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들은 학과 전문 연구 분야 잘 모르지 않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07867
전 입학사정관이 학과 하나마다 다 있는 거라 생각했는데, 한 학교마다 입학사정관이 몇 명일지 찾아봤더니 사진처럼 한 학교에 존재하는 총 학과 개수보다도 한참 작더군요
제가 가령 A대학교에 있는 B학과 교수의 연구분야인 C에 관심이 깊어서 C 관련 주제를 심화적으로 골라서 탐구했는데
만약 면접까지 안가는 그냥 학생부전형(생기부를 보는 전형)으로 지원하게 된다면 결국 교수님께까지 안가고 입학사정관 선에서 생기부가 처리될 것이라고 보는 입장에서
C가 다소 지나치게 마이너한 연구 분야라고 했을 때 입학사정관이 C 분야에 대해서는 잘 모를 수 있을까요?
제가 걸리는 점이 고1-2동안 탐구해왔던 C분야가 피상적으로는 B학과와 연관성이 없다고 외부인 입장에서는 생각이 들 것 같아서 (즉 관련 연구자가 아닌이상 C분야와 B학과의 연관점을 찾기가 힘들 듯해 보이므로)
사실 그 연관점이 생기부에 잘 어필되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 입장에선 음 이 학생 좀 특이한 걸로 활동했나보네, 주제하고 내용이 특이하네... 선에서 그칠 수 있지 않을까요?
만일 그렇게 된다면 사실 B학과에 입학하기 위해 C를 연구했던 게 말짱 도루묵이 되는 게 아닐지 싶은데... 제가 C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실 내용들을 잘 숙지하고 그 연구 방향성에 크게 동감하고 있다는 점을 어필하고 싶었는데 생기부를 교수 혹은 학과를 직접 전담하는 입학사정관이 보는 게 아닐 수도 있다니깐 심란하네요
만약 입학사정관이 C 분야에 대해 잘 모른다면 여태까지 했던 노력이 의미 없어지는 건가 싶고... 물론 한분야에 대해 깊이 연구한 것으로도 역량이 어필될 수 있지 싶긴 하지만 정말 그 연구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읽었을 때 특히 공감하거나 높게 사줄(?) 만한 질적인 내용들이 생기부에 많이 기록되어있기도 하구요...
현실적으로 입학사정관들이 학과마다 여러개 있는 수많은 연구 분야에 대해 모두 구체적으로 숙지하고 있을 것 같진 않지 싶은데.. 혹시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게 옳은 내용이 맞을까요? 차라리 학과 관련해서 좀 더 대중적인 주제로 깊이 탐구했어야 했나라는 생각이 자꾸만 드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더프 채점 및 총평 12
국어(화작): 97점 / 선택 1틀(40번) 수학(기하): 94점 / 선택...
-
물지 둘다2정도 실력이고 지금 개념기출 다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수학은 1~2뜨는데...
-
여기서 |t|=a 로 치환 적분을 할 때 치환된 범위는 6~|x| or x>=0...
-
국어학원에서 주는 간쓸개만 풀고있는데 기출은 문제집 사놓고 별 로 안풀었습니다.고2...
-
너는 잊지 않기를 바라느냐? 잊지 않는 것이 병이 아닌 것은 아니다.
-
1회차 독서 두번째 수열에너지 이용한 기술 지문 있잖아요 거기 2문단이 잘 쓰였다고...
-
가치가 있습니다. 그대로 날 따라와주길.
-
수학 이미지t 세절쉬하고 미친기분 시작편 다 끝나가서 실전개념 들어가려는데 이미지t...
-
실시간 ㅈ됐다 3
학교가는데 급하게 나온다고 버즈 두고 와버렸따... 아아아아아ㅏ
-
아 아니 2
아악 내풀콤을돌려조
-
신성=천사=천국=행복=도파민=물질=물리학=수학
-
좋은 아침 3
어제는 잊어요 다시 새로운 오늘을 열심히 살아봅시다
-
아빠가 떠난 우주까지 아빠는 팔 있네 아들은 이를 가네 아빠의 팔을 뜯으리
-
이문제 수능출제가능? 16
-
이지랄했는데 다음주에 전투신 없으면 혈압 ㅈㄴ 오를 듯
-
스블 할까 한완수 실전 할까
-
펜홀더 재밌다 0
역시
-
내신에 영향가지 마라 진짜 바보짓이다
-
미적 10
노베->1까지 다들 얼마나 걸림?
-
내신 0
외신 아우터 갓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