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워커 생1 칼럼]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70066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I 과목을 가르치는 하드워커입니다.
‘여러 가지 유전’ 단원(‘유전 현상’, ‘형질 교배’ 등으로도 불리는 단원)에서 쓰이는 잡스킬 4가지를 설명해드리기로 했는데요, 오늘은 마지막 4번째 잡스킬을 소개해보겠습니다.
1. 이형 염색체 논리
2. 무시
3. 독립 표현형 가짓수 ≥ 연관 표현형 가짓수
앞서 1~3번째 잡스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위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오늘은 ‘4.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 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다인자 유전이 포함된 문제보다는,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 문제에서 쓰이는 내용입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제 교재 내용을 붙여넣고, 설명할 부분이 있으면 추가로 해보겠습니다.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에서, 연관 중 일부만 고려했을 때의 확률은 연관 전체를 고려했을 때의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연관 전체의 확률이 주어졌을 때,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은 주어진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하거나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알 때, 연관 전체의 확률은 그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해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내용만 보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렇지만 은근히 많은 학생들이 간과하고 있는 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람의 상염색체 유전 형질 (가) A > a or A = a, (나) B > D > E 가 있고 부모가
와
일 때, 자손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이라는 사람과 같을 확률이
이라면, 자손의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은
이상이다. 이를 통해 (가)가 A > a 이고, ㉠의 표현형은 ‘우성, B’라는 것을 빠르게 구할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연관 전체의 확률이 1/2이라는 것을 통해, 연관 일부의 확률은 1/2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BEⅹDE에서 자손 표현형은 B : D : E = 2 : 1 : 1 로 나오기에, 자손이 ㉠과 (나)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이 1/2 이상이 되려면, ㉠의 (나)의 표현형이 B가 되어야 합니다.
조금 더 가보면, 자손에서 나오는
와
의 표현형이 모두 ㉠과 같아야 하므로, (가)의 우열 관계는 A > a 이고, ㉠은 (가)에 대해서 우성이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는 연관 전체의 확률이 주어졌을 때,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주어진 확률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한 것인데, 반대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알 때, 연관 전체의 확률이 그 확률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연관/독립 상태가 2연관 1독립(단일 인자 유전)이고, 자손에서 특정 표현형이 나올 확률이 3/8이라고 하면, 2연관과 1독립 각각에서의 확률은 3/4과 1/2 중 하나입니다. 이때 부모의 2연관 쪽의 일부 유전자형이 AAⅹAa(A = a)라면,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1/2이므로, 연관 전체의 확률은 1/2 이하임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2연관 쪽의 확률이 1/2, 1독립 쪽의 확률이 3/4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연습을 한 번 해 보겠습니다.
ex) 사람의 상염색체 유전 형질 (가) A > a or A = a, (나) B > b or B = b 가 있다.
부모가
와
(㉠)일 때, 자손의 (가)와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이
이다. (가)와 (나)의 우열 관계와, 부모의 (나)의 유전자형을 구하시오.
연관 전체의 확률이 3/4이라고 주어진 상황입니다. 따라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은 3/4보다 커야 합니다. 부모가 AAⅹAa이므로, (가)가 중간 유전이면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이 1/2이 되니까. (가)는 완전 우성이 되어서 연관 중 일부의 확률을 1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자손의 (가)의 표현형이 우성이 될 확률이 1이므로, 이는 ‘무시’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위의 ‘2. 무시’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따라서 부모가 _bⅹB_ 일 때 자손의 (나)의 표현형이 ㉠과 같을 확률이 3/4이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부모가 모두 Bb이며, (나)는 완전 우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관 중 일부의 확률 ≥ 연관 전체의 확률’은 잘 익혀두면 ‘단일 인자 유전의 연관’ 문제 유형에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잘 공부해두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여러 가지 유전’ 단원의 4가지 잡스킬에 대해서 모두 설명이 끝났습니다. 앞으로 원하시는 칼럼 주제가 있다면 댓글이나 쪽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몸 키우기 참 어렵네요 3 2
헬창형님들 존경
-
윤카 ㄹㅇ나왔네… 1 2
흐으으응음
-
말도 안되게 어려웠다는데 괜히 풀다가 멘탈 나가는거 아닐련지
-
얼버기 성공 6 0
-
220930 13 0
조건 잘 보면, f(x)-f(0)=x^3(x+4)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283.
-
작수2 쎈푸는거 어케 생각함? 17 0
쎈 처음 풀어보는데 b만 좀 풀어보니 술술 풀리긴 하는데 뭔가 풀이방법 연습하긴...
-
아니 화1 하루에 실모 3개씩 풀고 ㅈ1랄 염병을 떨었는데 너무 억울해서...
-
개강후기 12 1
-
가산점 5프로 많이 큰가요..? 대충 12211이라고 가정했을 때
-
퇴근시간은 똑같고 출근 시간은 더 앞당겨지고... 실화인고...
-
전수학풀때 음악 없으면 못삼.
-
ㅈㄱㄴ
-
나만 꿀빨려고 했는데 3 3
어쩔수 없이 공개함 꿀과목 물2 화2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