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황 분들께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15141
미적분 선택자이고 작수 1컷 (원점수 88)입니다
좀 불안정했고 실제 시험장에서 4개 문항을 한 번에 못 풀었습니다.
(21 22 28 30)
불안정을 넘어 안정적으로 더 올라가고 싶은데
저로서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그저 성실 하나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이 앞은 재능인 걸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데 거부감이 없으면 개발자로써 적성은 나쁘지 않은 건가? ㅋㅋ
-
드릴6 공통 해도 되는 난이도일까요 객관식 찍맞없이 다 맞았고 21번 x=-1인거...
-
하이큐 두번보세요 세번보세요
-
돈 버렸어 떼잉쯧
-
방구나옴 3
기분좋음
-
그 뭐시기냐 이런 말을 자주씀 말하다가 생각이 안날때 자주사용하는듯
-
풀어보니까 더 풀기 싫어...
-
재밌게 놀다 오겠음... 노력 해볼게요
-
댓글달아주세요 21
-
나 문찐인갑바 4
카티가 뭔지 몰라서 키타 결속밴드 새 앨범나왔나 이러고 잇어..
-
오늘부터 새벽엔 기하러입니다
-
13번 29번 반박 안받음
-
여캐일러 투척 2
삼칠이 특집
-
기축통화국이 되어 무한확장 재정정책을 펼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
강윤구ㄱㄱ
저 재능없음 29실수해서 92인데
솔직히 작수는 100받는거 노력으로 가능하다 생각함요
88이면 충분히 잘하심이미
30번 호흡 긴거 빼고 나머지는 제가 확실히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 부분을 채워야하는데, n제.실모 양치기 밖에는 안떠오르네요
네네 지금 시즌엔 걍 n제 하셔도 좋을듯
화이팅 같이 적백 갑시다
문제 거르지 말고 다 푸시고
시간도 어느 정도 체크하셈
글고 틀린 문제는 무조건 복습 빡세게
틀리고 나면 내일도 다시 풀어보고
문제집 다 끝내고도 한 번 더 풀어보고
복습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아예 몰라서 틀리는 것과 풀다가 마무리를 못 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생각해보고 안 떠오르면 해답지나 해강을 보는데 조건 해석을 아예 못하는 것, 식 조작이나 case 구분을 어려워 하기도 합니다. 필요한 태도나 관점이 있을까요?
식조작이랑 케이스 구분은 진짜 많이 할수록 늘고요
조건 해석은 아예 몰라서 틀리는 것과 풀다가 마무리를 못하는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데
저 같은 경우는 첨부한 사진처럼 제가 문제를 풀 때
전개한 식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일일이
적어나가고 막히는 부분이 어딘지 체크했던 거 같아요
글고 복습할 때 이 막힌 부분을 의식하면서 풀었고요
일케 반복하니까 조건 해석에 대한 안목이 늘면서
쭉 풀렸던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경험을 더 쌓아야겠네요
양도 양이지만 틀린 문제를 엄청 집중해서 복습하셔야 해요
보통 틀린 거 또 틀려서....
20번 정도를 풀 실력이면 21,28 정도는
실력 문제로 못 푼 건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22,30 같은 경우는 문제를 많이 풀어보세요
수열은 풀수록 늘고
30번 같은 경우도 좀 직관이 늘어야 풀기 수월해요
왠지 이거일 거 같은데<---싶은 느낌이 드는 게 젤 좋다고 생각해요
풀다가 마무리 못 하는 건 방향을 안 잡고 풀어서 그런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