표현방식 #1990년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제들을 보다가 어딘가에서 영감을 얻어서 만들어봤습니다 아직은 자작문제 초짜라...
-
내가 좋아하는 두 과목임 물론 실제로 하지는 않을거임
-
사평우 삼못사 어피니티 지로함 연구원님의 장례식입니다. 1
그는 1분에 1개씩 뻘글을 쓰는 좋은 오르비언이였습니다….
-
헬스터디 채연누나
-
하루에 정해준 양만 풀어야하나요 걍 빨리 풀고 다른거 풀고 싶은데
-
뭔가 2025대비로 나온 n제 실모는 풀기 싫고 올해꺼 새로 사서 풀어야할거 같고...
-
지원 아예 못 받는 사람마냥 일하느 중
-
혐오라기보단 팩폭이잖아?
-
진짜 너무 부러워요.
-
제여친이에요
-
주인 잃은 레어 1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속초 바다"나무위민달팽이가 직접...
-
주제넘게 반수생각하는 것 같기도 해서..
-
기만충 판별하드립니다. 18
댓 다시면.
-
김기현 아이디어 어렵게 느껴지는데 뭐 들어야하나요?.. 5
확통 노베라서 파데듣고 아이디어 1강 들어갔는데 책 내에 들어있는 문제들 하나도...
-
손가락 안자르고 혈서쓰기 ㅆㄱㄴ
-
머가 기하 최강자임??
-
1.코인 2.주식
-
항공대학교 0
항공대 항운과 중경외시정도 되나요?? 지금 성적대가 중경외시정도는 노려볼만해서요
-
ㅇㅅㅇ? 1
ㅎㅅㅎ
-
잠깐 휴릅을 해야겠어 5분동안
-
글은 써야될거 같은 기분이 들어요 대화 주제 뭐가있을까요
-
갑자기 궁금해지네
-
통백 받을 확통이면 개추 ㅋㅋ
-
국어: 독서만 와장창 틀림 영어: 빈칸만 와장창 틀림
-
나형 통합보단 저게 맞다
-
심찬우t댓글현황 2
아이고
-
모고 0.1은 뭔가 쉬워보이는데 재산 0.1% 외모 0.1% 키 0.1% 이러면 뭔가 아득해보임
-
훈도 산 김에 오티랑 맛보기 들어봤는데 강의 좋은거 같은데 해보신분들 있음? 약간...
-
아 18살이라 다행이다 17
아직 고3아니네
-
한양 의대정도 보고 있는데 정시 백분위 어느정도 되야 내신 10퍼 반영 무시까고...
-
ㄱㅐ추….
-
세지 개념 공부 0
전성오쌤 듣다가 안 맞아서 그냥 완자랑 수특에 있는 개념만 숙지하고 기출 돌리면서...
-
킬러 배제 사태 이후에 잘하는 집단이 몰려 있는 과목을 어렵게 내고, 상대적으로...
-
이게 훨 나은데 첫풀이대로 하면 사실 교과외긴해
-
대성 패스 있고 물리 너무 내스타일에 안맞아서 물리에서 지구 넘어갈껀데 걍 이훈식쌤...
-
빨간 잉크를 주르륵 충전해서 오르비언들 이름 써야지 흐흐흐흐
-
안녕하세요 저는 노베이스 상태로 올해 수능을 도전하는 사람입니다 혼자서 수능공부를...
-
내지디자인 인지부조화옴
-
3덮 땐 언매 기하를 개박아버려서 못했지만 한달간 개같이 갈고닦았다 인문수석 드가자
-
편의점에서 뭐머글까요 15
추천좀 부탁... 저녁 안먹었음뇨
-
정신머리 씨발
-
이름은 제리얌이랑 비슷해서 비호감인데 음악 하나는 이거이거
-
형님들 진짜 답답해 미치겠습니다 형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4
아빠가 rotc장교이셨다가 항상 일이 잘 안풀리다가 진급이 안되셔서 군대를...
-
또 고치고 올리면 짜치나 ㅋㅋㅋ
-
15만원대 가성비 라인 찾는거 아니면 80까지 올라가서 사는게 맞음 그 중간대 라인들 너무 애매해
-
말그대로 노베입니다 국어 인강 강민철, 심찬우 김승리 등등 많은 선생님들이 계시는데...
-
윙크
-
접니다... 어딜 대학 편하게가려고 ㅋㅋㅋ 2주동안 국어만 판다
-
고도의 집중력을 사용하고 나면 머리만 갖다대도 숙면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언제나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재밌었다니 감사합니다. 그저, 옛 생각이 나서요. 지금도 젊지만, 지금보다 더 젊었던 시절... 나의 화양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